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연방 韓麗民國 Federal of Korea |
 |  |
국기 | 국장 |
상징 |
국가 | 독립애국가 |
국화 | 무궁화 |
표어 | 홍익인간(弘益人間) |
역사[ 한려연방의 정부와 헌법에 따른 역사이다. 한려연방의 역사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한려연방/역사참고 바람.] |
수도 |
한성특별시 |
면적 |
헌법상 743,748㎢ 내수면 301㎢ |
인문 환경 |
인구 | 총인구 | 8300만명 |
인구밀도 | 511명/㎢(2017) |
출산율 | 0.97명[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것.](2018) |
공용 언어 | 한국어, 한국수화언어 |
공용 문자 | 한글[ "공공기관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한자 또는 다른 외국 글자를 쓸 수 있다." (국어기본법 제14조) 이때 한자는 주로 한국어 표기에, 외국 글자는 외국어 표기에 사용된다.] |
종교
[ 대한민국의 참고.] | 국교 | 없음 |
신자비율 | 종교 없음 56.1% 천주교 24.2% 불교 15.5% 기타 0.8% |
자국군 보유 여부 | 한려연방 국군 |
하위 행정 구역 |
광역자치단체 | 1특별시 광역시 1특별자치시 1특별자치도 8도 |
기초자치단체 | 75시 82군 69자치구 |
미수복지역 | 이북 5도[ 헌법에서는 북한을 정식상 국가가 아닌 무장세력들이 차지한 땅이라 규정하고 있다.] |
정치 |
정치체제 | 연방제(국민주권), 민주주의(자유민주주의), 단일국가, 정교분리, 문민통제,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다당제, 지방자치, 성문법주의(대륙법계) |
대통령 | 한성현 |
부통령 | 이성운 |
5부 요인 | 국무총리 | 이찬성 |
경제 |
경제 체제 | 혼합경제[ 대한민국 헌법 제119조 제1항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라면서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경제 체제임을 규정하고, 제 119조 제2항에서는 '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면서 경제민주화의 추구 및 시장경제를 일부 제한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토지 사유제, 절대적 소유권, 사적 자치 |
명목 GDP | 전체 GDP | $1조(2018년 4월 기준) / 세계 12위 |
1인당 GDP | $32,775(2018년 4월 기준) / 세계 27위 |
GDP(PPP) | 전체 GDP | $2조(2018년 4월 기준) |
1인당 GDP | $41,388(2018년 4월 기준) |
수출입액 | 수출 | $5,739억(2017년) / 세계 6위 |
수입 | $4,781억(2017년) / 세계 10위 |
외환보유액 | $4,024억(2018년 7월) / 세계 9위 |
신용 등급 |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
화폐 | 공식 화폐 | 대한민국 원(₩, won) |
ISO 4217 | KRW |
국가 예산 | 1년 세입 | 447.2조 원(2017년) |
1년 세출 | 428.8조 원(2017년) |
ccTLD |
.kr , .한국[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국가 코드 |
KR, KOR, ROK |
국제 전화 코드 |
+82 |
단위 |
법정연호 | 서력기원 |
시간대 | UTC+8(한려연방 표준시) |
도량형 | SI 단위[ 관습상 척관법이 혼용되고 있으나 「계량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단속 대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