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6><tablealign=right><table width=450><#005BAC><tablebgcolor=#ffffff> {{{+1 {{{#ffffff '''이스라엘국'''}}}}}}[br]{{{#ffffff '''מְדִינַת יִשְׂרָאֵל'''}}}[br]{...)
 
1번째 줄: 1번째 줄:
 
||<-6><tablealign=right><table width=450><#005BAC><tablebgcolor=#ffffff> {{{+1 {{{#ffffff '''이스라엘국'''}}}}}}[br]{{{#ffffff '''מְדִינַת יִשְׂרָאֵל'''}}}[br]{{{#ffffff '''دَوْلَة إِسْرَائِيل'''}}} ||
 
||<-6><tablealign=right><table width=450><#005BAC><tablebgcolor=#ffffff> {{{+1 {{{#ffffff '''이스라엘국'''}}}}}}[br]{{{#ffffff '''מְדִינַת יִשְׂרָאֵל'''}}}[br]{{{#ffffff '''دَوْلَة إِسْرَائِيل'''}}} ||
 
||<-3><width=50%> [[파일:이스라엘 국기.png|width=100%]] ||<-3><width=50%> [[파일:이스라엘 국장.png|width=100%]] ||
 
||<-3><width=50%> [[파일:이스라엘 국기.png|width=100%]] ||<-3><width=50%> [[파일:이스라엘 국장.png|width=100%]] ||
||<-3><width=50%><#0038B8> {{{#ffffff '''국기'''}}} ||<-3><width=50%><#0038B8> {{{#ffffff '''국장'''}}} ||
+
||<-3><width=50%><#005BAC> {{{#ffffff '''국기'''}}} ||<-3><width=50%><#005BAC> {{{#ffffff '''국장'''}}} ||
||<-6><#0038B8> {{{#ffffff '''상징'''}}} ||
+
||<-6><#005BAC> {{{#ffffff '''상징'''}}} ||
||<width=35%><-2><#0038B8> {{{#ffffff '''국가'''}}} ||<-4>[[하티크바|התקווה]](하티크바; 희망) ||
+
||<width=35%><-2><#005BAC> {{{#ffffff '''국가'''}}} ||<-4>[[하티크바|התקווה]](하티크바; 희망) ||
||<-2><#0038B8> {{{#ffffff '''국화'''}}} ||<-4>없음||
+
||<-2><#005BAC> {{{#ffffff '''국화'''}}} ||<-4>없음||
||<-2><#0038B8> {{{#ffffff '''국목'''}}} ||<-4>[[올리브]] [[나무]] ||
+
||<-2><#005BAC> {{{#ffffff '''국목'''}}} ||<-4>[[올리브]] [[나무]] ||
||<-2><#0038B8> {{{#ffffff '''국조'''}}} ||<-4>[[후투티]] ||
+
||<-2><#005BAC> {{{#ffffff '''국조'''}}} ||<-4>[[후투티]] ||
||<-6><#0038B8> {{{#ffffff '''역사'''}}} ||
+
||<-6><#005BAC> {{{#ffffff '''역사'''}}} ||
 
||<-6> 건국: [[1948년]] [[5월 14일]] ||
 
||<-6> 건국: [[1948년]] [[5월 14일]] ||
||<-6><#0038B8> {{{#ffffff '''수도'''}}} ||
+
||<-6><#005BAC> {{{#ffffff '''수도'''}}} ||
 
||<-6> [[예루살렘]][*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다만 [[2018년]] 들어서 [[미국]]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면서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
 
||<-6> [[예루살렘]][*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다만 [[2018년]] 들어서 [[미국]]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면서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
||<-6><#0038B8> {{{#ffffff '''최대도시'''}}} ||
+
||<-6><#005BAC> {{{#ffffff '''최대도시'''}}} ||
 
