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내셔널가는 프랑스 코뮌의 국가로써 1920년 5월 1일, 레옹 주로의 노동정책위원장 취임 이후 연주되면서 정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원래 가사는 6절까지 있으나 1절, 2절 및 6절만 제창한다.
듣기
가사
1절 | |
Debout, les damnés de la terre | |
Debout, les forçats de la faim | |
La raison tonne en son cratère | |
C'est l'éruption de la fin | |
Du passé, faisons table rase | |
Foule esclave, debout, debout | |
Le monde va changer de base | |
Nous ne sommes rien, soyons tout | |
후렴 | |
C'est la lutte finale | |
Groupons-nous, et demain | |
L'Internationale sera le genre humain | |
C'est la lutte finale | |
Groupons-nous, et demain | |
L'Internationale sera le genre humain | |
2절 | |
Il n'est pas de sauveurs suprêmes | |
Ni dieu, ni César, ni tribun | |
Producteurs, sauvons-nous nous-mêmes | |
Décrétons le salut commun | |
Pour que le voleur rende gorge | |
Pour tirer l'esprit du cachot | |
Soufflons nous-mêmes notre forge | |
Battons le fer quand il est chaud | |
6절 | |
Ouvriers, paysans, nous sommes | |
Le grand parti des travailleurs | |
La terre n'appartient qu'aux hommes | |
L'oisif ira loger ailleurs | |
Combien de nos chairs se repaissen | |
Mais si les corbeaux, les vautours | |
Un de ces matins disparaissent | |
Le soleil brillera toujours |
해석
1절 | |
일어나라,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아 | |
일어나라, 굶주림의 노예들아 | |
이성의 불길이 분화구에서 타오르니 | |
이것은 마지막 외침이 되리라 | |
과거는 깨끗한 판으로 덮일지니 | |
억압받은 민중들아, 일어나라, 일어나라 | |
세상은 바야흐로 밑바닥부터 뒤바뀌고 | |
아무것도 아니었던 우리들이 전부가 되리라 | |
후렴 | |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 |
모두 단결하라, 그리고 내일 | |
인터내셔널은 인류의 미래가 되리라 | |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 |
모두 단결하라, 그리고 내일 | |
인터내셔널은 인류의 미래가 되리라 | |
2절 | |
어디에도 위대하신 구원자는 없노라 | |
신도, 황제도, 달변가도 | |
노동자들아, 우리들 스스로를 구하고 | |
공동체의 구원을 선언하라 | |
그리하여 강도들의 탐욕을 환원하고 | |
감옥에 갇힌 영혼들을 해방시키리라 | |
우리네 대장간에서 달구어진 | |
강철이 아직 뜨거울 때 두드리자 | |
6절 | |
직공들, 농부들, 우리들은 | |
위대한 노동자의 당이다 | |
지구는 오직 인간의 소유이고 | |
무위도식하는 자들을 위한 공간은 없다 |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했는가 | |
하지만 만일 그 까마귀떼와 독수리떼들이 | |
아침의 어느 날 사라진다면 | |
태양이 영원토록 밝게 비추리라 |
비공인 가사(3절-5절)
해석
기타 준 국가로 공인되는 노래
적기(Drapeau rouge)
듣기
흑색 인터내셔널(Internationale Noire)
듣기
인터내셔널의 부름(Appel de L'internationale)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