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시네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D52128><bgcolor=#D52128> {{{+3 {{{#FFFFFF '''롯데시네마'''}}}}}}[br]{{{+1 {{{#FFFFFF '''LOTTE CINEMA''' }}}}}} ||||
 
||||<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D52128><bgcolor=#D52128> {{{+3 {{{#FFFFFF '''롯데시네마'''}}}}}}[br]{{{+1 {{{#FFFFFF '''LOTTE CINEMA''' }}}}}} ||||
|||| [[파일:롯데엔터테인먼트 영문 로고.png|350px]] ||||
+
|||| [[파일:롯데시네마 로고.png|350px]] ||||
 
||<bgcolor=#D52128> {{{#FFFFFF '''한글 명칭'''}}} ||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
 
||<bgcolor=#D52128> {{{#FFFFFF '''한글 명칭'''}}} ||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
 
||<bgcolor=#D52128> {{{#FFFFFF '''영문 명칭'''}}} || LOTTE CINEMA ||
 
||<bgcolor=#D52128> {{{#FFFFFF '''영문 명칭'''}}} || LOTTE CINEMA ||
25번째 줄: 25번째 줄:
  
 
  * HAPPY MEMORIES (2012~ )
 
  * HAPPY MEMORIES (2012~ )
 
== 특징 ==
 
[youtube(NF0-8R5GK3Q)]
 
영화 시작전 나왔던 인트로 영상. 근무자들 사이에선 '로켓영상'이라 불렸다. 3D 영화라면 인트로도 3D로 상영된다고 한다. 아르떼와 SUPER 4D관은 전용 인트로가 따로 있다. 위 영상은 2017년까지 사용함.
 
 
[youtube(cH-cGbVdtfc)]
 
2018년 8월 9일부터 새로 적용된 롯데시네마 인트로[* C I N E M A는 극장 좌석에 앉아있고, 롯데 로고와 L O TT E 철자는 각각 ([[슈퍼맨]]을 연상케 하는) 착지, 옥상에서 (롯데 로고가 그려진, [[배트 시그널]]를 연상케 하는) 스포트라이트 점등, [[트램펄린]]으로 점프, 자동차 식으로 따로 등장한다.] [[2015년]]부터는 [[CGV]]에서도 롯데시네마처럼 인트로 영상을 내보낸다.
 
 
주로 [[롯데백화점]] 내부나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롯데백화점]]이 없는 곳은 [[롯데마트]] 근처 혹은 [[롯데마트]] 내에 있다. 전반적으로 지방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방 위탁상영관에는 영화 시작 전 광고시간에 그 지역 가게 광고가 나올때도 있다. 예를 들어 미용실이라든가 음식점이라든가.. [[서울특별시|서울]]에서 TV 광고 틀어주는 것을 보다가 이것을 보면 문화 충격을 느낀다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서울특별시|서울]]에 있는 롯데시네마들도 광고로 지역 족발집이나 미용실 등등의 광고를 하는 데는 얼마든지 있다. 같은 서울이라도 편차가 큰 듯.] 지방의 경우 쉽게 하기 힘든 3D 상영이나 7스피커 다채널 상영, 48프레임 HBR 상영 같은 것도, [[CGV]]나 [[메가박스]]는 포기한 것을 롯데시네마는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지방 영화 팬들에게 선호도가 높다.--근데 지방에는 롯데시네마가 별로없다--
 
 
샤롯데[* [[CGV]]의 골드클래스에 해당. 단, 2명 이상일 때 예매할 수 있고 1명만이 샤롯데에서 영화를 관람한다면 예매할 수 없다. 따라서 1명만 볼 것이면 무조건 매표소에 가서 현장 발권해야 한다.], 프레스티지, 아르떼[* '''일단은''' 예술영화 전용관. 하지만 [[CGV]]의 아트하우스와 달리, 상영관이 부족하면 일반 영화도 틈새에 마구마구 들어간다. 예매시에는 별개 지점처럼 취급해서 예매를 따로 해야 한다.], 사운드 익스트림(Sound EX), 4D 익스트림, Vibe 익스트림 등 관람객 기호에 맞게 특화된 관이 특징이다. 이었지만... 특별관 명칭을 바꾸면서 샤롯데, 샤롯데프리미엄, 씨네커플, 씨네비즈, 씨네패밀리, 아르떼 클래식, 아르떼 애니, 수퍼플렉스G, 수퍼플렉스, 수퍼4D, 수퍼바이브, 수퍼사운드로 개편되었다. 샤롯데관에서 관람할 경우 2D와 3D로 상영해도 요금이 똑같으므로 참고한다.
 
 
그리고 메인관의 프론트 스피커를 [[호주]]산 Krix사의 4way(초고음, 고음, 중음, 저음) 스피커를 설치[* 직영점에 한해서이며 위탁점은 확인 요망. 지점에 따라 클립쉬 4way가 들어간 곳도 있다.][* 칠곡점은 surround 7.1 스피커 지역마다 차이가 다 있다]해서 좀더 고품격 사운드를 자랑한다고 하지만 Krix 스피커의 고질적인 문제인 저음이 후달린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나름대로 단단한 저음을 들려줘서 붕붕대는~~ 싸구려~~ 저음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는 호평인 듯.
 
 
과거엔 고객응대 서비스에서 불친절로 좀 까이긴 했지만 지금은 많이 개선한 상태.[* 이를 만회라도 하는듯이 과잉친절하다. 매표를 할때나 영화 끝나고 밖에 나갈때도 어셔들이 출구앞에서 특유의 손짓 제스처 인사를 하는데 정말 웃기고 오글거렸다. 이건 건대점에서 실제로 이랬다. 요새는 안 하는 듯.] 점포 수도 꾸준히 늘리고 있고 최근엔 브랜드 경쟁력에서 [[CGV]]를 제끼고 1위를 할 정도여서 앞으로도 주목된다.
 
 
그리고 [[롯데그룹]] 계열이니만큼 [[L.포인트]](舊 롯데멤버스) 적립도 가능하고 시네마 포인트 8,000점 이상이면 평일에 일반 디지털 영화를 무료로 볼 수(현장에서 구매시 음료수 추가) 있었다. 매점 영수증을 갖고 사후에 영화관의 적립용 PC 및 홈페이지에서 적립할 수 있는 [[CGV]]와 달리, 롯데시네마는 적립할 롯데카드와 영수증을 가져가야 사후적립이 가능하다.[* 다만, [[CGV]]는 '''48시간 내에 입력해야 사후적립이 된다.''' 그래서 많이 까이는 중. 물론 매점에서 구매시 [[CJ ONE]] 포인트 카드를 제시해서 바로 적립해도 된다.] 2013년까지 롯데멤버스를 아예 적립할 수 없고, 시네마 포인트 사용만 가능하였으나 2014년부터 시네마포인트가 폐지되고 [[L.포인트]] 5% 적립이 가능하다. 2017년 2월 1일부터 일반회원 0.5%, VIP실버,골드 5%, VIP플래티넘 10%로 변경되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으로는, 자사 계열인 [[롯데카드]]를 제외하면 할인 [[신용카드]] 혜택이 상당히 빈약하다는 것. 뻥 좀 더 쳐서, [[롯데카드]]가 없으면 맥스무비나 [[인터파크]] 등의 전산망을 쓰는 독립 상영관들보다 신용카드 할인을 받기가 어렵다. 그리고 공통사항으로 전월 실적(20만원)도 따지니 주의해야 하며, 일부 카드(포인트플러스 계열 등)는 이 혜택이 빠진다. 실적 20만원을 채우면 현장/예매시 1,500원 청구할인해 주지만, [[롯데카드]]를 쓰지 않는다면 롯데시네마 할인쿠폰[* 주로 현장용을 뿌린다.]을 찾는 게 더 나을 정도다. 제휴 [[체크카드]]인 뉴 롯데시네마 롯데[[체크카드]]는 실적에 따른 별도의 규정이 적용된다. [[롯데카드]]보다 할인율이 좀더 높은 카드는 [[우리카드]]의 [[현대백화점]] [[체크카드]] 등이 있으나, 이거는 현장에서 계산한 것만 캐쉬백된다.
 
