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狐 | Fox | ||
---|---|---|
학명 | Vulpes (Frisch, 1775)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개과Canidae | |
속 | 여우속Vulpes |
개요
개과에 속하는 소형 포식동물.
흔히 "여우"라고 하면 붉은여우만이 떠오르고 간혹 사막여우와 북극여우가 생각나지만, 그 외에도 여러 종들이 있다. Vulpes속(붉은여우, 티베트모래여우, 사막여우, 북극여우 등)과 Urocyon속(회색여우 등)이 분류학적으로 여우에 속한다.
상세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설치류와 곤충, 절지동물, 토끼, 가금류, 개구리, 도마뱀, 나무열매를 먹고 산다.
개과 동물치고는 비교적 독립적이다. 대다수 개과 포유류는 단체 생활로 생존을 유지한다. 늑대가 대표적. 갈기늑대와 너구리 같은 예외도 있다. 다만 이들도 동족에 대한 관용성이 높은 편이다., 브리더, 주인과의 주종 관계가 없는지 충성심도 있다가도 없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가령 실컷 물어뜯고 피하다가 갑자기 다가와서 재롱을 부리거나 명령을 거부하는 등 서열 의식도 그다지 없어보이며, 주인이어도 의심은 실컷하고, 악의를 가지고 물기도 한다. 유튜브에서 여우를 키우는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자기 기분대로 행동한다는 느낌이다. 호기심이 많아서 있는 대로 건드려 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평에 따르면 "하드웨어는 개인데 소프트웨어는 고양이다."라고 하였다. 여우를의 베스트 댓글도 똑같은 평가를 내린다.(I've said it once, I'll say it again. A Fox is what happens when you load cat.exe onto the dog hardware system.) 혹은, 여기서 더 나아가 '"개처럼 생긴 동물이 고양이처럼 행동하며 돌고래 소리를 내며 운다면 그것이 여우다"'라는 평도 자주 보인다. 신체 구조도 여러모로 일반 갯과와는 다른 특징이 많은데, 고양이처럼 세로동공이고 심지어 갯과 주제에 고양이처럼 발톱을 숨길 수 있으며 회색여우의 경우 나무도 탈 수 있다.
같은 개과라 할지라도, 초원에서 무리 사냥을 해온 선조를 둔 쪽과 숲에서 은신과 기습을 통한 단독 또는 가족제 사냥 활동을 해온 선조를 둔 쪽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초원에서는 몸을 숨긴 채 몰래 다가가서 사냥감을 덮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무리 사냥을 하게 되었고 이런 생활상에 따라 무리와 무리 우두머리라는 개념이 생겨났으며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동물이 늑대. 개는 늑대에서 다시 분화되었으므로, 개에게 무리 개념과 충성심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숲에서 단독 혹은 가족제 생활을 해왔던 갯과 동물들, 대표적으로 여우와 너구리 등은 지금 길들인다 할지라도 무리 생활을 했던 늑대와 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것.
그래도 갯과는 갯과인지라 엄연히 고양이와는 다르다. 고양이와 오소리보다 지저분하다. 오소리와 고양이는 따로 용변 보는 곳을 두지만 여우는 집을 뺏기 위해 오소리 굴에 똥을 싸거나 따로 화장실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영리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반면 의심도 많다. 밤에 닭장에서 닭을 물고 갈 때 닭을 문 채로 자기 몸 위에 덮어씌워서 얼핏 보면 마치 닭이 혼자서 닭장 밖으로 뛰쳐나가는 것처럼 위장하는 등 위장술에 능하며, 또한 사람이 뭔가를 만들고 있는 걸 보면 유사시에 바로 모습을 감출 수 있는 숲 입구나 언덕 능선가에서 유심히 구경하는 버릇이 있다.
수컷 하나가 영역이 겹치는 여러 암컷과 교미하기도 한다.
붉은여우를 포함한 여우도 너구리와 같은 비슷한 위치인 포식동물과 같이 인체에 치명적인 기생충이 있을 수 있다. 여우에게 물리면 여우에게 기생하는 치명적인 기생충인 에키노콕스에 옮거나, 심지어는 광견병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물렸다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중 에키노콕스는 일본 여우의 70%가 감염되어 있으며 여우에게는 치명적이지 않지만 인간에게 옮으면 간에서 기생 후 뇌로 옮겨간다. 이 때문에 홋카이도에서는 야외의 호수나 개천의 물이 1급수 수준으로 깨끗하다고 해도 그냥 마실 수 없다. 여우의 분변 때문에 기생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