||<-6> [[텔아비브]][* 외국 대사관들이 주재하고 있다. ]  ||
 
||<-6> [[텔아비브]][* 외국 대사관들이 주재하고 있다. ]  ||
||<-6><#0038B8> {{{#ffffff '''면적'''}}} ||
+
||<-6><#005BAC> {{{#ffffff '''면적'''}}} ||
 
||<-6> 20,770km²(직접 통치 한정)[br]28,247km²(간접 통치 포함) ||
 
||<-6> 20,770km²(직접 통치 한정)[br]28,247km²(간접 통치 포함) ||
||<-6><#0038B8> {{{#ffffff '''인문 환경'''}}} ||
+
||<-6><#005BAC> {{{#ffffff '''인문 환경'''}}} ||
||<width=13%><|4><#0038B8> {{{#ffffff '''인구'''}}} ||<width=22%><#0038B8> {{{#ffffff '''총인구'''}}} ||<-4>8,901,900 명 ||
+
||<width=13%><|4><#005BAC> {{{#ffffff '''인구'''}}} ||<width=22%><#005BAC> {{{#ffffff '''총인구'''}}} ||<-4>8,901,900 명 ||
||<#0038B8> {{{#ffffff '''민족 구성'''}}} ||<-4>[[유대인]](74.5%)[br][[아랍인]](20.9%)[br]기타(4.6%) ||
+
||<#005BAC> {{{#ffffff '''민족 구성'''}}} ||<-4>[[유대인]](74.5%)[br][[아랍인]](20.9%)[br]기타(4.6%) ||
||<#0038B8> {{{#ffffff '''인구밀도'''}}} ||<-4>400명/km² ||
+
||<#005BAC> {{{#ffffff '''인구밀도'''}}} ||<-4>400명/km² ||
||<#0038B8> {{{#ffffff '''출산율'''}}} ||<-4>3.3명 / 세계 66위 ||
+
||<#005BAC> {{{#ffffff '''출산율'''}}} ||<-4>3.3명 / 세계 66위 ||
||<-2><#0038B8> {{{#ffffff '''공용 언어'''}}} ||<-4>[[히브리어]][* 아랍어는 이스라엘내에서 아랍인들이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어서 아랍어도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그리고 아랍어는 2018년 7월 19일까지 히브리어와 함께 공용어로도 지정되었지만, 유대민족법이 제정되면서 특수지위의 언어로 격하되었다.[[http://v.media.daum.net/v/20180719162603029?rcmd=rn|#]]] ||
+
||<-2><#005BAC> {{{#ffffff '''공용 언어'''}}} ||<-4>[[히브리어]][* 아랍어는 이스라엘내에서 아랍인들이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어서 아랍어도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그리고 아랍어는 2018년 7월 19일까지 히브리어와 함께 공용어로도 지정되었지만, 유대민족법이 제정되면서 특수지위의 언어로 격하되었다.[[http://v.media.daum.net/v/20180719162603029?rcmd=rn|#]]] ||
||<-2><#0038B8> {{{#ffffff '''종교'''}}} ||<-4>'''국교 없음'''([[정교분리]])[br][[유대교]](74.7%)[br][[이슬람]](17.7%)[br][[기독교]](2.0%)[br][[드루즈교]](1.6%)[br]기타(4.0%) ||
+
||<-2><#005BAC> {{{#ffffff '''종교'''}}} ||<-4>'''국교 없음'''([[정교분리]])[br][[유대교]](74.7%)[br][[이슬람]](17.7%)[br][[기독교]](2.0%)[br][[드루즈교]](1.6%)[br]기타(4.0%) ||
||<-2><#0038B8> {{{#ffffff '''자국군 보유 여부'''}}} ||<-4>[[이스라엘 방위군]] ||
+
||<-2><#005BAC> {{{#ffffff '''자국군 보유 여부'''}}} ||<-4>[[이스라엘 방위군]] ||
||<-6><#0038B8> {{{#ffffff '''정치'''}}} ||
+
||<-6><#005BAC> {{{#ffffff '''정치'''}}} ||
||<-2><#0038B8> {{{#ffffff '''정치 체제'''}}} ||<-4>[[단일국가]], [[내각제]], [[공화국]] ||
+
||<-2><#005BAC> {{{#ffffff '''정치 체제'''}}} ||<-4>[[단일국가]], [[내각제]], [[공화국]] ||
||<-2><#0038B8> {{{#ffffff '''민주주의지수'''}}} ||<-4>167개국 중 30위(결함있는민주주의) ||
+
||<-2><#005BAC> {{{#ffffff '''민주주의지수'''}}} ||<-4>167개국 중 30위(결함있는민주주의) ||
||<-2><#0038B8> {{{#ffffff '''국가원수'''}}} ||<|2><-4>레우벤 리블린 ||
+
||<-2><#005BAC> {{{#ffffff '''국가원수'''}}} ||<|2><-4>레우벤 리블린 ||