 
[[캐시비]]로 결제시 1,000원 할인 혜택이 있으며 [[L.포인트]]가 [[캐시비]] 결제와 동시에 적립된다.[* 주의할 점은 [[L.포인트]] 홈페이지에서 [[L.포인트]] 카드 등록이 완료돼야 가능하다. 롯데시네마 외에도 [[세븐일레븐]]같은 [[롯데그룹]] 유통 계열에서 [[캐시비]]로 결제시 자동 적립되며 이는 [[팝카드]]의 방식과 비슷하다.] 그리고 롯데시네마에서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캐시비]]로 현장에서 결제하면 3,000원 할인 행사를 열었으며 일반영화 관람료 8,000원 기준으로 5,000원 찍고 시네마포인트는 무려 750점/롯데멤버스 포인트 75점이 적립됐었다. 통신사 할인은 2009년 3월 1일부터 [[TTL]] 시네마 더블할인 제도가 생겨서 2,000원 할인을 받을수 있었으나 2011년 3월 1일부로 종료되었고 대신 [[T membership|T-멤버십]] 캐시백으로 변경되면서, '''[[OK캐쉬백]]''' 2,000점 차감 3,000원 할인, 또는 2% 적립으로 변경되었다. 아무튼 몰라서 따지는 일이 없도록 하자..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체인 중 [[VIP]] 승급 기준이 제일 널널하고, 한 번 되면 유지하기도 가장 쉽다. 연간 티켓 구입 금액이 는 100,000원(하위 등급인 ACE는 70,000원) 이상이면 VIP로 선정되며, 매년 1월 1차례 승급에[* VIP 쿠폰 북은 그 해 승급된 달에만 준다. 2011년 1월 승급된 VIP이면 매년 1월에만 준다.], VIP 기준이 되는 적립 기간은 전전년도 12월 1일부터 전년도 11월 30일까지다. 게다가 예전에 판촉행사 때문에 영구 VIP를 남발한 적이 있어서...
 
 
또한, [[대한민국]] 멀티플렉스 체인 중에서 가장 포인트 적립율이 높'''았'''다. 영화 결제 금액의 10%를 시네마 포인트로 적립해 주고 1%를 롯데멤버스 포인트로 추가 적립해 주기 때문에 총 11%를 적립받을 수 있었다. 단, 맥스무비 등의 대행 사이트에서 예매하면 10%의 롯데시네마 포인트만 적립되고, [[L.포인트]]는 적립이 안 된다. [[메가박스]]의 경우 10%를 [[메가박스]] 포인트로 적립해 주며, [[CGV]]의 경우 기존 10% 적립해 주던 멤버십 제도를 2010년 9월에 런칭한 [[CJ ONE]] 통합 멤버쉽으로 바꾸더니 [[CGV]] 멤버십을 폐지하고 적립율을 5%로 삭감했다. (단, 위탁관 중 대놓고 [[CJ ONE]]을 거부한 강동관과 군자관은 제외한다.)~~ [[CGV]]는 [[아이맥스]] 포맷을 볼 때에만 가도록 하자~~ 롯데시네마 포인트 적립시 주의사항으로 [[T membership|T-멤버십]]이나 [[하나카드]], [[OK캐쉬백]] 카드 중 엔크린보너스카드 할인 혜택을 받거나, [[L.포인트]] 적립 대신 [[OK캐쉬백]] 적립을 선택하면 시네마 포인트 적립을 받지 못한다.[* 반면 [[CGV]], [[메가박스]]에서는 [[CJ ONE]] 포인트/메가박스 포인트와 [[OK캐쉬백]] 둘 다 적립할 수 있다. (현장 한정이지만 마이프리미엄으로 2배 적립도 된다.) 거기에 [[CGV]]는 [[삼성카드]]의 U-Point도 [[CJ ONE]]과 함께 적립할 수 있다.] 이래저래 잘 따져보고 선택할 것. 영화관람권(빨간색 무비기프트)으로 볼 때 포인트를 적립할 수 없는 [[CGV]][* 관람권으로 보았다면 관람평을 썼을 때만 50포인트 적립해 준다.]와 달리 [[L.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단, VIP용 관람권은 제외한다.)
 
 
그러나 미투 전략을 쓰는 [[롯데그룹]]답게 2014년 1월 6일부터 시네마 포인트가 폐지되고 롯데멤버스 5%만 적립하기로 바꾼다고 한다. 맥스무비, [[YES24]], [[인터파크]] 등의 웹대행사 예매시에는 매표소에서 사후적립도 가능하다. 그러나 정작 [[롯데카드]]를 이용하면, 1.5%밖에 적립되지 않는다..... 매점 이용분도 적립되지만, [[CGV]]와 달리 고작 0.5% 적립되고 영수증으로 사후 적립은 안 된다. VIP가 되었을 때 받는 쿠폰 중 매점 관련 쿠폰은 1일에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단점.[* 예를 들어 중간사이즈 음료 교환권과 중간사이즈 팝콘 교환권을 같은 날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뜻.][* [[CGV]]는 VIP 승급/유지시 제공되는 음료 쿠폰과 팝콘 쿠폰을 같은 날 동시에 쓸 수 있다.] 게다가 2016년 5월부터는 자사 홈페이지나 현장구매분만 VIP 실적에 반영된다.
 
 
[[2013년]] 기준으로 [[메가박스]]와 [[CGV]]가 VIP 혜택 확대에 나서면서, 3대 멀티플렉스 중 VIP에 대한 혜택이 가장 안 좋게 되었다.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역시 롯데라는 반응이 대다수. 그걸 간파했는지 2013년 말 롯데시네마도 VIP 세분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2015년 7월에 위탁관인 성남점과 성남신흥점의 [[L.포인트]] 적립이 중단됐다. 이는 [[CGV]] 강동/군자 비스무리한 상황이었으나 강동/군자관은 2017년 2월에 [[CJ ONE]]을 재개했다.
 
 
2016년 1월 10일에는 [[비씨카드]]의 탑포인트 가맹 계약을 해지했다. 얼마 후에는 맥스무비, [[YES24]], [[인터파크]] 등의 웹 대행사 예매시 매표소 [[L.포인트]] 사후적립도 폐지했다. [[비씨카드]]가 관리하는 포인트 중 하나인 [[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카드]]의 에코머니 포인트 적립은 한때 유지됐지만, 2016년 6월 1일에 폐지했다.
 
  
 
== 서비스 ==
 
== 서비스 ==
112번째 줄: 79번째 줄:
 
===== 통신사 =====
 
===== 통신사 =====
 
각 통신사 멤버십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다.  
 
