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0번째 줄: 30번째 줄:
  
 
뱀과 도마뱀보다는 [[악어]]와 [[새]]에 가까운 종류지만 이들과도 따로 갈라져서 진화했다.
 
뱀과 도마뱀보다는 [[악어]]와 [[새]]에 가까운 종류지만 이들과도 따로 갈라져서 진화했다.
 +
 +
==특징==
 +
흔히 '거북이'라고 불리지만 정식명은 '거북'으로, '거북이'는 거북을 일상적으로 부르는 표현으로 둘 다 표준어가 맞다.
 +
 +
영어로는 turtle과 tortoise가 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관련 어휘의 뜻이 약간 다르다.
 +
 +
|| || 미국 || 영국 ||
 +
|| Turtle || 모든 거북 || 바다/반수생거북 ||
 +
|| Tortoise || 땅거북 || 땅거북 ||
 +
Terrapin도 있는데 이는 brackish water(기수역, 바닷물과 강물의 중간 수역), 염분이 어느 정도 있는 물에 사는 거북을 지칭한다. 원래 영어엔 Tortoise라는 단어만 있었다가 나중에 바다거북과 반수생거북을 분리하는 용어의 필요성이 등장하여 해당 단어들이 따로 만들어졌다. 18세기에 [[바다거북 수프]]를 Sea Tortoise Soup라 칭한 것이 그 예이다. 이런 흔적이 남아있는게 바로 과거 영국 이민자들이 나라를 세워 옛날 영국영어의 흔적이 남아있는 호주 영어이다. 호주에서 원래부터 자생하는 육지거북 종류는 없기 때문에 육지/바다거북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호주영어에서는 민물거북을 tortoise라고 부르는데, 이를 두고 현대에서 올바른 용법이 아니란 논란이 있다. [[https://m.youtube.com/watch?v=LRWAFQqQY9Y&feature=youtu.be|터틀과 토터스의 차이를 주제로 한 짤막한 노래도 있다.]]
 +
 +
종에 따라 서식지가 매우 다양하다. 바다에서 사는 바다거북이나 육지에서만 사는 육지거북도 존재한다. 보통 바다거북보다는 육지거북 쪽이 딱지가 더 단단하다.
 +
 +
거북은 폐호흡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숨을 쉬려면 수면으로 올라와야 한다. 바다거북이 잠을 잘 때는 바다 밑바닥의 으슥한 구석으로 내려가서 숨을 참은 채로 잔다. 쉬거나 잠자는 바다거북은 4~7시간 정도 호흡을 참을 수 있다. 하지만 물속에 너무 오래 있으면 거북도 버티지 못하고 익사한다. 일부 민물거북이나 [[자라]], [[장수거북]]은 신체의 [[점막]]기관을 아가미처럼 사용해 물 속에서 오래 버틸 수 있다.[* 종류마다 다른데, 주로 목 주변의 얇은 피부나 배설강 등을 사용한다.] 또한 남태평양의 안전한 섬에서는 모래사장에서 낮잠을 즐기는 바다거북들이 관찰된 적도 있다. 반수생거북이는 물속에서도 잠을 자지만, 육지에서도 따뜻하고 푹신한 물건(이불 등)으로 덮어주면 잠을 잔다.
 +
 +
바다거북 종류는 보통 다리에 발 대신 물갈퀴가 생긴다. 하지만 바다거북은 폐호흡을 하는데도 뭍에 장시간 있으면 죽어버리는데, 이는 자신의 체중에 짓눌려 호흡이 쉽지 않고 내장에 손상이 오기 때문이다. 다만 알을 낳는 곳이 해안가라서 산란기에는 뭍으로 올라와야 한다. 이때는 완전히 무방비 상태가 되기에, 바다거북에게는 새끼일 때 다음으로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
 +
바다거북은 해변의 모래사장에 산란을 하는데 이때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어미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산란할 장소를 찾기 위해 모래밭에 얼굴을 박고 판단하는데, 모래알이 너무 굵으면 땅을 파기가 힘들고 너무 가늘면 구멍이 무너져서 이상적인 장소는 경쟁이 치열하다. 후발주자가 먼저 묻힌 알을 파내고 자신의 알을 묻어버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이때 훼손되는 알이 전체 알의 70%라고 한다. 덕분에 주변에 사는 포식자들은 굳이 알을 파낼 필요도 없이 포식하는 셈.[* 어떤 곳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이 조사결과에 따라 계산한 양만큼의 알을 파내 관광 수입원으로 쓴다. 대신 남아있는 바다거북을 철저히 보호하고 거북연구가들도 동참하기 때문에 개체수는 늘어나고 있다.]
 +
 +
남은 30%의 알도 포식자가 찾아내서 먹어치우고, 남은 것들이 부화해서 바다로 헤엄쳐 가는 중에도 수없이 잡아먹힌다. 언뜻 보면 이렇게 잡아 먹혀도 개체수가 유지될까 싶지만, 거북 자체가 굉장히 장수하는데다 충분히 성장한 바다거북은 사실상 천적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 무사히 성장하는 개체의 비율이 조금만 늘어나도 개체수가 엄청나게 많아지게 된다. 즉, 이렇게 숫자를 조절하는게 자연의 섭리인 셈이다.[* 종은 다르지만 어류 중 [[개복치]]가 이와 비슷한 번식방법을 가지고 있다. 육아의 개념이 없고, 알을 엄청나게 많이 낳아 수도 없이 잡아먹히며 극소수만 성체가 되는 대신, 성체가 되었다면 자연에선 천적이 없다. 다만 바다거북 같은 경우 멸종위기종이라서 사람이 알을 모아 인공부화시켜 바로 바다로 보내기도 한다. 해파리 문제가 심각해서 해파리 퇴치를 위해 바다거북을 번식시켜 바다로 보내기도 한다.]
 +
 +
알에서 깨자마자 100여 미터 떨어진 바다로 전력 질주해야하는 갓 태어난 순간은 거북이 생애 최초의 위기. 숨을 곳도 없는 모래사장을 연약한 몸뚱아리로 엉금엉금 기어가다가 갈매기나 대머리수리, 황새 같은 천적의 눈에 띄는 순간 끝. [* 애니메이션 [[새미의 어드벤쳐]]에서 이 상황이 잘 묘사되어 있다.]
 
