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이 문서는 미국-소련 냉전에 대해 다룹니다. 냉전의 다른 뜻이나 다른 내용은 냉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요

냉전은 미국과 소련,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들, 즉 서구와 동구권 사이의 지정학적 긴장의 시기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사가들은 그 시작점과 끝점에 대해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의 발표부터 1991년 12월 26일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될 때까지의 기간으로 간주한다. 냉전이라는 용어는 두 초강대국 사이에 직접 대규모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되지만, 그들은 각각 대리전으로 알려진 주요 지역 갈등을 지지했다. 이 분쟁은 1945년 나치 독일일본 제국과의 일시적인 동맹과 승리에 이어 두 초강대국의 세계적 영향력을 위한 이념적, 지정학적 투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핵무기 개발과 재래식 군사 배치 외에도, 지배권 다툼은 심리전, 선전전, 스파이 활동, 광범위한 금수 조치, 스포츠 경기에서의 경쟁, 우주 경쟁과 같은 기술 경쟁과 같은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되었다.

서구 블록은 미국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자유민주주의 국가였지만 권위주의 국가를 비롯한 구 식민지 출신의 많은 국가들도 참여하였다. 동구권은 소련과 그 공산당이 이끌었는데, 소련은 제2세계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고, 또한 권위주의 국가 네트워크에 묶여 있었다. 미국 정부는 전 세계의 반공 및 우익 정부와 봉기를 지원했고, 소련 정부는 전 세계의 좌파 정당과 혁명에 자금을 지원했다. 1945년부터 1960년까지 거의 모든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을 이루면서, 냉전의 전장이 되었다.(3세계)

냉전의 대략적인 역사

냉전의 첫 단계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시작되었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1949년 소련의 공격을 우려하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군사동맹을 창설하고 소련의 영향력 억제에 대항하는 국제적 정책을 수립했다. 소련은 1955년 나토에 대응하여 바르샤바 조약을 맺었다. 이 시기의 주요 위기는 1948년부터 1949년까지의 베를린 봉쇄, 1927년부터 1949년까지의 국공내전, 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수에즈 위기, 1961년 베를린 위기,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였다. 미국과 소련은 라틴 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의 탈식민지 국가에서 영향력을 얻기 위해 경쟁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중국과 소련 사이의 중-소 분열이 공산주의 영역 내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었고, 또한 서구 블록 국가인 프랑스는 더 큰 자율적인 행동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1968년 프라하의 봄을 진압하기 위해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한 반면 미국은 민권 운동과 베트남 전쟁 반대 등으로 내부 혼란을 겪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국제적인 평화 운동이 전 세계 시민들 사이에 뿌리를 내렸다. 핵무기 실험과 핵군축에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났고, 대규모 반전 시위가 있었다. 1970년대까지 양측은 평화와 안보를 위해 허용하기 시작했고, 전략적 무기 제한 회담과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관계 개방을 소련의 전략적 균형추로 간주하는 데탕트 시대를 열었다. 1970년대 앙골라, 모잠비크, 에티오피아, 캄보디아, 아프가니스탄, 니카라과를 포함한 제3세계에서는 막시즘 정권을 표방하는 사회주의 정권들이 수립되었다.

데탕트는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시작과 함께 10년도 가지 않아 붕괴되었다. 1980년대 초반은 긴장이 고조된 또 다른 시기였던 것이다. 미국은 이미 경제 침체를 겪고 있던 소련에 대한 외교적, 군사적, 경제적 압력을 증가시켰다. 1980년대 중반, 새로운 소비에트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글라스노스트(glasnost, 1985년경)와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 1987년)의 자유화 개혁을 도입했고 198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개입을 종식시켰다.

냉전의 역사

냉전의 정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서방 진영 사이의 지정학적 갈등을 일컫는 "냉전"[1] 이란 말은 미국의 금융업자이자 대통령 보좌관이었던 버나드 바루크가 처음으로 썼다고 한다.[2] 1947년 4월 16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바루크는 "속지 맙시다. 우리는 지금 냉전 중입니다."[3][4] 신문 기자인 월터 립먼도 1947년 '냉전'이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이 말을 널리 퍼뜨렸다.[5]

이전에도 조지 오웰이 1945년 10월 19일 영국 트리뷴 지에 기고한 시론 "당신과 원자폭탄"에서 '냉전'이란 표현을 쓴 바 있다. 그러나 그는 핵 전쟁의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세계에 대해 생각하였던 오웰은 "평화가 없는 평화"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를 영구적인 "냉전"이라고 불렀으나,[6] 소련과 서방 사이의 이념 대립을 직접적으로 지칭한 말은 아니었다.[7] 1946년 3월 10일자 '옵저버' 지에서 오웰은 "지난 12월 모스크바 회담 이후로 소련은 영국 본토와 영국에 대해 냉전을 시작하였다."라고 썼다.[8]

냉전과 제 3세계

기존의 냉전체제 개념으로는 20세기 후반 국제질서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구사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크다.