||<-2><#0038B8> {{{#ffffff '''대통령'''}}} ||
+
||<-2><#005BAC> {{{#ffffff '''대통령'''}}} ||
||<|3><#0038B8> {{{#ffffff '''정부 요인'''}}} ||<#0038B8> {{{#ffffff '''총리'''}}} ||<-4>[[베냐민 네타냐후]] ||
+
||<|3><#005BAC> {{{#ffffff '''정부 요인'''}}} ||<#005BAC> {{{#ffffff '''총리'''}}} ||<-4>[[베냐민 네타냐후]] ||
||<#0038B8> {{{#ffffff '''의회 의장'''}}} ||<-4>율리 에델스타인 ||
+
||<#005BAC> {{{#ffffff '''의회 의장'''}}} ||<-4>율리 에델스타인 ||
||<#0038B8> {{{#ffffff '''대법원장'''}}} ||<-4>에스테르 하유트 ||
+
||<#005BAC> {{{#ffffff '''대법원장'''}}} ||<-4>에스테르 하유트 ||
||<-6><#0038B8> {{{#ffffff '''경제'''}}} ||
+
||<-6><#005BAC> {{{#ffffff '''경제'''}}} ||
||<-2><#0038B8> {{{#ffffff '''경제 체제'''}}} ||<-4>[[자본주의]] ||
+
||<-2><#005BAC> {{{#ffffff '''경제 체제'''}}} ||<-4>[[자본주의]] ||
||<|2><#0038B8> [[GDP|{{{#ffffff '''명목 GDP'''}}}]] ||<#0038B8> {{{#ffffff '''전체 GDP'''}}} ||<-4>$361.609억 / 34위 ||
+
||<|2><#005BAC> [[GDP|{{{#ffffff '''명목 GDP'''}}}]] ||<#005BAC> {{{#ffffff '''전체 GDP'''}}} ||<-4>$361.609억 / 34위 ||
||<#0038B8> {{{#ffffff '''1인당 GDP'''}}} ||<-4>$40,762 / 20위 ||
+
||<#005BAC> {{{#ffffff '''1인당 GDP'''}}} ||<-4>$40,762 / 20위 ||
||<|2><#0038B8> [[GDP(PPP)|{{{#ffffff '''GDP(PPP)'''}}}]] ||<#0038B8> {{{#ffffff '''전체 GDP'''}}} ||<-4>$332.541억 / 54위 ||
+
||<|2><#005BAC> [[GDP(PPP)|{{{#ffffff '''GDP(PPP)'''}}}]] ||<#005BAC> {{{#ffffff '''전체 GDP'''}}} ||<-4>$332.541억 / 54위 ||
||<#0038B8> {{{#ffffff  '''1인당 GDP'''}}} ||<-4>$37,486 / 35위 ||
+
||<#005BAC> {{{#ffffff  '''1인당 GDP'''}}} ||<-4>$37,486 / 35위 ||
||<|2><#0038B8> {{{#ffffff '''수출입액'''}}} ||<#0038B8> {{{#ffffff '''수출'''}}} ||<-4>$1,268,293,000 ||
+
||<|2><#005BAC> {{{#ffffff '''수출입액'''}}} ||<#005BAC> {{{#ffffff '''수출'''}}} ||<-4>$1,268,293,000 ||
||<#0038B8> {{{#ffffff '''수입'''}}} ||<-4>$1,167,007,000 ||
+
||<#005BAC> {{{#ffffff '''수입'''}}} ||<-4>$1,167,007,000 ||
||<-2><:><#0038B8>'''[[외환보유액|{{{#ffffff 외환보유액}}}]]'''||<-4>$83,976,000,000 ||
+
||<-2><:><#005BAC>'''[[외환보유액|{{{#ffffff 외환보유액}}}]]'''||<-4>$83,976,000,000 ||
||<-2><#0038B8> {{{#ffffff '''신용 등급'''}}} ||<-4>[[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2><#005BAC> {{{#ffffff '''신용 등급'''}}} ||<-4>[[무디스]] A1[br][[S&P]] A+[br][[Fitch]] A ||
||<|2><#0038B8> {{{#ffffff '''화폐'''}}} ||<#0038B8> {{{#ffffff  '''공식 화폐'''}}} ||<-4>[[셰켈#s-4|이스라엘 신 셰켈]](שקל חדש,₪) ||
+
||<|2><#005BAC> {{{#ffffff '''화폐'''}}} ||<#005BAC> {{{#ffffff  '''공식 화폐'''}}} ||<-4>[[셰켈#s-4|이스라엘 신 셰켈]](שקל חדש,₪) ||
||<#0038B8> [[ISO 4217|{{{#ffffff '''ISO 4217'''}}}]] ||<-4>ILS ||
+
||<#005BAC> [[ISO 4217|{{{#ffffff '''ISO 4217'''}}}]] ||<-4>ILS ||
||<-6><#0038B8>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
||<-6><#005BAC>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6> .il ||
 
