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정

도원경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4월 2일 (일) 00:54 판
대한국 총리 문장.svg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제1-4대 제5대 제6-11대 제12대
이승만 장면 박정희 최규하
제13-14대 제15대 제16-18대 제19대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제20-22대 제23대 제24대 제25-27대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제28대 제29-30대 제31대 제32-33대
한채연 변종구 김운범 한동원
제34대 제35대 제36대
도민정 케이넨 이수현

도민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민주진보당 흰색 로고.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운범
제2대
한동원
제3대
도민정
비대위
이수현
제4대
유승호
제5대
이수현
혁신비대위
이채은
강전삼
권한대행
김영한
제6대
강성조
민중민주당 대표

국회휘장.svg 대한국 국민원의원 (황남 연백시)
제26대
?
제27-29대
도민정
현직

틀:제26대 국민원의원/비례대표


파일:민주진보당_흰색_로고.svg 2031년 임시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 파벌 이름 비고
1 정권구상연구회 도민정 당선

대한국 제34대 내각총리대신
도민정
都旼廷 | Do Min-jung
도민정 총리.png
출생 1979년 11월 30일
황해남도 연백군 연안읍
사저 황해남도 연백시
관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세종로)
재임기간 제34대 내각총리대신
2031년 4월 11일 ~ 현직
링크 홈페이지_아이콘.svg | 인스타그램_아이콘.svg | 페이스북_아이콘.svg | 트위터_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본관 성주 도씨
부모 아버지 도진영, 어머니 김선희
형제자매 여동생 도현아
남동생 도형석, 도은태, 도진성
학력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 학사)
소속 정당 민주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소속 파벌 정권구상연구회 (회장)
지역구 황남 연백시
의원 선수 4 (국)
의원 대수 26, 27, 28, 29
경력 양서농민연대운동 총무국장
전국농민운동총연맹 조직국장
전국농민운동총연맹 부의장 겸 수석의장대행위원
전국농민운동총연맹 의장
민주진보당 황남 연백 지역위원장
민주진보당 제1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정권구상연구회 회장
민주진보당 수석최고위원
민주진보당 당대표

개요

대한국의 정치인으로, 제34대 내각총리대신이다.

현재 민주진보당의 파벌 중 진보 성향의 정권구상연구회의 영수를 맡고 있다.[1]

2031년 4월 9일, 민주진보당 제3차 임시전국대의원대회에서 제2대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국민원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투표를 거쳐 4월 11일 제34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하였다.

생애

농업인 도민정

1979년 11월 30일에 황해남도 연백군 연안읍에서 대대로 농경을 업으로 삼았던 부농 집안의 장녀로 태어났다. 연백에서 초·중등교육 과정을 끝마쳤고 국어, 정치, 역사에서 특히 월등한 성적을 얻었다고 한다. 이후 1999년에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에 입학하였지만 이즈음 유복했던 본가의 경제적 사정이 크게 악화된 영향으로[2] 부친이 급사하자 얼마 안 가 휴학을 택해 가업인 쌀농사를 이어받은 뒤 한동안 여동생과 남동생들의 학업을 지원하였다. 이때 농업에 종사하기 시작하며 진보 성향의 농민운동 단체들과 인연을 틀었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2002년, 가업을 계승한 여동생의 권유로 다시 서울로 상경해 못다한 고등교육 과정을 수료하였는데 마침 상경을 한 같은 시기 열린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던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의 유세 연설을 듣고 크게 감명을 받아 사회주의에도 눈을 뜨기 시작했었다. 그러던 도중 서울대 역사교육과 학사 학위를 따내자마자 다시금 위기가 찾아온 여동생의 가업에 급전을 보태려 임용 고시도 못 치룬 채 역사 강사로서의 삶을 지냈다.[3] 이 과정에서 역사 교사라는 진로에 큰 회의감을 느껴 2007년 고향인 연백시로 돌아가 여동생의 가업을 도와주는 한편 참여정부의 쌀 시장 개방에 반대하는 농민 운동에 본격 투신하면서 양서농민연대운동 조직에 관여, 양서농민연대운동의 연안읍 지부장과 총무차장 및 총무국장을 역임해 해서권의 농민 운동에 전념하였다. 양사농민연대운동이 전국농민운동총연맹, 이른바 전농에 합병된 후엔 한미 FTA 강행채결 반대 전국 만인소 운동과 2008년 해주-서울 촛불 행군을 주도하며 전농의 조직국장과 부의장, 수석의장대행위원으로 실질적인 의장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전농의 유력한 지도자급 인물로 부상한다.

정치인 도민정

도민정 내각

정치적 성향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비판 및 논란

여담

각종 타이틀

가족 관계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2021 제25대 국민원의원 선거 황남 연백 중앙사회주의동맹 낙선 (2위)
2024 제26대 국민원의원 선거 비례대표 당선 (7번) 초선
2026 제27대 국민원의원 선거 황남 연백
민중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당선 (1위) 재선
2028 제28대 국민원의원 선거 3선
2030 제29대 국민원의원 선거 민주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선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중앙사회주의동맹 2021 - 2025 정계 입문
파일:민중연합당_흰색_로고타입.svg 2025 - 2026 당명 변경
민중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6 - 2029 합당[4]
민주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9 - 당명 변경

어록

제34대 내각총리대신 취임사

저술 활동

방송 출연

둘러보기

틀:대한국의 원내정당대표


틀:민주진보당 중앙당


틀:제29대 국민원의원/황해남도


  1. 정구연은 생활정치포럼과 함께 민주진보당 주요 파벌 중 가장 강한 진보 성향을 띠는 파벌이기도 하다.
  2. 훗날 도민정 총리가 의원 시절 진행한 인터뷰에서 소회한 바에 따르면 2년 전 IMF의 여파로 부친의 농산물을 납품받아 온 기업이 파산해버리면서 본가의 가세가 크게 기울어졌던 것임이 밝혀졌다.
  3. 도민정 총리 자신은 이때가 인생에 있어 가장 정신없는 시절이었다고 회고하였으나 사회주의 사상 공부는 한시도 빠지지 않고 열심히 하였다고 한다.
  4. 민중연합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