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목차] | [목차] | ||
='''개요'''= | ='''1. 개요'''= | ||
'''대조선국(大朝鮮國, Joseon)'''은 [[대영제국]]의 뒤를 이어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지배하고 있는 국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전제군주정 국가이다. | '''대조선국(大朝鮮國, Joseon)'''은 [[대영제국]]의 뒤를 이어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지배하고 있는 국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전제군주정 국가이다.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건국 후 초반 태조, 인종 시기에는 강력한 왕권과 더불어 여러 폐단들과 혼란들을 종식시키고 여러가지 개혁들을 통해 전조의 문제점들을 하나 둘 씩 고쳐나가면서 꾸준히 나라가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평화로운 정세와 강한 왕권으로 인해 별문제 없이 여러 긍정적인 발전들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승승장구했으나 이후 조정의 폐단이 심해져 나라의 분열이 일어나는 등 일부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 그럼에도 별 큰 문제없이 기나긴 평화기 속에서 안정적으로 국가가 운영되어 갔었으나 역설적으로 이 기나긴 평화기 탓에 군사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여러 외세의 간섭을 받았다. 이후 나라를 다시 복구하기 시작했고 명종, 소종, 주상 이역 시기에는 다시금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 건국 후 초반 태조, 인종 시기에는 강력한 왕권과 더불어 여러 폐단들과 혼란들을 종식시키고 여러가지 개혁들을 통해 전조의 문제점들을 하나 둘 씩 고쳐나가면서 꾸준히 나라가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평화로운 정세와 강한 왕권으로 인해 별문제 없이 여러 긍정적인 발전들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승승장구했으나 이후 조정의 폐단이 심해져 나라의 분열이 일어나는 등 일부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 그럼에도 별 큰 문제없이 기나긴 평화기 속에서 안정적으로 국가가 운영되어 갔었으나 역설적으로 이 기나긴 평화기 탓에 군사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여러 외세의 간섭을 받았다. 이후 나라를 다시 복구하기 시작했고 명종, 소종, 주상 이역 시기에는 다시금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 ||
='''왕실'''= | ='''2. 왕실'''= | ||
* 자세한 내용은 [[조선 왕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자세한 내용은 [[조선 왕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중앙정치체제'''= | ='''3. 중앙정치체제'''= | ||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하였다. 중앙 정치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기본 9품에 조와 종이 있어 모두 18품계를 이루었다. 또한 주요 직급자인 당상관과 실무진인 당하관으로 나눈다. 조선의 국정운영제도는 크게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가 있다. |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하였다. 중앙 정치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기본 9품에 조와 종이 있어 모두 18품계를 이루었다. 또한 주요 직급자인 당상관과 실무진인 당하관으로 나눈다. 조선의 국정운영제도는 크게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가 있다. | ||
[[분류:대조선국]] | [[분류:대조선국]] |
2023년 11월 7일 (화) 19:35 판
![]() 조선 국왕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