각 통신사 멤버십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다.  
 +
 +
* LTS[* 같은 [[롯데]] 계열사다 보니까 가장 혜택이 많다.]
 +
ㆍ VIP 회원에 한하여 연 6회 일반 영화 무료/할인 (온라인 예매)
 +
ㆍ VIP 회원에 한하여 본인, 동반 1인 9,000원 관람 (월 1회, 연 12회)
 +
ㆍ 일반고객 영화할인 : 티켓 1매당 500~3,500원 할인 (최대 5매)
 +
ㆍ 매점 콤보 월 1회, 연 12회 1,500원 할인 (현장)
 +
ㆍ 3D영화 5천 원 관람
 +
ㆍ 4D, 특수관 제외
 +
  
 
  * SKT
 
  * SKT
141번째 줄: 117번째 줄:
 
ㆍ 무료 관람 및 티켓 할인 제외 영화관 : 프리미엄칠곡, 충장로
 
ㆍ 무료 관람 및 티켓 할인 제외 영화관 : 프리미엄칠곡, 충장로
 
ㆍ 매점 콤보 할인 제외 영화관 : 강동, 거창, 경주, 광주광산, 구미 프라임1번가, 남원주, 당진, 대구현풍, 마산터미널, 부천역, 브로드웨이, 상주, 서귀포, 서산, 양주고읍, 영주, 영종하늘도시, 오산, 익산모현, 장안, 중랑, 제주삼화, 제주아라, 춘천, 충장로, 충주, 통영, 평택비전, 프리미엄경남대, 프리미엄구미센트럴, 프리미엄만경, 프리미엄안동, 프리미엄진주, 프리미엄칠곡, 해운대
 
ㆍ 매점 콤보 할인 제외 영화관 : 강동, 거창, 경주, 광주광산, 구미 프라임1번가, 남원주, 당진, 대구현풍, 마산터미널, 부천역, 브로드웨이, 상주, 서귀포, 서산, 양주고읍, 영주, 영종하늘도시, 오산, 익산모현, 장안, 중랑, 제주삼화, 제주아라, 춘천, 충장로, 충주, 통영, 평택비전, 프리미엄경남대, 프리미엄구미센트럴, 프리미엄만경, 프리미엄안동, 프리미엄진주, 프리미엄칠곡, 해운대
 
* LG U+
 
ㆍ 2020년 2월 1일부로 폐지 됨.
 
  
 
==== 미투전략 ====
 
==== 미투전략 ====
253번째 줄: 226번째 줄:
  
 
== [[롯데시네마/지점|전국 지점 현황]] ==
 
== [[롯데시네마/지점|전국 지점 현황]] ==
 
+
=== 서울 ===
[include(틀:롯데시네마/지점)]
+
||||||||||<tablebordercolor=#D52128><tablewidth=70%><tablealign=left><bgcolor=#D52128> [[파일:롯데 로고 화이트.svg|width=110]] [br] {{{#FFFFFF '''롯데시네마 서울지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롯데시네마/지점)]
+
|| 가산디지털 || 가양 || 강동 || 건대입구 || 김포공항 ||
 +
|| 노원 || 도곡 || 독산 || 브로드웨이(신사) || 서울대입구 ||
 +
|| 상암(롯데몰) || 수락산 || 수유 || 신대방 || 신도림 ||
 +
|| 신림 || 에비뉴엘(명동) || 영등포 || 용산(전자랜드) || '''월드타워''' ||
 +
|| 은평(롯데몰) || 장안 || 청량리 || 합정 || 홍대입구 ||
 +
=== 경기/인천 ===
 +
||||||||||<tablebordercolor=#D52128><tablewidth=70%><tablealign=left><bgcolor=#D52128> [[파일:롯데 로고 화이트.svg|width=110]] [br] {{{#FFFFFF '''롯데시네마 경기/인천지점'''}}} ||||||||||||
 +
|| 광교아울렛 || 광명(광명사거리) || 광명아울렛 || 광주터미널 || 구리아울렛 ||
 +
|| 동탄 || 라페스타 || 마석 || 병점 || 별내 ||
 +
|| 부천(신중동역) || 부천역 || 부평 || 부평역사 || 북수원(천천동) ||
 +
|| 산본피트인 || 서수원 || 성남중앙(신흥역) || 센트럴락 || 송도(롯데몰) ||
 +
|| 송탄 || 수원(수원역) || 수지 || 시화 || 시흥장현 ||
 +
|| 안산 || 안산고잔 || 안성 || 안양(안양역) || 안양일번가 ||
 +
|| 영종하늘도시 ||오산(원동) || 수용인기흥 || 용인역북 || 위례 ||
 +
|| 의정부민락 || 인덕원 || 인천갈산 || 인천아시아드 || 인천터미널 ||
 +
|| 파주운정 || 판교(창조경제밸리) || 평촌(범계역) || 하남미사  || 향남 ||
  
 
== 해외 사업 ==
 
== 해외 사업 ==
271번째 줄: 259번째 줄:
 
2018년 11월 30일 [[자카르타]]에 총 5개 관 759석 규모의 파트마와티관을 오픈하면서 진출했다. 2019년에는 2개 영화관을 추가로 개관하고 2022년에는 20개로 늘릴 계획이다.
 
2018년 11월 30일 [[자카르타]]에 총 5개 관 759석 규모의 파트마와티관을 오픈하면서 진출했다. 2019년에는 2개 영화관을 추가로 개관하고 2022년에는 20개로 늘릴 계획이다.
 
2020년 12월 코로나 여파로 사업확장을 포기 후 영업종료했다.[[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5885|기사]]
 
2020년 12월 코로나 여파로 사업확장을 포기 후 영업종료했다.[[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5885|기사]]
 
== 직원 ==
 
=== 정직원 ===
 
 
=== 아르바이트([[드리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리미)]
 
롯데시네마 알바생들의 정식명칭은 '[[드리미]](Dream-i)'이다.
 
 
== 논란 ==
 
* 영화표를 예매할 경우에 결제가 안 되었는데도 자리가 없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 2017년 알바생인 [[드리미]]들에게 임금꺾기, 시간꺾기, 퇴직금을 지급 안 하려는 목적으로 11개월 계약 등 임금체불을 해왔다는 사실이 포착되었다.[[http://www.dailybizo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8&replyAll=&reply_sc_order_by=C|관련기사]]
 
 
* 혼영족들을 위한 1인 예매가 매우 불편하다. 자리가 많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1인 예매를 시도할 시 아예 예매가 안되도록 막아놓은 경우가 잦다. 어느 정도 자리가 차고 나면 남은 자리를 채우고 나서 비로소 1인 예매가 열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 되면 이미 좋은 자리는 다 나간지 오래. 혼영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건지 아니면 경영진이 2인 이상 관객 위주로 경영방침을 정해놓은 건지 모르겠다. 혼영족에 대한 배려도 부족하고 특별관도 제일 특색없고 vip 적립도 제일 허접한데 어떻게 업계 2위인지 신기할 노릇.
 