||<-6> .il ||
||<-6><#0038B8> {{{#ffffff '''국가 코드'''}}} ||
+
||<-6><#005BAC> {{{#ffffff '''국가 코드'''}}} ||
 
||<-6> 376, IL, ISR ||
 
||<-6> 376, IL, ISR ||
||<-6><#0038B8>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
||<-6><#005BAC>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6> +972 ||
 
||<-6> +972 ||
||<-6><#0038B8> {{{#ffffff '''단위'''}}} ||
+
||<-6><#005BAC> {{{#ffffff '''단위'''}}} ||
||<-2><#0038B8> {{{#ffffff '''법정연호'''}}} ||<-4>[[서력기원]] ||
+
||<-2><#005BAC> {{{#ffffff '''법정연호'''}}} ||<-4>[[서력기원]] ||
||<-2><#0038B8> {{{#ffffff '''시간대'''}}} ||<-4>(UTC+2)([[일광 절약 시간제]] 사용) ||
+
||<-2><#005BAC> {{{#ffffff '''시간대'''}}} ||<-4>(UTC+2)([[일광 절약 시간제]] 사용) ||
||<-2><#0038B8> {{{#ffffff '''도량형'''}}} ||<-4>[[SI 단위]] ||
+
||<-2><#005BAC> {{{#ffffff '''도량형'''}}} ||<-4>[[SI 단위]] ||
||<-6><:><#0038B8>'''{{{#ffffff 외교}}}'''||
+
||<-6><:><#005BAC>'''{{{#ffffff 외교}}}'''||
||<-2><#0038B8> '''{{{#ffffff 대한수교현황}}}''' ||<-4>[[대한민국]]: [[1962년]] [[4월 10일]][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수교[* 미승인 상태.] ||
+
||<-2><#005BAC> '''{{{#ffffff 대한수교현황}}}''' ||<-4>[[대한민국]]: [[1962년]] [[4월 10일]][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수교[* 미승인 상태.] ||
||<-2><#0038B8> '''{{{#ffffff 국제연합 가입}}}''' ||<-4>[[1949년]] [[5월 11일]] ||
+
||<-2><#005BAC> '''{{{#ffffff 국제연합 가입}}}''' ||<-4>[[1949년]] [[5월 11일]] ||
||<-2><#0038B8> '''{{{#ffffff 무비자 입국}}}''' ||<-4>양국 모두 90일 ||
+
||<-2><#005BAC> '''{{{#ffffff 무비자 입국}}}''' ||<-4>양국 모두 90일 ||
||<-6><:><#0038B8>'''{{{#ffffff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
||<-6><:><#005BAC>'''{{{#ffffff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2><#0038B8> '''{{{#ffffff 주한이스라엘대사관}}}''' ||<-4>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
+
||<-2><#005BAC> '''{{{#ffffff 주한이스라엘대사관}}}''' ||<-4>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
||<-6><#0038B8><:>'''{{{#ffffff 여행경보}}}'''||
 
