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배사마귀 (배넓적사마귀, 아시안사마귀) Giant Asian mantis | ||
---|---|---|
학명 | Hierodula patellifera (Serville, 1839)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사마귀목Mantodea | |
과 | 사마귀과Mantidae | |
속 | 넓적배사마귀속Hierodula | |
종 | 넓적배사마귀H. patellifera |
개요
사마귀목 사마귀과의 곤충.
'배넓적사마귀'로도 부르며 생김새로는 전체적으로 홀쭉하고 날씬한 기타 사마귀에 비해 덩치가 크고 머리가 크지만 길이가 짧아 사마귀 종류 중 애기사마귀와 함께 귀여움을 자랑한다. 체형을 보면 이국적인 외국종 사마귀의 느낌이 물씬 풍기지만 한반도에도 널리 서식하며 과거에는 남부지방에서만 서식했지만 서식지가 남한 전체로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우점종의 위치에까지 올랐다. 남중국, 대만, 일본, 오키나와,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자바섬, 뉴기니 등지에 분포하며 인도와 하와이 등지에서도 발견되었다.
넓적배사마귀를 포함한 넓적배사마귀 종류(Hierodula 속)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주로 서식한다. 넓적배사마귀와 비슷한 종류로 방패사마귀(Rhombodera), 아프리카사마귀(Sphodromantis), Tamolanica, Paramantis, Rhomboderella, Prohierodula 등이 있다.
상세
길이는 별로 길지 않아 수컷은 45mm~65mm, 암컷은 50mm~75mm 정도지만 덩치가 커서 다리의 굵기나 배의 굵기는 국내 최대종인 왕사마귀와 맞먹기도 한다. 하지만 왕사마귀보다 몸길이가 짧아 늘씬한 왕사마귀에 비해 작고 짧아 보인다.
하지만 넓적배사마귀속 전체를 놓고 보면 소형 척추동물을 단번에 제압할 수 있을 정도로 크거나 강한 종도 있다. 같은 넓적배사마귀속의 Giant Asian mantis(Hierodula membranacea)는 길이 약 20cm의 뱀을 물론 뱀이 옥수수뱀 새끼였지만.. 참고로 옥수수뱀은 북미에만 살아서 두 종은 만날 수 없다. 해당 장면은 다큐 촬영을 위한 연출로 보인다.
전 세계의 사마귀들 중에서도 신체적인 밸런스가 가장 좋은 편에 속하는 사마귀로 평균 5~6cm의 무난한 크기, 적당히 두꺼운 몸통과 다리 덕분에 민첩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먹이도 잘 잡고 활동성이 좋아 사육시 먹이 반응이 좋은 편이다. 다만 유충 시기에는 움직임이 민첩하고 경계심이 많다. 그리고 대부분 풀숲에 사는 기타 사마귀와는 달리 주로 나무 위에서 서식하는 종이라 찾기 힘든 편이다. 물론 풀숲에서 잘 먹고 잘 커서 성충까지 된 개체도 발견되긴 한다. 최근에는 오히려 풀숲에서 서식하는 개체들이 더 많이 보인다.특히 잘 조성된 고추나무를 선호하는 편이다. 진딧물이나 파리가 많이 꼬이기때문에 새끼들의 먹잇감이 많아서 성장도 빠르다. 주로 느티나무나 벚나무 오동나무 아카시아 등 활엽수를 좋아하는 편이며 도심지에서도 가로수나 공원, 방음림 등에 서식하기도 한다. 활엽수에 사는 습성상 비행하는 곤충을 자주 잡아먹는다. 매미도 종종 먹는다. 이에는 깔따구, 잠자리, 날도래, 강도래 등 연가시를 매개하는 곤충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가시 감염율이 좀 있는 편이며 물에 복부를 담가보면 연가시가 나오는 광경을 볼 수도 있다. 꽃매미도 많이 사냥하는데 우선 두 종다 나무에서 서식하며 아열대성 곤충이기 때문에 서식지가 겹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꽃매미가 많은 가죽나무 근처에서는 이 녀석들도 많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