 
* 일부 롯데시네마 제휴 신용카드 발급자에게 제공했던 롯데시네마 영구VIP혜택을 2021년 1월 4일 종료했다. 사유는 실적악화이지만 영구VIP의 '영구'의 뜻을 잘 모른다는 비판을 받았다. '영구 VIP'라는 단어가 그런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해서 제공되리라는 확신을 줬던 맴버십 상품이 하루아침에 일방적으로 폐지되는 처지에 놓인 탓이다. 물론 이 과정에는 어떠한 소통도 없었다. ‘영구 VIP’ 종료 안내문에는 소비자가 이 서비스 종료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회원탈퇴를 요구할 수 있고 탈퇴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의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안내가 적혔다.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0/2020111000080.html|관련기사]][[https://www.lottecinema.co.kr/NLCMW/Customer/NoticeDetail?noticeID=2212&mainYN=0|롯데시네마 홈페이지 공지]]
 
 
== 기타 ==
 
=== 역대 비상대피안내 영상 스폰서 ===
 
* [[롯데카드]] (2016~2017)
 
* [[삼성화재]] (2018/2019)
 
*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들]] (2019~2020)
 
 
== 여담 ==
 
* [[롯데그룹]]의 [[KBO 리그]] 팀 [[롯데 자이언츠]]의 다큐멘터리 영화인 [[나는 갈매기]]를 상영하였다.[* 일반적인 저예산 독립영화가 상영관 잡기도 어려운 상황 이지만 내용이 내용인지라, 롯데그룹의 버프를 많이 받았다.] 독창적인 응원 문화인 [[아주라]]를 응용한 어린이 관객에게 야구공을 선물하기도 했고, [[롯데주류]]의 소주인 [[처음처럼(소주)|처음처럼]]의 병뚜껑을 3개 가저오는 관객에게 무료 관람 이벤트를 시행하기도 했다. ~~이때부터 예견된 롯데시네마 별칭??~~
 
* 2012년 7월 31일에 롯데 시나리오 공모전 1회를 마감했다. 대상 1명에 1억에 우수상 3명에 2천만원. 최근 시나리오 공모가 드물었던 탓인지 1,417편이 응모됐다.([[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69638|#]])
 
* 영화 '[[또 하나의 약속]]'과 '[[신이 보낸 사람]]'의 스크린 배정을 갑자기 취소해 예정대로 상영한 CGV와 메가박스와는 대조되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 빔프로젝터로 상영하는 롯데시네마 남원주 스크린 사진이 떠 뭇 사람들의 비웃음을 받았는데, 사실은 절묘한 낚시. 실체는 인천에 위치한 어느 찜질방의 DVD 상영실이다.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87933|#]]) 실제 남원주점의 스크린 크기는 보통 크기.[* 여담으로 [[CGV|경쟁사]]는 서울 시내에 저것보다 작은 상영관이 있다... [[https://extmovie.maxmovie.com/xe/movietalk/7692814|링크]] 다만 남원주점 짤방처럼 스크린이 작은 건 아니다. 현재 해당 지점은 [[메가박스]]로 전환되었다.]
 
* 최근 들어선 상영 기록을 조작하고 돈을 받는 [[꼼수 개봉]] 행태에 가세하고 있다. 멀티플렉스가 이러는 경우는 거의 드문데, [[롯데]]답다. 상세 정보는 항목 참조.
 
* 홈페이지에 들어갈 때 주의할 게 있다. '''주소에 .co.kr이 아닌 .com을 입력하면 웬 옷 사이트가 나오니 주의하자.'''
 
*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 모습을 롯데시네마라 비유하기도 한다. 상세한 것은 [[롯데시네마(롯데 자이언츠)]] 항목으로.
 
* 2016년 국군장병 ~~및 예비군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다.[[http://event.lottecinema.co.kr/LCHS/Contents/Event/infomation-delivery-event.aspx?EventID=101010000016014|#]] 2017년 1월 21일부로 예비군은 2017년도에 예비군 훈련을 받은 사람만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부터는 예비군 2년차 이하로 적용대상이 축소되었다.
 
* [[파일:_20170212_121450.jpg|width=600]]
 
시스템을 '''[[Windows XP]]'''로 쓰는 모양이다... 영화를 재생하는 플레이백 서버중에 [[Windows Embedded|Windows XP Embedded]]를 OS로 사용하는 제품이 있는데 해당 상영관에서 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것 같다. [[https://www.qubecinema.com/products/XPE|QUBE]]사의 서버 중 이런 모델이 있다.[* 여담으로 대부분의 영화 재생 서버는 리눅스를 사용한다.주로 데비안 기반의 OS를 사용한다. ] 영화 콘텐츠 관리 PC는 따로 있다. 참고로 사진은 롯데시네마 서울대입구 5관에서 [[너의 이름은.]] 상영 도중 갑자기 재부팅 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yourname&no=391262|사건이다.]] 이후 관계자가 들어와 사과를 했다고 한다.(...).
 
* 다른 영화관과는 달리 (일부제외) [[롯데ATM|현금입출금기]]가 있다.
 
* 영화 시작 전 광고 시간에 광고가 끝날 때마다 오른쪽 아래에 무언가 깜박인다. 아마도 광고 관리 시스템인듯 하다.
 
* 대형 멀티플렉스 중 시간표 갱신이 제일 늦다. 그래서 동일 영화라도 예매율이 낮게 나온다.
 
* 2021년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용기내팝콘'이벤트를 진행했다. 뚜껑이 있는 다회용 식품용기를 지참하면 6천원에 팝콘을 가득 담아주는 다회용기 참여 이벤트. 이날 전국 롯데시네마에서 팝콘을 사기 위해 다양한 용기들이 등장했다. 일부 사람들이 파란색 쓰레기통 같은 걸 가져와서 논란이 되기도. 이 이벤트는 환경보호 동참도 있지만 영화관 내에서 팝콘 취식이 불가한 상황에 대한 영화관의 자구책이란 평가가 있었고 총 2만명이 참여했다. ([[https://news.nate.com/view/20210606n09371?mid=n1101|#]])
 

2021년 10월 19일 (화) 11:23 기준 최신판

롯데시네마
LOTTE CINEMA
롯데시네마 로고.png
한글 명칭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영문 명칭LOTTE CINEMA
런칭일1999년 10월 15일
부서명롯데컬처웍스 영화사업부문
업종명국내 멀티플렉스 극장 상영 및 운영
가맹 현황130개 점포 910개 스크린 141,859개 좌석
직영 98개 점포 (75.4%)
위탁 32개 점포 (24.6%)

개요

롯데컬처웍스가 운영하는 멀티플렉스 영화관 브랜드이다.

역사

'백화점 속 영화관'이라는 기본 전략 하에 CGV메가박스의 뒤를 이어 뛰어든 후발주자다. 하지만 업계 점유율 2위이며 CGV(115개) 다음으로 많은 99개의 영화관을 가지고 있다. 본사 직영점의 비율도 높은 편. 이에 따라 롯데컬처웍스의 영화 배급 사업인 롯데엔터테인먼트 X배짱 업계 영향력도 점차 커지는 중. 2019년 기준 시장집중도[1]는 29.1%.

롯데쇼핑 시네마사업본부는 당초 2017년 9월 1일에 롯데시네마 주식회사(가칭)라는 별도 법인으로 분할될 예정이었다. 분할을 통해 롯데시네마는 기존 사업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확대 등 신규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었다. 롯데시네마는 국·내외 신규관 출점을 통한 양적 성장과 신규 컨텐츠 개발을 통한 질적 성장으로 독자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었다. 기사 하지만 롯데시네마 분사 계획이 잠정 연기되었다. 롯데그룹 지주회사체제를 만들 때에 롯데쇼핑의 주식교환 문제가 있어서, 이 때 한꺼번에 분사한다는 계산. 롯데쇼핑DART에 올린 공시따르면, 2017년 12월 1일 분사 예정이라고 한다. 분사 예정일이 무려 4개월이나 지난 2018년 3월 24일까지도 롯데시네마 분사에 따른 기업 창립관련 소식이 없다. 일정대로면 한창 분사되었을 시점인데 롯데쇼핑주주총회관련 문제가 있는 듯. 2018년 4월 6일 롯데쇼핑은 정기 이사회를 통해 시네마사업본부의 분할 계획 승인 및 임시 주총 소집 안건을 통과시켰다. 독립 법인명은 롯데컬처웍스이며, 2018년 6월 1일에 출범했다. 시네마사업본부의 영화 배급 사업인 롯데엔터테인먼트 또한 같이 딸려나갔다. 기업분할에 따라 독립적인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투자집행에 있어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게 됐다.

