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코누르 우주기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250px|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위치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llang|kk|Байқоңыр ғарыш айлағы}...)
 
잔글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Map baikonur cosmodrome.png|섬네일|250px|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위치]]
 
[[파일:Map baikonur cosmodrome.png|섬네일|250px|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위치]]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llang|kk|Байқоңыр ғарыш айлағы}}, {{llang|ru|Космодром Байконур}}, {{llang|en|Baikonur Cosmodrome}})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에 위치한 세계 최초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우주선 발사 기지이다. [[아랄 해]] 동쪽 200km의 [[시르다리야 강]] 연안에 있다. [[모스크바]]에서는 남동쪽으로 2,000 km 떨어져 있다. [[소비에트 연방]]의 기지였으나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카자흐스탄]]이 독립한 이후 [[러시아]]가 매년 약 1370억 원을 지불하고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llang|kk|Байқоңыр ғарыш айлағы}}, {{llang|ru|Космодром Байконур}}, {{llang|en|Baikonur Cosmodrome}})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에 위치한 세계 최초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우주선 발사 기지이다. [[아랄 해]] 동쪽 200km의 [[시르다리야 강]] 연안에 있다. [[모스크바]]에서는 남동쪽으로 2,000 km 떨어져 있다. [[소비에트 연방]]의 기지였으나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카자흐스탄]]이 독립한 이후 [[러시아]]가 매년 약 1370억 원을 지불하고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임대기간연장을 위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카자흐 : 이놈들아 언제까지 빌릴꺼야~~
  
 
== 역사 ==
 
== 역사 ==
[[1955년]]에 건설되어 장거리 미사일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우주]] 관련 시설을 확장하여 [[소비에트 연방]] 제1의 발사 기지로 쓰였다.
+
[[1955년]]에 건설되어 장거리 미사일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우주]] 관련 시설을 확장하여 [[소련|소비에트 연방]] 제1의 발사 기지로 쓰였다.
  
 
[[파일:Baikonur CIA U-2.gif|오른쪽|섬네일|250px|R-7 발사대]]
 
[[파일:Baikonur CIA U-2.gif|오른쪽|섬네일|250px|R-7 발사대]]
9번째 줄: 9번째 줄:
 
== 시설 ==
 
== 시설 ==
 
면적 7,720 m<sup>2</sup>로 15개의 발사대와 9개의 발사 시설, 발사체 조립과 [[로켓]] 연료 생산을 위한 11개의 공장, 470 km의 [[로켓]] 이동용 선로 등의 시설을 자랑한다.
 
면적 7,720 m<sup>2</sup>로 15개의 발사대와 9개의 발사 시설, 발사체 조립과 [[로켓]] 연료 생산을 위한 11개의 공장, 470 km의 [[로켓]] 이동용 선로 등의 시설을 자랑한다.
 +
 +
== 둘러보기 ==
 +
{{소련 (실제)}}

2024년 5월 9일 (목) 11:33 기준 최신판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위치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қазақша: Байқоңыр ғарыш айлағы, 러시아어: Космодром Байконур, 영어: Baikonur Cosmodrome)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에 위치한 세계 최초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우주선 발사 기지이다. 아랄 해 동쪽 200km의 시르다리야 강 연안에 있다. 모스크바에서는 남동쪽으로 2,000 km 떨어져 있다. 소비에트 연방의 기지였으나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카자흐스탄이 독립한 이후 러시아가 매년 약 1370억 원을 지불하고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임대기간연장을 위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카자흐 : 이놈들아 언제까지 빌릴꺼야

역사

1955년에 건설되어 장거리 미사일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우주 관련 시설을 확장하여 소비에트 연방 제1의 발사 기지로 쓰였다.

R-7 발사대

시설

면적 7,720 m2로 15개의 발사대와 9개의 발사 시설, 발사체 조립과 로켓 연료 생산을 위한 11개의 공장, 470 km의 로켓 이동용 선로 등의 시설을 자랑한다.

둘러보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png
소련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국장국호노동자 마르세예즈인터내셔널가소련 찬가낫과 망치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소련 공산당소련 공산당 전당대회크렘린레닌 영묘소련 최고회의소련 장관회의헌법
블라디미르 레닌이오시프 스탈린니키타 흐루쇼프레오니트 브레즈네프유리 안드로포프콘스탄틴 체르넨코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ㆍ 국가수반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동음이의어)|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비밀경찰(체카(펠릭스 제르진스키)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소련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