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敬帝國 宮內部 / Imperial Affairs Apparatus | |
설립일 | 정공 26년, 1890년 6월 9일 |
---|---|
설립 근거 | 대경제국 제1제국 헌법 |
전신 | 대경국 승정원 |
해산일 | 의명 25년, 1961년 5월 17일 |
후신 | 대경제국 궁내부 |
직원 수 | 15,146명 |
궁내대신 | 16대 이성진(마지막) |
상급기관 | 대경제국 제1제국 내각 |
개요
궁내부는 대경제국 제1제국의 황실 사무를 총괄하고 궁무부를 관장하던 기관이었다.
역사
황국제제 이후 궁내정제가 개편되면서 왕실 사무를 통할하던 대경국 승정원이 폐지되고 대신 황실 사무를 총괄할 기관으로 궁내부가 설치됐다. 궁내부가 설치되고 내관부와 별도로 설치됐던 대경제국 제1제국 황립자문원이 궁내부 산하조직으로 편입되면서 궁내부 조직이 대거 확장됐는데 이때부터 궁내부는 궁무부 기관을 실질적으로 관장하는 시종조직으로 확립된다.
순종 치세 후반에 궁내부는 궁무부 대권에 도전하는 추밀원과 갈등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시종조직이 분열되면서 궁내부 계열의 시종파와 동지회파, 추밀원 계열의 명경파와 청경파가 서로 경쟁을 시작한다. 한편 명경파의 후원을 받던 영종이 황위에 오르면서 명경파를 제외한 다른 파벌들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 버렸고 추밀원 계열 계파가 명경파로 통일되면서 추밀원 중심의 시종조직 체제가 출범하게 된다. 그러나 제2차 경일전쟁으로 대경제국 제1제국이 아수라장이 되고 피란 과정에서 추밀원 상부조직이 괴멸됨에 따라 그 공백을 자연스레 궁내부 계열 계파인 시종파와 동지회파가 매꾸기 시작한다. 이윽고 혜경으로 황실이 몽진하였을 때, 시종조직은 완연한 궁내부 파벌 중심의 체제로 개편된 상태였다. 이에 의종은 궁내부의 독주를 견제할 차원으로 승정원을 부활시켜 궁무부 기관들을 감찰하는 기관으로 만든다.
이에 따라 궁내부 계파VS승정원 구도의 궁무부 체제가 새롭게 시작된다. 전쟁이 끝나고 뒤를 이어 일어났던 6.25 내전까지 마무리된 직후 궁내부 파벌은 시종파로 통일되고 승정원에서는 기존 감찰권을 놓고 내부 경쟁을 펼치던 좌파와 우파 간 갈등이 봉합되면서 궁내부와 승정원 간 경쟁이 더욱 가열된다. 헌데 박정희의 군사정변으로 제정이 폐지되면서 두 조직 모두 강제 해산당한다. 마지막 궁내대신인 이성진 백작은 복벽 1년 전인 1986년에 사망하고 다른 궁내부의 관료들도 복벽 이전에 모두 스트레스사를 하거나 의문사를 하면서 제1제국 궁내부를 경험했던 관료는 현재 소수만 존재한다. 이들중 대부분은 지금은 '귀족원로'의 위치에 있다.
구성
궁내부에는 대신관인 궁내대신을 수장으로 하는데 궁내대신은 명목상 대경제국 제1제국 총리대신이 지명한 인물을 황제가 임명하는 구조지만 실질적으로는 대경제국 제1제국 귀족대표회의에서 지명한 인물을 황제가 임명하는 것이 관습화되어 있었다.
궁내대신 예하에는 중앙조직을 관할하는 영무원과 산하조직을 관할하는 외무원이 있는데 영무원의 수장인 영무원장과 외모원의 수장인 외무원장은 모두 칙임관이다. 이들의 임면권은 궁내대신이 가졌었다. 중앙조직 2과(정무과, 재무과), 5사(훈문사, 기훈사, 시종사, 무관사, 공무사), 5관(총무관, 공무관, 내무관, 좌무관, 자문관)은 영무원장이 건의한 인물을 궁내대신이 임명함으로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산하조직 대경제국 제1제국 시위대, 대경제국 제1제국 황립자문원, 내관부은 외원장이 건의한 인물을 궁내대신이 임명함으로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