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통상적으로, 1517년 마르틴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시작된 기독교 내부의 대규모 개혁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 이 사건은 단순히 기독교의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사에 거대한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평가되며, (세부적으로는 시선 차가 있지만) 이 시기를 기준으로 중세와 근대를 구분한다. 종교 개혁의 결과로 가톨릭에서 분리된 교회들을 통틀어 개신교라고 부른다.
대중적으로는 위와 같이 널리 통용되고 있지만, 사실 마르틴 루터 이전에도 개신교라고 할 수 있는 종파는 여럿 등장했었다. 그리고 가톨릭도 개혁 시도를 했다. 때문에 오늘날 종교 개혁이라는 말은 대개 개신교의 등장과 팽창을 위시한 개혁을 의미하나, 넓게 보면 가톨릭의 개혁까지 포함한다. 본 문서에도 가톨릭 중심으로 개혁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널리 퍼진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종교 개혁'이라고 하면 개신교가 가톨릭(천주교)에서 갈라져 나간 그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맞다. 그렇기에 마르틴 루터 개인의 공헌이 매우 큰 사건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루터 한 사람에 의해서만 촉발된 사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당대의 사회적, 종교적 모순 등의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그로 인해 일어난 사건이라고 보는 쪽이 정확하다.
종교 개혁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유럽사에서 워낙 큰 사건이었기에 'the Reformation'으로 표기하며, 고유명사로 쓰인다. 이는 유럽 내 다른 언어들도 마찬가지였다.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도 예외는 아니며, 이를 la Reforma로 표기했다. 다른 종교의 개혁에 대해서는 정관사 the가 빠지고 소문자만으로 'reformation'라고 표기되었는데 현대에 와서 이 단어가 기독교, 유럽 중심적이란 비판이 일어나자 일부에선 'Protestant Reformation'이라는 대체 용어를 쓰려는 추세다. 그러나 기존 용어가 상당히 오랜 시간에 결쳐 관습적으로 쓰여 왔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폐기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둘을 병용하고 있다. 한국어로 굳이 번역하면 가톨릭을 포함하는 의미로 쓸 경우엔 '기독교 개혁', 개신교의 출현만을 의미한다면 '프로테스탄트 개혁' 정도로 번역해야겠지만, 그러면 또 번역상의 난제가 생기는 탓에(예를 들어 '개신교 개혁'이라고 하면 한자어 특성상 겹말처럼 보일 수 있다. 개신교라는 명칭은 한자로 '개혁된 새 교회'라는 뜻이기 때문) 오래 쓰인 종교 개혁이란 번역을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