역대 슬로건

  • 신나는 영화쇼핑 (Always with You) (1999~2003)
  • 사랑, 행복, 그리고 감동 (2004~2009)
  • 영화가 생각날 땐! 롯데시네마 (2010~2011)
  • HAPPY MEMORIES (2012~ )

서비스

티켓

2016년 4월 21일 홈페이지에 4월 27일부터 관람 요금이 변경된다며 공지가 올라왔다.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주중 일반, 심야 타임은 기존 대비 2,000원 인하된 7,000원, 주말 및 공휴일 조조, 프라임 타임은 기존 대비 1,000원 인상된 7,000원, 1만 1,000원, 심야 타임은 1,000원 인하된 9,000원으로 변경된다. 주말 프라임 타임에 A열 관람자는 만원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봤을 때 결국은 가격 인상과 다를 바가 없다. 가격이 인하된 주중 일반, 심야 타임의 경우 평일에 그 시간대 영화관을 찾는 사람은 거의 없다. 롯데시네마 측은 '특정 시간대 집중된 고객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아니 서비스질을 높일 생각들은 안하고 하나같이ㅡㅡ라고 하는데 가격이 인하된 시간대에 사람이 적은 것은 성인은 근무, 학생들은 학업 때문에 가지 못하는 것이지 관람객들이 꼭 주말에 영화를 보려고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면 그저 가격 인상을 그럴듯하게 포장하기 위한 핑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방학이나 휴가때 적극이용하자 그러나 사실 CGV좌석차등요금제를 적용하고 나서도 다른 상영관으로 빠져나가는 관람객 수가 그렇게 많지 않았던 걸보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었을수도. 이러한 차등요금제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문제가 생겨났는데, 오히려 1,000원이 자동으로 할인되는 맨 앞좌석 등은 예매시에 별도의 할인권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경쟁사도 동일한 상황.

적용되지 않는 관도 있는데 아래와 같다. 이들은 위탁관이다.
※ 제외영화관
- 서울 : 강동, 장안, 브로드웨이(신사)
- 경기/인천 : 성남, 성남신흥, 용인, 부천역, 오산
- 충청/대전 : 서산
- 전라/광주 : 목포, 충장로
- 경북/대구 : 구미, 경주, 프리미엄칠곡, 프리미엄만경
- 경남/부산 : 프리미엄진주, 양산, 통영, 마산터미널, 해운대
- 제주 : 서귀포

상세

예매는 휴대폰 결제, 신용카드/체크카드, L.Pay로만 가능하며, 계좌이체는 지원하지 않는다. 굳이 인터넷으로 예매하면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 싶다면, 무비기프트(관람권)를 사서 스크래치 긁은 후 관람권 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하면 가능하다.

대다수의 멀티플렉스 업체가 운영비를 절감하고자 영화티켓을 영수증티켓으로 대체했지만[2] 롯데시네마는 기존 티켓을 오랫동안 유지했다. 발권기와 현장 발권 모양이 다른 것이 특징인데, 현장 발권은 가로 형태로 나오고, 발권기에서는 보라색 바탕에 세로 형태로 출력되어 나온다. 발권기에서 나온 게 인쇄 상태가 좀 더 나은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13년 이후로 새로 오픈하거나 리뉴얼한 지점들을 대상으로 영수증 티켓이 확산되고 있다. 2013년 이전부터 위탁관이었던 곳은 아직 기존 종이티켓을 사용하고 있지만 롯데시네마도 조만간 영수증 티켓으로 완전히 전환될 듯하다. 같은 해에 애플리케이션이 탄생하여 티켓 없이 앱을 제시할 수 있다.

한편 2014년 이전에는 발권기 티켓을 통해 위탁관과 직영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직영관의 경우 영화관을 건물주 또는 상가 소유자로부터 직접 운영하는 것이고, 위탁관의 경우 롯데시네마 브랜드의 사용권만 판매한 것으로 모든 운영은 위탁회사가 한다. 직영관은 티켓 하단에 롯데쇼핑(주)롯데시네마 + 상영관명 이 나왔고, 위탁관은 해당 지점을 운영하는 위탁회사 이름이 나왔다.[3] 하지만 영수증화 등으로 2014년 이후 표기가 전부 롯데시네마 **점으로 통일되면서 티켓으로 위탁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위탁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체크카드로 결제/예매한 후 통장에 찍혀 나오는 결제처로 확인할 수 있고, 일부 알바모집 공고문을 통한 확인[4], 티켓에 적힌 관리번호를 통한 구분[5] 등이 있다. 다른 영화관과는 달리 위탁관 여부 확인이 중요한 이유는 위탁관에서는 매점을 다른 사업자가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롯데포인트 적립은 물론 사용도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매점쿠폰도 위탁관에서는 사용이 안 된다. 롯데시네마에서 주최하는 이벤트에서 제외되는 지점들은 웬만해서 위탁관일 확률이 높다.

예매할 때 아무런 ActiveX를 요구하지 않았으나,[6] ISP의 도입 이후 ActiveX가 생겼다. 물론 롯데시네마 자체는 아니고, 비씨카드의 계열인 VP의 것이다.

정확한 도입 시기는 모르겠지만 2016년 3월부터 모바일 예매시 ISP#s-2를 사용한 예매 방식으로 바뀌었다. 작년 중순에 결제 시스템 구멍에 관해 논란이 일은 것에 대한 대처인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ISP#s-2를 갓 도입해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인지, 결제했는데 돈만 빠져나가고 예매는 안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해 또 다시 문제가 되고 있다(...). 조만간 공인인증서가 또.. 2018년 8월 이 오류는 현재진행형이다. 인터넷 예매후 결제가 완료 되었음에도 예약번호를 확인 할 수 없다. 앱이랑 인터넷에서 확인 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듯 하다. 돈이 빠져나가 예매 자체 사실은 입증 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카드번호 확인 후 발권을 할 수는 있다. 다만 알바도 잘 모르는 케이스라 매니저를 불러야한다. 현장 방문 전까지 예약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는게 오류의 큰 문제. 슈뢰딩거의 롯데시네마도 아니고

할인

  • 시니어(우대)
만 65세 이상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운전면허증, 여권 포함) 소지자 본인에 한해 일반(2D) 영화 5천원, 3D 영화 8천원에 관람이 가능하다. 우대 할인의 경우, 온라인 예매 및 영화관 현장 할인 적용이 가능하다.
장애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복지카드 소지자 본인에 한정되나 중증장애인(1~3급)은 본인 및 동반 1인(총 2인까지) 할인이 적용된다. 일반(2D) 영화 5천원, 3D 영화 8천원에 관람이 가능하다.장애인 할인의 경우 온라인으로 예매를 했더라도, 티켓 발권을 위해 복지카드를 가지고 영화관 티켓창구를 방문 해야된다.

※ 장애1~3등급 : 동반 1인 포함 할인 가능/ 장애4~6등급 : 본인만 할인 가능

국가유공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국가유공자증 소지자 본인에 한해 일반(2D) 영화 5천원 관람이 가능하다. 국가유공자 할인의 경우, 온라인 예매 시에는 할인 적용이 불가하며 영화관 현장에서 예매할 시에만 할인 가능하며 또한, 국가유공상이자는 장애인석을 이용할 수 있다.
복무 중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증빙서류 소지자 본인 및 동반 3인(총 4인까지) 할인이 적용된다. 일반(2D) 영화 5천원, 3D 영화 8천원에 관람이 가능하다. 본 할인의 경우, 온라인 예매 시에는 할인 적용이 불가하며 영화관 현장에서 예매할 시에만 할인 가능하다. 매점에서는 콤보 메뉴에 한해 2천원 할인이 적용된다.