||<-2><#FCA315> {{{#000000 '''여행자제'''}}} ||<-4>적색경보•특별여행주의보•특별여행경보 지정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
 
||<-2><#E32223> {{{#FFFFFF '''철수권고'''}}} ||<-4>가자지구 및 가자지구 인근 5km 이내 지역 ||
 
||<-2><#CCCCCC> {{{#E32223 '''특별여행주의보'''}}} ||<-4>★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2014.7.14) 서안지구(West Bank) ||
 
||<-2><#CCCCCC> {{{#000000 '''특별여행경보'''}}} ||<-4>★ 특별여행경보 발령: (2014.7.14) 가자지구 ||
 

2018년 8월 31일 (금) 19:13 판

이스라엘국
מְדִינַת יִשְׂרָאֵל
دَوْلَة إِسْرَائِيل
width=100%width=100%
국기국장
상징
국가התקווה(하티크바; 희망)
국화없음
국목올리브 나무
국조후투티
역사
건국: 1948년 5월 14일
수도
예루살렘[1]
최대도시
텔아비브[2]
면적
20,770km²(직접 통치 한정)
28,247km²(간접 통치 포함)
인문 환경
인구총인구8,901,900 명
민족 구성유대인(74.5%)
아랍인(20.9%)
기타(4.6%)
인구밀도400명/km²
출산율3.3명 / 세계 66위
공용 언어히브리어[3]
종교국교 없음(정교분리)
유대교(74.7%)
이슬람(17.7%)
기독교(2.0%)
드루즈교(1.6%)
기타(4.0%)
자국군 보유 여부이스라엘 방위군
정치
정치 체제단일국가, 내각제, 공화국
민주주의지수167개국 중 30위(결함있는민주주의)
국가원수레우벤 리블린
대통령
정부 요인총리베냐민 네타냐후
의회 의장율리 에델스타인
대법원장에스테르 하유트
경제
경제 체제자본주의
명목 GDP전체 GDP$361.609억 / 34위
1인당 GDP$40,762 / 20위
GDP(PPP)전체 GDP$332.541억 / 54위
1인당 GDP$37,486 / 35위
수출입액수출$1,268,293,000
수입$1,167,007,000
외환보유액$83,976,000,000
신용 등급무디스 A1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이스라엘 신 셰켈(שקל חדש,₪)
ISO 4217ILS
ccTLD
.il
국가 코드
376, IL, ISR
국제 전화 코드
+972
단위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2)(일광 절약 시간제 사용)
도량형SI 단위
외교
대한수교현황대한민국: 1962년 4월 1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수교[4]
국제연합 가입1949년 5월 11일
무비자 입국양국 모두 90일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주한이스라엘대사관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1.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다만 2018년 들어서 미국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면서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2. 외국 대사관들이 주재하고 있다.
  3. 아랍어는 이스라엘내에서 아랍인들이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어서 아랍어도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그리고 아랍어는 2018년 7월 19일까지 히브리어와 함께 공용어로도 지정되었지만, 유대민족법이 제정되면서 특수지위의 언어로 격하되었다.#
  4. 미승인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