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스토리우스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기독교의 종파}} [목차] == 개요와 명칭 == 네스토리우스파는 그리스도교의 종파 중 하나로 비칼케돈 교파이다. 콘...)
 
3번째 줄: 3번째 줄:
 
[목차]
 
[목차]
  
== 개요와 명칭 ==
+
==개요와 명칭==
 
네스토리우스파는 [[그리스도교]]의 종파 중 하나로 [[칼케돈 공의회|비칼케돈 교파]]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아람어]]: ܢܶܣܛܘܽܪܝܳܘܣ ܦܰܛܪܺܝܰܪܟܳܐ,  Nesṭōrīyōs Paṭrīyarkā)가 주장한 신학론이 중심이다. 그리스도교 초창기에 갈라져 나오고 5세기 이후 심하게 탄압받아 유럽 외부로 이동하였다. 때문에 주로 아시아 지역에 전파되었다. 현대까지 이 교파는 [[아시리아 동방교회]] 및 [[동방 고대교회]]를 통해 존속하지만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설 자체는 폐기된 상태이다.
 
네스토리우스파는 [[그리스도교]]의 종파 중 하나로 [[칼케돈 공의회|비칼케돈 교파]]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아람어]]: ܢܶܣܛܘܽܪܝܳܘܣ ܦܰܛܪܺܝܰܪܟܳܐ,  Nesṭōrīyōs Paṭrīyarkā)가 주장한 신학론이 중심이다. 그리스도교 초창기에 갈라져 나오고 5세기 이후 심하게 탄압받아 유럽 외부로 이동하였다. 때문에 주로 아시아 지역에 전파되었다. 현대까지 이 교파는 [[아시리아 동방교회]] 및 [[동방 고대교회]]를 통해 존속하지만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설 자체는 폐기된 상태이다.
  
 
이들은 그리스도교의 초대 공의회 중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만을 인정한다. '경교(景敎)'라는 명칭도 존재하는데 이는 중국 [[당나라]] 시기 빛의 신앙이라는 뜻에서 부른 '경([[景]])'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다. 물론 당나라 시기 중국에서 경교라고 부른 것은 [[조로아스터교]]를 중국에서 배화교로 부른 것과 유사하게 현지화한 것에 가깝다.
 
이들은 그리스도교의 초대 공의회 중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만을 인정한다. '경교(景敎)'라는 명칭도 존재하는데 이는 중국 [[당나라]] 시기 빛의 신앙이라는 뜻에서 부른 '경([[景]])'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다. 물론 당나라 시기 중국에서 경교라고 부른 것은 [[조로아스터교]]를 중국에서 배화교로 부른 것과 유사하게 현지화한 것에 가깝다.
  
 +
==안티오키아 학파와 네스토리우스==
 +
'네스토리우스파'라고 불리는 주장은 네스토리우스의 독자적인 주장이라기보다는 초기 교회 시절부터 이어져 온 [[안티오키아]] 지역 교회의 특성의 영향이 크다. 안티오키아는 동방 무역의 중심지로 비록 지중해 문화권이긴 해도 시리아 지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고, 교역의 중심지였기에 [[아람어]]를 쓰는 주민들도 상당했다. 그리하여 라틴과 그리스 문화권의 그리스도교 신학과는 다른 모습으로 신학이 발전했는데, 성경 해석에 대해서 역사적이며 논리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
 +
이전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일체]]와 관련하여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활약으로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선고받았는데[* 그러나 아리우스파의 인기는 상당했고, 특히 로마 군인들이 선호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조차 죽기 전 아리우스파에 경도된 사제에게 세례받았고, 게르만족에게도 큰 인기를 얻었다.], 아타나시우스의 주장에서 더 나아가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어떻게 다르며 어떻게 동시에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타나시우스 본인의 신학으로도 명쾌하게 설명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많은 교회 인사들이 전전긍긍하며 신학적 논리를 전개하며 설명해 나갔는데, 훗날 대적하게 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티오키아 학파가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
----
 
[[분류:네스토리우스파]]
 
[[분류:네스토리우스파]]

2023년 12월 7일 (목) 21:36 판

라틴 십자가.png
기독교의 종파
[ 펼치기 · 접기 ]

개요와 명칭

네스토리우스파는 그리스도교의 종파 중 하나로 비칼케돈 교파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아람어: ܢܶܣܛܘܽܪܝܳܘܣ ܦܰܛܪܺܝܰܪܟܳܐ, Nesṭōrīyōs Paṭrīyarkā)가 주장한 신학론이 중심이다. 그리스도교 초창기에 갈라져 나오고 5세기 이후 심하게 탄압받아 유럽 외부로 이동하였다. 때문에 주로 아시아 지역에 전파되었다. 현대까지 이 교파는 아시리아 동방교회동방 고대교회를 통해 존속하지만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설 자체는 폐기된 상태이다.

이들은 그리스도교의 초대 공의회 중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만을 인정한다. '경교(景敎)'라는 명칭도 존재하는데 이는 중국 당나라 시기 빛의 신앙이라는 뜻에서 부른 '경()'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다. 물론 당나라 시기 중국에서 경교라고 부른 것은 조로아스터교를 중국에서 배화교로 부른 것과 유사하게 현지화한 것에 가깝다.

안티오키아 학파와 네스토리우스

'네스토리우스파'라고 불리는 주장은 네스토리우스의 독자적인 주장이라기보다는 초기 교회 시절부터 이어져 온 안티오키아 지역 교회의 특성의 영향이 크다. 안티오키아는 동방 무역의 중심지로 비록 지중해 문화권이긴 해도 시리아 지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고, 교역의 중심지였기에 아람어를 쓰는 주민들도 상당했다. 그리하여 라틴과 그리스 문화권의 그리스도교 신학과는 다른 모습으로 신학이 발전했는데, 성경 해석에 대해서 역사적이며 논리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이전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일체와 관련하여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활약으로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선고받았는데[1], 아타나시우스의 주장에서 더 나아가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어떻게 다르며 어떻게 동시에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타나시우스 본인의 신학으로도 명쾌하게 설명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많은 교회 인사들이 전전긍긍하며 신학적 논리를 전개하며 설명해 나갔는데, 훗날 대적하게 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티오키아 학파가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1. 그러나 아리우스파의 인기는 상당했고, 특히 로마 군인들이 선호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조차 죽기 전 아리우스파에 경도된 사제에게 세례받았고, 게르만족에게도 큰 인기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