※ 대상자(증빙서류) : 국군장병(휴가증/외출증), 현역간부&군무원(공무원증), 사관생도(사관생도증), ROTC 후보생(학군사관 후보생증), 예비군(19년 예비군 교육훈련 필증), 방위사업청&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국방과학 연구소&국방기술품질원&국방연구원병무청(소속기관 신분증), 병역명문가(병역명문가증), 사회복무요원(복무확인서, 병적증명서, 사회복무요원증)

  • 경찰
경찰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증빙서류 소지자 본인 및 동반 3인(총 4인까지) 할인이 적용된다. 일반(2D) 영화 5천원, 3D 영화 8천원에 관람이 가능하다. 군인 할인의 경우, 온라인 예매 시에는 할인 적용이 불가하며 영화관 현장에서 예매할 시에만 할인 가능하다.

※ 대상자(증빙서류) : 의무경찰(휴가증/외출증), 경찰관&경찰청(해양경찰청 포함) 소속 공무원(공무원증), 경찰학교 교육생(학생증), 구조협회&해양구조대&국민방제대(소속기관 회원증 또는 신분증)

  • 소방관
통신사

각 통신사 멤버십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다.

ㆍ VIP 회원에 한하여 연 6회 일반 영화 무료/할인 (온라인 예매)
ㆍ VIP 회원에 한하여 본인, 동반 1인 9,000원 관람 (월 1회, 연 12회)
ㆍ 일반고객 영화할인 : 티켓 1매당 500~3,500원 할인 (최대 5매)
ㆍ 매점 콤보 월 1회, 연 12회 1,500원 할인 (현장)
ㆍ 3D영화 5천 원 관람
ㆍ 4D, 특수관 제외

  • SKT

ㆍ VIP 회원에 한하여 연 6회 일반 영화 무료/할인 (온라인 예매)
ㆍ 일반 영화 무료 예매 한도 소진 후 1천 원 할인
ㆍ 3D영화 5천 원 관람
ㆍ 3D 조조, 3D 청소년, 4D, 특수관 제외
ㆍ 본인 월 1회, 1매 제한
ㆍ 프리미엄칠곡 제외

  • SKT (T멤버십 2021년 2월 1일부터 변경)

ㆍ VIP Pick 무료예매 : 본인 무료 3회+평일 1+1 연 9회 (총 12회)
ㆍ 일반고객 영화할인 : 티켓 1매당 500~3,500원 할인 (최대 5매)

  • KT (2021년 1월부터 변경)

[VIP]
ㆍ VIP 회원 무료관람 (월 1회, 연 6회)
ㆍ 동반 1인은 9,500원으로 관람 할인 적용
[일반]
ㆍ 본인, 동반 1인 9,500원 관람 (월 2회, 연 24회)
[더블 할인]
ㆍ VIP/일반 공통 적용
ㆍ 본인, 동반 1인 9,000원 관람 (월 1회, 연 12회)
[공통 적용]
ㆍ KT영화예매 사이트 온라인에서 적용가능, 할인 금액만큼 포인트 차감
ㆍ 2D 일반 영화에 한함 (3D, 4D, 특수관 제외)
ㆍ 매점 콤보 월 1회, 연 12회 1,500원 할인 (현장)
ㆍ 매점 콤보 할인 시 이벤트, 싱글 콤보 제외, 중복할인 불가
ㆍ 무료 관람 및 티켓 할인 제외 영화관 : 프리미엄칠곡, 충장로
ㆍ 매점 콤보 할인 제외 영화관 : 강동, 거창, 경주, 광주광산, 구미 프라임1번가, 남원주, 당진, 대구현풍, 마산터미널, 부천역, 브로드웨이, 상주, 서귀포, 서산, 양주고읍, 영주, 영종하늘도시, 오산, 익산모현, 장안, 중랑, 제주삼화, 제주아라, 춘천, 충장로, 충주, 통영, 평택비전, 프리미엄경남대, 프리미엄구미센트럴, 프리미엄만경, 프리미엄안동, 프리미엄진주, 프리미엄칠곡, 해운대

미투전략

미투전략을 자주 쓰는 롯데그룹 계열사답게, 롯데시네마도 각종 이벤트에서 미투전략을 자주 쓰고 있다. 특징은 미투전략을 쓰면서도 묘하게 혜택이 줄어든다는 점.

