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 뤼베크 왕국의 대외 전쟁·분쟁 |
[ 펼치기ㆍ접기 ] |
뤼베크-캄보디아 전쟁 / 5.16 테러 Lübeck-Cambodian War / 5.16 Terror | |
---|---|
기간 | |
2024년 5월 16일 ~ 2024년 10월 24일 (종전 후로부터 +255일, 0주년) | |
장소 | |
뤼베크 왕국, 캄보디아 공국 | |
원인 | |
뤼베크 왕국 총리 코코넛의 강퇴테러(5.16 테러) | |
교전세력 | |
![]() |
![]() |
지원세력 | |
![]() |
![]() |
지휘관 | |
![]() |
![]() ![]() ![]() ![]() ![]() ![]() ![]() ![]() ![]() |
결과 | |
뤼베크 왕국의 승리 뤼베크 왕국의 쇠퇴 캄보디아 공국의 멸망 뤼베크 왕립 모의전 개최 |
개요
뤼베크-캄보디아 전쟁(5.16 테러, 5.16 전쟁)은 2024년 5월 16일에서 10월 24일까지 뤼베크 왕국과 캄보디아 공국에서 벌어진 테러, 전쟁이다.
배경
5월 16일 이전
뤼베크 왕국 제2대 총선
2024년 5월 7일 마무리된 뤼베크 왕국 제2대 총선에서 신생 정당인 포도당의 코코넛 후보가 강적들인 군주연합당의 에리히 후보와 사회주의통일당의 캐탈린, 훈련교관 후보 등을 제치고 총리와 원내 제1당을 모두 차지하여 당수 코코넛이 뤼베크 왕국 제2대 총리이자 국민회의장을 역임하게 되었다.
한편 젤카슈네르 공화국, 캄보디아 공국 등에서 수상한 낌새를 느낀 뤼베크 왕국 국왕 제이는 포도당의 집권을 정지시키고 정당에 대한 조사를 실시, 필요하다면 포도당을 강제 해산하려고까지 했으나 물증 부족과 포도당 지지자들의 격한 반대로 무산되고 결국 포도당과 그 당수 코코넛의 집권기가 시작된다.
전개
5월 16일
제이가 학교로 인해 자리를 비운 오후 12시~1시경, 코코넛이 뤼베크 왕국에 대한 전면적인 테러 행위를 감행, 약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범인 코코넛은 테러 후 뤼베크 왕국을 조롱하는 발언을 하고 그대로 도주하였다.
한편 상황을 확인한 국왕 제이는 인구복구작업을 개시하는 한편, 범인에 대한 조사ㆍ추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범인이 캄보디아 공국 소속임이 드러났고, 배후세력으로 젤카슈네르 공화국이 강력히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났다.
5월 17일
국왕 제이는 뤼베크 왕국 중앙헌법에 따라 보장된 국왕의 비상시 권력 확보권을 근거로 5.16 비상계엄[1]을 선포하고 국민회의를 해산, 지원의사를 표명한 스페인 제국의 황제이자 군주연합당 당수 에리히와 함께 복구작업에 힘쓴다.
5월 22일
이후 상황이 안정화되고 인구도 조금이나마 복구된 5월 22일, 왕국의 재부흥과 활동률 증진을 위한 뤼베크 왕립 모의전이 개최되었다.
6월 10일
국민투표를 통해 모의전 체제가 종료되었다.
9월 18일
10월 23일
10월 24일
제이의 공격으로 캄보디아 공국이 폭파되었다. 총 14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직후 방장이 방을 나가며 캄보디아 공국은 최종적으로 멸망하였다.
이로써 뤼베크 왕국은 5.16 테러의 복수를 완료하였으며, 이를 뤼베크-캄보디아 전쟁의 끝으로 본다.
결과
뤼베크 왕국 - 5.16 테러를 기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던 뤼베크 왕국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고 크게 쇠퇴하였다.
또한 건국 이래 영세중립국을 자처하던 뤼베크 왕국이 인류제국에 친화적인 친인류 노선으로 변경하고, 국왕 제이가 인류제국군에 입대하게 된 주요 원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
캄보디아 공국 - 5.16 테러가 크게 성공하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으나, 뤼베크 왕국의 집요한 추적으로 정체가 금방 탄로났으며, 최종적으로는 패배하고 멸망하기에 이르렀다.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
각주
- ↑ 시행일은 5월 17일이지만, 계엄령 시행 여부가 전날 결정되었고 그 원인이 5.16 테러인지라 5.16 비상계엄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