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익스테딕 4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위키파티협회의 공식 문서입니다. 위키파티협회의 모든 문서는 위키파티협회의 허가 없는 비상업적・상업적 사용, 배포를 금지합니다. 해당 문서는 위키파티협회의 문서입니다. 위키파티협회 관계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
| ||
[ 펼치기 · 접기 ] |
익스테딕 4공화국 정치 Politics of Republic of Extedic 4 | |
---|---|
성립 | 2021년 10월 15일 |
국가 | 익스테딕 4공화국 |
국가원수 | 이스라엘(대통령) |
부통령 | 낙지 |
국무총리 | 이혁 |
운영자 | 텐(건국자) |
부운영자 | 적 소비에트, 시카고 |
주소지 | 정부: 평천특별시 상원구 앞광장로 12 |
운영부: 진안광역시 중구 운영청사로 1015 |
개요
익스테딕 4공화국의 정치를 다루는 문서
특징
익스테딕 4공화국은 다당제가 발달했으며 매 총선때마다 비례대표 정당이 20개가 넘고, 그중 15개 정도가 원내에 의석을 얻는다. 또한 독특하게도 선거 방식이 투표소 없이 본방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로 인해 선거 기간에는 방에 참코를 걸어 선거놀음을 방지한다.
역사
12.3 사건 직후 익스테딕 4공화국은 일당우위제 성격이 강했다. 15대 총선부터 16대 총선까지의 모든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이 승리했으며, 특히 전부 소선거구제로 진행된 16대 총선에서는 단 두개의 지역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구를 차지했다. 이렇게 된데에는 자유선진당 측이 적극적인 당원 영입에 나선 점과, 이를 견재할 야권이 분열되어있었다는 점이 있다.19대 대선에서 운영자 텐이 직접 친텐연대를 차리고 출마하고, 자유선진당의 대표가 이장걸에게 넘어가게 되자 친텐연대로의 정권 교체가 성공하게 된다. 이후 자유선진당은 시민의 자유로 이름을 바꾸고 열린공화당 등과 합당을 하며 세를 불리고, 실제로 대부분의 총선에서는 시민의 자유가 승리했지만, 20대,21대,22대 대선에서는 야권의 단결 때문에 빈번히 정권을 잡지 못하다가 23대 대선에서 오랫만에 당대표 이장걸이 당선되며 다시 정권을 잡게 된다.
운영부

정부
대통령

국무총리
국회
선거
대통령 선거
1공화국 시기
익스테딕 제 1대 대통령 선거
익스테딕 제 2대 대선
익스테딕 제 3대 대선
익스테딕 제 4대 대선
익스테딕 제 5대 대선
익스테딕 제 6대 대선
익스테딕 제 7대 대선
익스테딕 제 8대 대선
익스테딕 제 9대 대선
익스테딕 제 10대 대선
익스테딕 제 11대 대선
익스테딕 제 12대 대선
3공화국 시기
익스테딕 제 13대 대선
익스테딕 제 14대 대선
익스테딕 제 15대 대선
익스테딕 제 16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17대 대선
4공화국 시기
익스테딕 4공화국 제18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19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0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1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2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3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4대 대선
익스테딕 공화국 제25대 대통령 선거
익스테딕 4공화국 제26대 대선
익스테딕 4공화국 제27대 대선
5공화국 시기
국회의원 총선거
지방선거
정당
현존 정당
시민의 자유 우리연합 녹색당 신개혁당 동행민주당 친박신당 민주신당 민생경제당 국민회의 전진하는 익스테딕 시민네트워크 통합 팔랑헤당 함께하는 민주연합 미래전진 시민참여당 새누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