  • 투투카드 : CGV에서 2014년 5월부터 6월 두달 동안 매일 영화 2천원을 할인해주는 에브리데이 카드라는 것을 출시했다. 반응이 좋아서인지 동년 9월 에브리데이 시즌2를 출시했는데, 이를 보고 롯데시네마에서 똑같이 만든 할인카드이다. 10월 14일부터 12월 14일까지 두달 동안 에브리데이 카드처럼 영화를 2천원 할인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4DX관처럼 특별관에서도 적용이 되는 CGV 에브리데이 카드와는 달리 특별관에서는 적용을 할 수 없었다.
  • 스탬프쿠폰 : CGV에서 12월 한달간 영화를 본 관객에게 스탬프를 찍어줘서 2015년 1월부터 쓸 수 있는 쿠폰을 나눠주자 이에 질세라 롯데시네마에서도 12월부터 2015년 1월 두 달간 스탬프를 찍는 쿠폰북을 나눠줬다. 적립기간만 보면 롯데시네마가 유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쿠폰 혜택에 큰 차이가 있다. CGV는 2014년 12월 영화 1천원(동반 1인까지) 할인, 2015년 1월 영화 2천원(동반 1인까지) 할인, 1월 13시 이전 영화 무료관람권, 1월 주중 영화 무료관람권으로 구성된 반면, 롯데시네마는 2014년 12월 영화 1천원(동반 1인까지) 할인, 2015년 1월 상/하반기 영화 6천원 관람권, 2월 평일 13시 이전 영화 1+1 관람권으로 구성되어있다. CGV와 달리 1, 2월에 쓰는 쿠폰에 콤보 2천원 할인권도 붙어있긴 하지만 여러모로 CGV보다 할인 혜택이 떨어진다.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또 다른 스탬프 행사를 하고 있다. 롯데시네마에서 영화표 구입/예매를 할 때 1만원 넘게 롯데카드로 계산시 스탬프 1회가 찍히고, 이 스탬프를 5개 모으면 관람권 1장을 증정한다고 한다. 해당 스탬프는 "롯데카드 클러치" 앱에 나왔다.
  • 틴틴클럽 : CGV에서 2015년 5월 말부터 클럽 서비스를 이용, 1318 Club을 출시해 이를 가입한 만 13세~만 18세 중고생들에게 CJ ONE 포인트 결제시 페이백, 4D 또는 특별관 무료관람권 1매, 2D 6,000원 관람권 2매, 팝콘 무료쿠폰 1매, 콤보 3,000원 할인쿠폰 1매, 포토티켓 무료 쿠폰 4매, 청소년 전용 시사회 초청 등 혜택을 주었다. 역시 롯데시네마, 이를 가만 보고만 있지 못한건지 2015년 9월 L.포인트앱을 통해 만 14세~만 18세까지만 발급 가능한 롯데시네마 틴틴클럽을 출시했다. 혜택으로는 출시 이후 한시적으로 2D영화 무료 관람권 1매, 2D영화 2,000원 할인권 1매와 매점 콤보 3,000원 할인권 1매가 지급되었고, 이후에는 매월 2D영화 2,000원 할인권 1매와 매점 콤보 3,000원 할인권만이 지급된다. 전용 시사회 초청과 이벤트 등도 CGV와 같이 진행한다. 다만 CGV 1318 Club의 경우 CGV에서 직접 할인쿠폰을 발급해 온라인 예매 시에도 바로 사용할수 있는 반면에, 틴틴클럽은 L.포인트앱을 통해 발급해 이를 온라인 예매 시에 사용하려면 별도로 등록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1318 Club은 전국 CGV 매표소에서 전용 CJ ONE 카드를 발급받으면 굳이 온라인에서 가입하지 않아도 이와 동시에 가입이 되었으나, 틴틴클럽의 경우 실물카드가 없는 L.포인트앱 기반의 모바일 카드이기 때문에 혹여라도 스마트폰 자체가 없는 청소년은 아예 가입이 불가능하다(...). CGV는 만 18세가 넘은 청소년에게 1318 Club 졸업팩으로 6개월간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중인 반면, 틴틴클럽은 얄짤없이 잘라버리는것도 흠. 다만 깔 점만 있는건 아닌 게, 1318 Club은 연 1회 쿠폰 제공인데 반해 틴틴클럽은 매월 제공이다. 영화관에서 영화를 주기적으로 보는 경우 틴틴클럽이 유리할 수도 있겠다. 여담으로 과거 한솔엠닷컴에서 젊은 층을 겨냥해서 만든 브랜드도 틴틴이었다.
  • 오페라 인 시네마 : 메가박스의 일부 상영관에서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 유니텔 클래시카의 오페라 및 공연 영상물을 비싸게 상영하는 것을 보고, 롯데시네마에서도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8] 제작하는 오페라 및 발레 영상을 일부 상영관에서 역시 비싸게 상영하기 시작하였다. 메가박스에서 이를 클래식 소사이어티라는 브랜드로 묶자 롯데시네마도 이를 따라서 content shop이라는 브랜드로 부르나, 메가박스처럼 대놓고 이를 이용하지는 않는다. 특히 클래식 콘서트홀인 롯데콘서트홀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 영상물을 롯데콘서트홀에서 스크린 내리고 상영한다거나, 롯데콘서트홀의 멤버십 유료회원에게 오페라 인 시네마 할인 헤택을 주는 등의 연계 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모두 일반관에서 상영하다가 언젠가부터 대부분 영화관에서 샤롯데관으로 바꿨는데, 메가박스가 특별관 상영시 같은 값을 받거나 500원 차이를 두는데 비해 롯데는 일반관 3만원 / 샤롯데 4만원의 정책을 취하고 있다. 그래도 상영 시간이 보통 3시간을 훌쩍 넘기 때문에 만원은 누워서 편하게 보고 웰컴 드링크에 간단한 과자에 에비앙 생수 제공받는 값이라고 생각하면 좀 낫긴 하다. 또한 대학생 할인이 없으며 청소년 할인도 30%이고, 롯데카드 할인도 생겼다 없어졌다를 수시로 반복하고 있다. 롯데시네마 VIP에게 30% 할인해주는 것만 메가박스보다 낫다. (메가박스는 15%)

포토티켓

2021년 1월 1일부터 포토티켓 서비스를 시작했다. 멀티플렉스 3사 중, 가장 늦은 시작이며 CGV, 메가박스와 다르게 무베젤 출력이 특징이고 두께도 2배정도 더 두껍다. 단점으로는 예매할때 미리 제작할 장수를 정해야 하고, 한번 구매하면 더는 추가가 불가능하고, 영화를 관람한 곳에서만 출력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구매일 기준 30일이 지나면 출력하지 않아도 환불이나 포인트 전환도 없이 꺼억 해버리는데, 출력가능일을 안내해주는 CGV나 출력할때 결제하는 메가박스와는 달리, 미리 돈을 받아놓고는 출력가능한 일자를 안내하지도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가격 : 1장당 1천원 (예매번호 1건당 최대 8매까지 제작 가능)
  • 방법 : 영화 예매시 포토티켓 추가구매 선택
  • 출력 가능 지점(21년 1월말 기준)
ㆍ서울 : 가산디지털, 도곡, 독산, 서울대입구, 신도림, 용산, 은평, 청량리, 합정, 홍대입구
ㆍ경기/인천 : 광교아울렛, 광명아울렛, 구리아울렛, 동탄, 부평역사, 산본피트인, 서수원, 성남중앙, 센트럴락, 수원, 안산, 안양, 용인기흥, 용인역북, 평촌
ㆍ충청 : 대전둔산, 대전센트럴, 아산터미널
ㆍ전라 : 수완, 전주
ㆍ경북 : 대구광장, 대구율하, 동성로, 상인, 성서
ㆍ경남 : 광복, 김해부원, 동래, 부산본점, 사상, 서면, 센텀시티, 울산, 진주혁신, 창원
ㆍ강원 : 원주무실

굿즈

시그니처 아트카드

항목 참조.

스위트샵(매점)

롯데시네마 매점의 통칭으로, 한때 수도권은 유원실업, 지방점은 시네마통상 및 시네마유통이 각각 맡았으나 2013년부터 직영으로 전환하여 운영하고 있다. 제휴지점의 경우 Snack#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 콤보 (지점별 상이할 수 있음)
    • 반반콤보 : 반반팝콘 L + 탄산음료 M (2)
    • 더블콤보 : 오리지널팝콘 M + 카라멜팝콘 M + 탄산음료 M (2)
    • 에이드콤보 : 팝콘 M + 에이드 (2)
    • 스낵콤보 : 카라멜팝콘 M + 탄산음료 M (2) + 스낵 (핫도그, 나쵸, 프레즐 택1)
    • 싱글맥주콤보 : 팝콘 M + 맥주
    • 더블맥주콤보 : 팝콘 M + 맥주 (2) + 스낵
    • 싱글커피콤보 : 팝콘 M + 커피
    • 더블커피콤보 : 팝콘 M + 커피 (2) + 스낵
    • 즉석구이콤보 : 카라멜팝콘 + 탄산음료 M (2) + 즉석구이오징어
    • 튀김콤보 : 카라멜팝콘 + 탄산음료 M (2) + 튀김
    • 엄마랑아가랑콤보 : 팝콘 M + 핑크퐁 음료 + 탄산음료 M
    • 씨네커플콤보 : 팝콘M + 탄산음료 M (2) + 나쵸 + 즉석구이오징어
    • 씨네패밀리콤보 : 팝콘M (2) + 탄산음료 M (2) + 나쵸 + 즉석구이오징어
  • 팝콘
    • 카라멜 팝콘
    • 오리지널 팝콘
    • 치토스 팝콘
    • 치즈 팝콘
    • 초코딸기 팝콘 (가공품)
    • 어니언 팝콘 (단종)
    • 마라짬뽕 팝콘 (시즌판매 종료)
    • 땅콩버터 팝콘 (시즌판매 종료)
    • 트러풍 팝콘 (시즌판매 종료)
  • 스낵
    • 칠리/치즈핫도그
    • 풍덕핫도그 (시즌판매 종료)
    • 칠리/치즈나쵸
    • 즉석구이오징어: 몸통/다리/모둠(모둠 선택시 4,000원 추가)
    • 크림치즈프레즐, 트위스트 치즈롤
    • 버터구이 오징어(팩)
    • 치즈볼
    • 사각 콤비네이션 피자
    • 콜팝치킨
    • 소떡소떡
  • 음료
    • 펩시
    • 펩시 제로슈거
    • 칠성사이다
    • 마운틴 듀
    • 미린다(오렌지)
    • 오렌지주스 (보타니)
    • 에이드(자몽/레몬/딸기)
    • 아메리카노
    • 풍카다미아 라떼 (시즌판매 종료)
    • 스파클링 아이스티
    • 청풍콜라 (시즌판매 종료)
    • 점보 콜드브루
    • 망고피치 주스 (스조라)
    • 네스퀵 초코라떼
    • 네슬레 아이스티
  • 아이스크림
    • 프리얼: 2018년 4월부터 추가.(초코/바닐라/망고/딸기바나나/쿠키앤크림)_민트초코 단종