----
 
----
 
[[분류:거북목]]
 
[[분류:거북목]]

2023년 12월 23일 (토) 22:43 판

거북 (거북이)
龜 | Turtle, Tortoise
갈라파고스 거북.webp
학명 Testudines
(Batsch, 178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거북목Testudines

개요

龜 / Turtle, Tortoise, Terrapin[1]

거북은 파충류에 속하는 동물이다. 알을 낳는 난생 생물이며 거북의 몸은 단단한 등딱지 안에 갇혀 있으며 배갑과 복갑은 각각 연결되어 상자와 같은 인상을 준다. 그러나 가죽처럼 등딱지가 부드럽고 유연한 거북 종류도 있다. 귀갑 참고.

뱀과 도마뱀보다는 악어에 가까운 종류지만 이들과도 따로 갈라져서 진화했다.

특징

흔히 '거북이'라고 불리지만 정식명은 '거북'으로, '거북이'는 거북을 일상적으로 부르는 표현으로 둘 다 표준어가 맞다.

영어로는 turtle과 tortoise가 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관련 어휘의 뜻이 약간 다르다.

미국영국
Turtle모든 거북바다/반수생거북
Tortoise땅거북땅거북

Terrapin도 있는데 이는 brackish water(기수역, 바닷물과 강물의 중간 수역), 염분이 어느 정도 있는 물에 사는 거북을 지칭한다. 원래 영어엔 Tortoise라는 단어만 있었다가 나중에 바다거북과 반수생거북을 분리하는 용어의 필요성이 등장하여 해당 단어들이 따로 만들어졌다. 18세기에 바다거북 수프를 Sea Tortoise Soup라 칭한 것이 그 예이다. 이런 흔적이 남아있는게 바로 과거 영국 이민자들이 나라를 세워 옛날 영국영어의 흔적이 남아있는 호주 영어이다. 호주에서 원래부터 자생하는 육지거북 종류는 없기 때문에 육지/바다거북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호주영어에서는 민물거북을 tortoise라고 부르는데, 이를 두고 현대에서 올바른 용법이 아니란 논란이 있다. 터틀과 토터스의 차이를 주제로 한 짤막한 노래도 있다.

종에 따라 서식지가 매우 다양하다. 바다에서 사는 바다거북이나 육지에서만 사는 육지거북도 존재한다. 보통 바다거북보다는 육지거북 쪽이 딱지가 더 단단하다.

