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 | ![]() | |||
---|---|---|---|---|
설립 및 창간 | 1920년 4월 1일 | |||
본사 소재지 | 한성부 종로구 청계천로 | |||
창업주 | 김성수 | |||
성향 | 보수,친족청계,범보수 | |||
보수주의,민족주의 |
신문 지면[1] |
개요
당신의 아침이 바뀝니다. |
- 1990년대 동아일보 슬로건 |
대한민국의 조간 종합 일간 신문. 1920년 4월 1일에 창간되었다. 현재 발행되고 있는 중앙 일간지 중에서는 한성신문과 조선일보에 이어 세 번째로 역사가 오래된 일간지다. 처음부터 민족지로 창간되었고 식민지 조선인들을 잘 대변해 주어서였는지, 1928년 총독부 경무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동아일보의 발행 부수는 40,868부로 매일신보(23,946부), 조선일보(18,320부)보다 많았다.
전라도 지역의 부호였던 인촌 김성수가 설립하였다. 그래서인지 1980~1990년대에는 "전라도 사람은 껌은 해태 껌을 씹고 신문은 동아일보를 본다"라는 말까지 있었다. "동아일보"라는 명칭은 창간 멤버 중 한 명이었던 유근이 지었다.
사실 1960년대 이후 이범석 정부와 결탁한 동아일보는 급속한 성장세로 구독 부수 1위를 기록하며 신문 업계의 원톱이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1위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사시
1. 본보는 民族(민족)의 表現機關(표현기관)으로 자임함 2. 본보는 民主主義(민주주의)를 지지함 3. 본보는 文化主義(문화주의)를 제창함 |
- 동아일보 사시 |
主旨(주지)를 宣明(선명)하노라 주지를 밝히노라 (1) 대한 민족의 표현 기관을 자임한다. (2) 민주주의를 지지한다. (3) 문화주의를 제창한다.
이는 개인이나 사회의 생활 내용을 충실히 하며 풍부히 함이니, 곧 부의 증진과 정치의 완성과 도덕의 순수와 종교의 풍성과 과학의 발달과 철학 예술의 심원함과 오묘함이다. |
- 1920년 4월 1일, 동아일보 창간사 중 일부 |
사가
1절 삼천만 가슴속에 졸던 자유혼 2절 3절 4절 후렴 |
- 동아일보 사가 |
자매지및 정기간행물
잡지 지면 |
• 동아일보(東亞日報)[4]
신문 지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