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비아 연합왕국 행정구역

북 발칸 연방 공화국 국장.png 경고! 본 문서는 슬라비아 연합왕국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는 슬라비아 연합왕국이 직접 제작한 슬라비아 연합왕국 공식 문서입니다. 관계자를 제외한 분들께서 본 문서를 무단으로 편집하실 경우 반달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류 등 문서 수정 여부가 필요한 경우는 토론 기능을 이용하시거나, 슬라비아 연합왕국 관계자에게 알려주십시오. 본 문서는 가상국가의 설정을 위한 추상적인 것으로 현실의 국가와는 실제 무관합니다.

개요

슬라비아 연방왕국 본토는 9개의 페르트[1]으로 나뉘며, 페르트를 다시 연방주,[2] 연방주를 다시 라쟈프[3]와 레시야[4]로 나누며, 레시야를 코웬[5]으로 나누면서 효율적인 지방 분권 제도를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슬라비아 연행정구역.png

페르트라쟈프레시야
인피스트사라예보프리예도르, 비하취, 야이체, 트라브니크, 자블리니차, 콘지츠, 모스타르, 고라즈데, 클라다니, 투즐라, 비옐리나, 브르치코, 제니챠, 비냐루카, 데르벤타, 보산스키브로트
오르덴아도르포드고리차플리예비야, 첸티니예, 샹트페테르, 비옐로폴리예, 울치니
레시텐시야자그레브오시예크, 부코바르, 빈코프치, 시샤크, 카를로바츠, 리예카, 오미살류, 풀라, 자다르, 시베니크, 스플리트, 플로체, 두보로브니크, 스플릿, 트로기르, 프리모스텐, 오파티야, 플리트비체
브르타뉴프리슈티나미트로비차, 페취, 프리즈롄
카렐리야스코페고스티바르, 프릴레프, 티노프벨레스, 라도비슈, 게브겔리야, 스트루미치, 스트라친, 클레노베크
세르이야베오그라드수보티카, 노비사드, 즈레냐닌, 판체보, 스메데로보, 크라구예바츠, 보르, 니슈, 노비파자르, 비엔, 로제르, 페리, 브뤼폰
일드그라드류블랴나트르보블례, 일리르스카비스트리차, 슬로벤그라데츠, 무르스카소보타, 노보메스토, 포스토이나, 트리에스테, 슬로벤그라데츠
슬라브티안프리야부르가스, 네셰부르, 바르나, 도브리취, 슬리벤, 스타라자고라, 벨가르, 하이워드, 프릴리야
프로비옌스소피아비딘, 롬, 블라고옙그라드, 플로브디프, 쿠르잘리, 플레벤, 클라우디아그라드, 몬타나, 하스코프, 프리미예르, 발카리야, 스타브로폴, 바르, 베르샤바, 오르세티야, 릴라

슬라비아 연방왕국 수도(Capital)

슬라비아 연방왕국의 수도는 세르이야 페르트의 중심 도시이자 슬라비아 연방왕국의 종주도시인 베오그라드(Beograd)이다. 헌법에서 규정한 정식 명칭은 베오그라드 연방특별시이다.

연방주체

연방페르트(Federal Pelet)

연방페르트(Federal Pelet)는 슬라비아 연방 정부가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지방 분권과 편의를 위해 설정한 광역 규모의 연방주체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연방지구(Federal District)라고 불리며 안토니오 마티야 메트로비치 49대 연방내각총리 집권시기에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되면서 연방페르트(연방지구)는 연방주체 중에서 유일하게 간접적으로 연방내각총리가 임명한 연방전권대표가 파견되어 연방페르트(연방지구)의 활동을 감독·총괄하여 행정 사무를 담당한다. 각 페르트의 연방전권대표는 연방내각총리에게 지역의 정보와 현황을 보고해야하는 의무를 가지며, 연방주체로서 다른 연방주체와 동일하게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연방특별시(Federal Special City)

연방특별시(Federal Special City)는 슬라비아 연방왕국 연방중앙정부의 직접적인 내정 통치를 받는다. 연방평의회와 국민회의에서 제헌의회를 결사하여 제정된 헌법과 연방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입각하여 적용되며, 연방특별시 행정직무기관과 시의회에서 제정한 자치법률·조례·규칙은 연방법에 따라 보장된다. 슬라비아 연방왕국의 연방특별시는 베오그라드 연방특별시사라예보 연방특별시가 있다. 더불어 베오그라드 연방특별시장과 사라예보 연방특별시장은 연방자치단체에서 유일한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연방특별관구(Federal Special District)

연방특별관구(Federal Special District)는 연방특별시 다음가는 위상을 가진 연방주체이다. 본래 연방특별관구는 경제·관광·산업을 비롯한 사회 분야 개발 및 집적을 위한 연방특구에서 기원하였는데 점차 특구의 규모가 광대하게 커지면서 국민회의에서 발의한 연방자치법 개정안이 연방평의회에서 통과되면서 연방특구가 연방특별관구로 승격되었다. 연방특별관구는 슬라비아 연방왕국 연방중앙정부의 직할로 두며 하위 행정구역를 비롯한 기초자치단체를 관할하는 행정적 권리를 가진다. 현재 슬라비아 연방왕국의 연방특별관구는 세르비아 연방특별관구가 유일하다. 연방특별관구는 연방주체 중에서 유일하게 관구의회에서 제정된 연방관구자치조례를 책정하여 적극적인 중앙정부의 지원을 우선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연방특별관구총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으며,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연방행정시(Federal Administration City)

연방주(Federal State)

해외특별공동체(Overseas Special Communities)

해외특별공동체(Overseas Special Communities)는 슬라비아 연방왕국 국외 영토 속령을 총통한다. 연방주체로서, 본토의 연방주체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유럽연합의 영역으로 인정 받아 유럽연합의 법령을 적용 받고 유로를 사용한다. 슬라비아령으로 슬라비아 연방왕국 연방헌법 하에 존재한다. 참정권이 보장되어있기 때문에 연방총선거를 통해 본토 의회에 대표 및 의원을 파견한다. 해외특별공동체는 자주적인 법령·조례·규칙을 비롯한 규정을 제정하여 지역 대표 선출을 포함한 연방 운영에 있어 독립적인 자치권을 갖는다. 동시에 유럽 연합의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럽 의회 선거에도 참여할 수 있다. 현재 슬라비아 연방왕국 해외특별공동체는 카리브 제도의 로제르 폴리티야가 유일하다.

연방구체

라쟈프(Razaf)

레시야(Ressiya)

코웬(Cowen)

  1. 대한민국으로 표현하자면 충청도, 경상도와 유사
  2.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경상북도와 유사
  3. 대한민국의 수원시·청주시 같은 한 도의 중심도시 및 특례시에 해당
  4. 대한민국의 시·군에 해당
  5. 최하위 행정구역으로서 대한민국의 구·동·읍·면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