회원등급 및 혜택

2016년 VIP 승급 기준이 누적 티켓 금액 10만원이었는데, 2017년 VIP 승급 기준이 L.포인트 적립 24,000점이 되면서 미칠듯이 허들을 높혀 버렸다!!! 단순히 티켓 금액만 비교해도 L.포인트 24,000점을 티켓 금액으로 적립하려면 자그만치 48만원이다!!! 작년에 비해 거의 5배의 미칠 듯한 상승이다. 이게 제정신이 아닌 것이, 경쟁사인 CGV의 VIP 기준이 똑같은 적립 비율인 5%에서 12,000점인 것을 감안할 때 2배의 기준을 요구하는 것이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알 수가 없다.

포인트 적립

L.POINT는 관람을 완료한 다음날 적립된다. VIP 플래티넘 10%, VIP 골드, 실버 5%, 일반 0.5% 으로 등급기준에 따라 차등 적용.

CGV에 비해 영 좋지 못한 게, OK캐쉬백을 이용하여 할인받으면 L.포인트 적립이 안 된다.[9] 게다가 예약할 때 롯데시네마 할인쿠폰을 적용하면, 계산시 간편결제서비스인 L.pay를 이용할 수 없다. ISP 도입 무렵에는 예매시 타인의 카드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L.포인트 적립 및 관람실적에 반영이 안 되도록 막아 버렸다. 예매시 타인 카드를 이용한 경우, L.포인트는 관람 후 쓰는 관람평 입력시 주는 50점만 적립받을 수 있게 됐다. 이 망할

2016년 5월 18일부터는 웹 대행사(YES24, 맥스무비, 인터파크 등)를 통해 예매해도 L.포인트 적립이 안 되는 것으로 변경됐다.
관람권 이용시에도 CGV처럼 L.포인트 적립이 안 되는 것으로 바꿔서 개악이 선포됐다. 롯데시네마는 L.포인트 적립이 안 된 실적이 VIP 관람실적으로 잡히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VIP 승급 난이도 급상승...

주의사항

절대로 비회원 로그인 방식으로 예매하지 말 것. 비회원으로 예매하면 예매방식이 엄청나게 복잡한데다가 비회원으로 결제하면 아예 예매내역을 조회할 수 없다. 무조건 70일 이내 예매내역이 없다는 어이 없는 메세지만 보인다. 물론 고객센터 전화해서 조회해보면 결제내역은 뜨는데 인터넷 상으로 비회원 로그인 상태에서는 조회가 안된다. 이 문제는 롯데시네마가 온라인 예매를 시작한 뒤로 계속 유지된 문제인데 아직도 고칠 의지가 없다. 사실 비회원 로그인으로 구매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 현장발권도 가능하므로 큰 문제가 아닌데다가 회원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고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스페셜관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전국 지점 현황

서울

롯데 로고 화이트.svg
롯데시네마 서울지점
가산디지털가양강동건대입구김포공항
노원도곡독산브로드웨이(신사)서울대입구
상암(롯데몰)수락산수유신대방신도림
신림에비뉴엘(명동)영등포용산(전자랜드)월드타워
은평(롯데몰)장안청량리합정홍대입구

경기/인천

롯데 로고 화이트.svg
롯데시네마 경기/인천지점
광교아울렛광명(광명사거리)광명아울렛광주터미널구리아울렛
동탄라페스타마석병점별내
부천(신중동역)부천역부평부평역사북수원(천천동)
산본피트인서수원성남중앙(신흥역)센트럴락송도(롯데몰)
송탄수원(수원역)수지시화시흥장현
안산안산고잔안성안양(안양역)안양일번가
영종하늘도시오산(원동)수용인기흥용인역북위례
의정부민락인덕원인천갈산인천아시아드인천터미널
파주운정판교(창조경제밸리)평촌(범계역)하남미사향남

해외 사업

롯데의 영화사업은 그룹의 다른 부문이 같이 사업을 펼치고 있는 곳에 주로 진출하는것이 특징이다. 베트남에는 롯데의 다른 계열사가 1990년대부터 진출해서 2018년에는 총 16개의 계열사가 해외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도 2008년부터 롯데마트로 시작해서 10여개의 계열사가 진출해 있었다. 롯데시네마는 베트남에 2008년 처음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2010년 중국, 2012년 홍콩, 2018년 인도네시아에 진출했다.

중국

2010년 선양에 진출해서 2016년에는 11개의 지점과 90개의 스크린으로 늘렸지만 사드의 여파로 주춤하고 있다. 롯데마트가 중국에서 철수함에 따라서 롯데시네마도 같이 철수할수도 있으리라 생각됐지만 당분간은 철수하지 않고 유지한다고 한다.

베트남

홈페이지

2008년에 CGV보다 먼저 진출했지만 CGV가 M&A로 베트남 1위 사업자를 인수하면서 주춤하고 있다. 2018년 현재 41개 상영관 183개 스크린으로 운영중이다.

인도네시아

2018년 11월 30일 자카르타에 총 5개 관 759석 규모의 파트마와티관을 오픈하면서 진출했다. 2019년에는 2개 영화관을 추가로 개관하고 2022년에는 20개로 늘릴 계획이다.

2020년 12월 코로나 여파로 사업확장을 포기 후 영업종료했다.기사

  1. 영화관 입장권 통합 전산망 상의 입장권 매출 기준
  2. 프리머스시네마, CGV, 메가박스 순으로 바뀌었다.
  3. 예를 들어 성남시 관내 롯데시네마의 경우 네오시네마(주)라는 곳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발권기에서 네오시네마(주)라고 나왔다.
  4. 알바 모집 공고문에는 위탁경영 여부를 꼭 명기하고 있다. 알바 공고문에서 위탁경영 언급이 없고 롯데그룹과 관련한 언급이 있으면 직영관이다.
  5. 관리번호 앞자리가 9번으로 시작하면 위탁관, 나머지 번호로 시작하면 직영관일 확률이 높다.
  6. CGV의 경우 예매는 물론 포토티켓까지 ActiveX를 요구했었다. 2014년에 인터페이스를 바꾼 후 포토티켓과 함께 ActiveX를 전면 폐지했다.
  7. 같은 롯데 계열사다 보니까 가장 혜택이 많다.
  8. 초창기에는 파리 오페라에서의 오페라, 발레 공연도 상영하였으나 2018년경 부터는 더이상 상영하지 않고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컨텐츠만 상영한다.
  9. OK캐쉬백이 시행 중인 "미리줌 포인트"를 이용시 상당히 골 때린다. 반면 CGVOK캐쉬백 사용시 입력한 카드 번호로 알아서 OK캐쉬백까지 적립해 준다. 이건 CGV가 개념있네 하지만 CGVOK캐쉬백과 할인권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그나마 T-멤버십OK캐쉬백 중복 할인이 가능한 메가박스가 제약이 가장 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