불곰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20:30 판 (→‎생태)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불곰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불곰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곰 (큰곰, 갈색곰, 갈색큰곰, 황웅)
Brown bear
불곰.webp
학명 Ursus arcto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곰과Ursidae
큰곰속Ursus
불곰 U. arctos

개요

유라시아북미 전역에 걸쳐 서식하는 과의 대형 포유류. 흔히 곰 하면 가장 쉽게 떠오르는 종이며 한때 북아프리카의 아틀라스불곰, 멕시코의 멕시코불곰, 캘리포니아의 캘리포니아불곰도 있었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이름의 어원

우리나라에서는 본디 반달가슴곰을 '곰'이라고 부르고, 불곰을 큰곰이라고 불렀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여전히 큰곰이란 말을 사용한다. 남한에서 자주 사용하는 불곰이란 말은 일본어 표현인 히구마(ヒグマ: 緋熊)에서 유래했다. 그래서 위키백과 등에서는 불곰이란 말 대신 큰곰을 표제어로 사용한다. 큰곰, 불곰뿐만 아니라 갈색곰이란 이름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도 원래 불곰을 히구마가 아닌 시구마(シクマ)로 불렀는데, 이는 羆(큰곰 비)에서 四(시)와 熊(구마)을 따로 읽은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리즐리라는 말이 유명한데, 한국에서 회색곰으로 번역하는 이 단어는 바로 북미에 서식하는 모든 불곰을 통틀어 부르는 서양권의 고유명사다. 혹은 Ursus arctos horribilis라는 학명을 사용하는 아종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생태


8JBza7EHzky8-g39iQi9NUaraTHBQvPoI1HsMKQ8r8bBWXNAwYgKo61nOtjvbsfXT4vlxtExDtZAsu9hvfryyfcAJ68E0qwr6bma8ejmDz TAiGQTwxm5c1JaEUxn6rfWur5N62EUPDwtBuCLqlCEA.webp
연어를 잡으러 강에 들어간 어미 불곰과 새끼 불곰.

몸길이는 보통 2 m. 몸무게는 수컷의 경우 200~300kg, 큰 것은 360kg 이상 나가고 동면을 앞두고는 600kg 이상으로 살이 오르기도 하며 암컷은 그보다는 작아 80~260kg 정도 나간다. 수명은 20~30년 가량. IUCN의 적색리스트 상의 보호필요도는 least concern(최소한의 관심만 필요)등급으로 전반적으로 매우 개체수가 많은 대형 포식동물로 꼽힌다.

곰은 원래 육식동물에서 진화한 동물이지만 대부분의 곰들은 초식 위주에 육식을 조금 곁들인 잡식성인데, 불곰은 주식을 콕 집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곰 중에서도 이것저것 가리지 않는 식성으로 유명하다. 보통은 먹기 쉬운 풀, 나무열매, 새순, 과일 등 식물성 먹이로 배를 채우지만, 새나 쥐, 곤충, 물고기 같은 작은 동물을 통한 육식도 하며 영양분이 많이 필요하면 사슴이나 들소처럼 큰 동물도 드물게 사냥한다. 기온이 매우 낮아 식물이 적은 북부 캐나다의 불곰들은 먹이의 70%를 육식으로 충당하는데, 불곰 중에서도 육식의 비중이 높다.

기본적으로 넓은 서식지를 가진 만큼 사는 환경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도 아주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열량이 높거나 단 음식을 좋아한다. 특히 무시무시한 갈고리발톱은 불곰의 고영양 섭취를 돕는 최고의 도구로, 땅을 굴착기처럼 파헤쳐 보통 동물들이 먹기 힘든 풀뿌리나 조개 같은 고영양 먹이도 마음껏 먹을 수 있다. 또한 단것을 특히 좋아하며 음식 냄새를 맡고 마을에 나타나기도 하고 벌집도 습격한다. 곰의 털가죽에는 벌의 독침도 소용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