미국과 소련의, 혹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이념적 제도적 팽창 경쟁이라는 냉전 혹은 냉전체제 개념은 역사적 사실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믿음’에 기초한 것이다. 미국과 소련이 세력 팽창을 기도하고 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가나 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한 것도 핵무기를 비롯하여 무기 경쟁을 일삼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두 나라는 경쟁만 한 것이 아니라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놓고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속내를 터놓고 협력하기도 했다. 물론 경쟁과 적대를 중심에 놓는다면 협력은 부차적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 그리고 두 진영 사이의 대결이라고 선전되었던 베트남 전쟁의 경우 양국의 협력은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더구나 미국과 소련이 다른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협력했다면 냉전의 개념과 이미지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제 3세계의 ‘역사성’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 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제3세계는 미국과 소련의 세력 확대 대상으로서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제3세계 국가들이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하려는 주체적이고 공세적인 일종의 프로젝트였다.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빈국을 망라하는 제3세계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국주의 국가들의 지배와 수탈을 경험하거나 제국주의 지배 이후 빈곤과 혼란을 공통으로 겪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에 공감했다. 냉전 시기는 16세기 이래 제국주의 역사의 마지막 단계에 속하며, 식민지를 경험한 세계 인민들이 독립과 탈식민지, 그리고 근대국가 건설 과업을 추진해간 과정과 맞물린 시기였다. 제3세계 앞에 놓인 모델은 소련식과 미국식, 그리고 그들 스스로 내세운 독자적이고 중립적인 것이었다. 특히 비동맹운동은 독립, 평등, 평화, 정의, 번영 등 유럽의 근대성 모델들이 담을 수 없었던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대의를 추구했다. 그러나 그 대의는 유럽과 여타 세계, 혹은 부국과 빈국 사이의 힘의 차이, 그리고 역사적 이상과 현실의 벽에 부딪쳐 좌절되고 말았다.

냉전체제 이해든 새로운 지구사 모색이든 기존의 강대국 중심, 혹은 냉전 중심의 접근방식으로는 문제가 있다.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제국주의탈식민주의, 소련식 혹은 미국식 팽창주의, 제3세계의 기획과 선택 등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위계’ 지을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냉전은 안보 딜레마의 예일까?

냉전의 결과

냉전이 국가에 미친 영향은 그 다음 세기까지 경제적, 사회적으로 수없이 많았다. 예를 들어, 러시아에서는 1991년 이후 군사 지출이 극적으로 감소했고, 이는 소련의 군사 산업 부문에서 감소를 초래했다. 이러한 해체는 구소련 전역의 수백만 명의 직원들을 실업자로 만들었고, 이는 러시아의 경제와 군사력에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는 1990년대에 몇 가지 경제 개혁에 착수한 후, 금융 위기를 겪었다. 러시아의 불황은 대공황 기간 동안 미국과 독일이 경험한 것보다 더 극단적이었다. 러시아의 생활수준은 냉전 이후 전반적으로 악화되었지만, 국가적으로 보면 1995년 이후 경제는 압도적인 성장을 유지했다. 2005년 초, 경제가 1989년 수준의 1인당 GDP로 돌아섰다는 것이 알려졌다.

냉전은 종전 후에도 세계 정치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련의 해체로 냉전이 종식되고 미국이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남아 있는, 슈퍼파워로 널리 여겨지는 세계가 탄생했지만, 다른 많은 신흥 강대국들은 세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확실히 강대국이다. 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정치적 역할을 정의했다. 1989년까지 미국은 50개국과 군사동맹을 맺고 117개국에 150만 명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게다가 미국은 평화시 국방과 무기 산업의 영구적인 창조를 이끌었고, 이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고별 연설에서 언급되었다.

냉전시대 미국의 군사비 지출은 약 8조~9조 달러로 추정되며,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때 10만 명에 가까운 미국인이 사망했다. 군인에 의해 목숨을 잃은 것 외에도, 수백만 명이 전 세계,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초강대국의 대리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다. 냉전 후, 대부분의 대리 전쟁과 지역 분쟁에 대한 보조금은 냉전과 함께 끝났다. 국가 간 전쟁, 민족 전쟁, 혁명 전쟁, 난민과 전쟁의 영향을 받은 국가 지도자 간의 의견 불일치의 발생률은 냉전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제3세계 일부 지역에서 경쟁을 부채질하기 위해 악용된 많은 경제적, 사회적 긴장이 첨예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냉전의 유산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과거 공산주의 정부가 통치했던 여러 지역에서 국가 통제의 붕괴는 특히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새로운 시민적, 인종적 갈등을 낳았다. 동유럽에서는 냉전이 종식되면서 경제성장과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크게 늘어난 시대가 도래했지만, 아프가니스탄 등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독립이 국가 실패를 동반했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 바르샤바 조약의 무효화, 소련의 해체로 냉전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냉전을 종식시키는 공식화된 조약이 없었기 때문에, 이전의 초강대국들은 기존의 핵무기와 운송 시스템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개선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다양한 단계를 계속해 왔다. 게다가, 이전에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지 못한 다른 나라들은 핵폭발 장치를 개발하고 실험했다. 현재 국가 조직이나 개인에 의한 핵 및 방사능 테러의 위험이 우려되고 있지만, 대테러 조직의 노력으로 아직 핵 테러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둘러보기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

각주

  1. "cold war –noun . . . (3) (initial capital letters) rivalry after World War II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its satellites and the democratic countries of the Western worl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Dictionary, unabridged, based on the Random House Dictionary, 2009
  2. John Lewis Gaddis (2005). 《The Cold War: A New History》. Penguin Press. ISBN 1594200629. 
  3. 'Bernard Baruch coins the term "Cold War" Archived 2009년 2월 25일 - 웨이백 머신', history.com, April 16, 1947. Retrieved on July 2, 2008. "Let us not be deceived: we are today in the midst of a cold war."
  4. 언론인 허버트 배이어드 스워프가 기사화하였다.
    Safire, William (2006년 10월 1일). “Islamofascism Anyone?”.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08년 12월 25일에 확인함. 
  5. Lippmann, Walter (1947). 《Cold War》. Harper. 2008년 9월 2일에 확인함. 
  6. Kort, Michael (2001). 《The Columbia Guide to the Cold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3쪽. 
  7. Geiger, Till (2004). 《Britain and the Economic Problem of the Cold War》. Ashgate Publishing. 7쪽. 
  8. Orwell, George, The Observer, March 10,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