거북은 폐호흡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숨을 쉬려면 수면으로 올라와야 한다. 바다거북이 잠을 잘 때는 바다 밑바닥의 으슥한 구석으로 내려가서 숨을 참은 채로 잔다. 쉬거나 잠자는 바다거북은 4~7시간 정도 호흡을 참을 수 있다. 하지만 물속에 너무 오래 있으면 거북도 버티지 못하고 익사한다. 일부 민물거북이나 자라, 장수거북은 신체의 점막기관을 아가미처럼 사용해 물 속에서 오래 버틸 수 있다.[2] 또한 남태평양의 안전한 섬에서는 모래사장에서 낮잠을 즐기는 바다거북들이 관찰된 적도 있다. 반수생거북이는 물속에서도 잠을 자지만, 육지에서도 따뜻하고 푹신한 물건(이불 등)으로 덮어주면 잠을 잔다.

바다거북 종류는 보통 다리에 발 대신 물갈퀴가 생긴다. 하지만 바다거북은 폐호흡을 하는데도 뭍에 장시간 있으면 죽어버리는데, 이는 자신의 체중에 짓눌려 호흡이 쉽지 않고 내장에 손상이 오기 때문이다. 다만 알을 낳는 곳이 해안가라서 산란기에는 뭍으로 올라와야 한다. 이때는 완전히 무방비 상태가 되기에, 바다거북에게는 새끼일 때 다음으로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바다거북은 해변의 모래사장에 산란을 하는데 이때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어미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산란할 장소를 찾기 위해 모래밭에 얼굴을 박고 판단하는데, 모래알이 너무 굵으면 땅을 파기가 힘들고 너무 가늘면 구멍이 무너져서 이상적인 장소는 경쟁이 치열하다. 후발주자가 먼저 묻힌 알을 파내고 자신의 알을 묻어버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이때 훼손되는 알이 전체 알의 70%라고 한다. 덕분에 주변에 사는 포식자들은 굳이 알을 파낼 필요도 없이 포식하는 셈.[3]

남은 30%의 알도 포식자가 찾아내서 먹어치우고, 남은 것들이 부화해서 바다로 헤엄쳐 가는 중에도 수없이 잡아먹힌다. 언뜻 보면 이렇게 잡아 먹혀도 개체수가 유지될까 싶지만, 거북 자체가 굉장히 장수하는데다 충분히 성장한 바다거북은 사실상 천적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 무사히 성장하는 개체의 비율이 조금만 늘어나도 개체수가 엄청나게 많아지게 된다. 즉, 이렇게 숫자를 조절하는게 자연의 섭리인 셈이다.[4]

알에서 깨자마자 100여 미터 떨어진 바다로 전력 질주해야하는 갓 태어난 순간은 거북이 생애 최초의 위기. 숨을 곳도 없는 모래사장을 연약한 몸뚱아리로 엉금엉금 기어가다가 갈매기나 대머리수리, 황새 같은 천적의 눈에 띄는 순간 끝. [5]


  1. turtle은 완전수생 밎 반수생거북류를, tortoise는 육지거북류를, terrapin은 다이아몬드거북 한 종류만을 따로 지칭해서 부른다.
  2. 종류마다 다른데, 주로 목 주변의 얇은 피부나 배설강 등을 사용한다.
  3. 어떤 곳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이 조사결과에 따라 계산한 양만큼의 알을 파내 관광 수입원으로 쓴다. 대신 남아있는 바다거북을 철저히 보호하고 거북연구가들도 동참하기 때문에 개체수는 늘어나고 있다.
  4. 종은 다르지만 어류 중 개복치가 이와 비슷한 번식방법을 가지고 있다. 육아의 개념이 없고, 알을 엄청나게 많이 낳아 수도 없이 잡아먹히며 극소수만 성체가 되는 대신, 성체가 되었다면 자연에선 천적이 없다. 다만 바다거북 같은 경우 멸종위기종이라서 사람이 알을 모아 인공부화시켜 바로 바다로 보내기도 한다. 해파리 문제가 심각해서 해파리 퇴치를 위해 바다거북을 번식시켜 바다로 보내기도 한다.
  5. 애니메이션 새미의 어드벤쳐에서 이 상황이 잘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