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한민족청년단 | |||||
국가 | ![]() | ||||
족청(族靑) | |||||
민족지상, 국가지상 | |||||
1946년 10월 9일 (조선민족청년단) | |||||
1948년 8월 (대한민족청년단) | |||||
한성부 중구 을지로 5가 77번지 | |||||
한민족주의,애국주의,일민주의,국민주의,협동조합주의 | |||||
우익 ~ 극우 | |||||
이범석 | |||||
이범석 | |||||
석 / 석 (%) | |||||
석 / 석 (%) | |||||
민족의 영 (#234794) | |||||
백의사(白衣社) |
개요
상세
이범석을 중심으로 안춘생과 노태준이 지휘했던 광복군 제2지대를 주축으로하여 창설되었다.
당시의 다른 우익단체들과 차별화된 점이 상당히 많았는데 일단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모두 반대하는 제3의 노선에 있었다. 또한 다른 우익 단체들이 테러를 일삼거나 좌익 세력과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족청은 이범석부터가 테러를 반대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좌익과 충돌하지 않고 청년들의 교육과 훈련에 집중했다. 그 때문에 당시 여러 우익단체들의 지나친 폭력행사를 우려하고 상대적으로 온건한 우파를 찾던 미군정(米軍政)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강령으로는 단지삼칙이 있었으며, '민족지상, 국가지상'의 슬로건을 내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