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6월 15일)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 | [[분류:뤼베크 왕국]] | ||
{{틀: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
[[파일:뤼베크왕국선포장면.webp|500px]]<br> | |||
{{인용문|'''[[뤼베크 왕국]] 선포'''<br> | |||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Lübeck'''}} | |||
{{목차}} | {{목차}} | ||
==개요== | ==개요== | ||
{{인용문|오늘 2024년 6월 19일,<br>'''[[뤼베크 왕국|뤼베크 자유 한자 왕국]]'''을 선포함을 세계에 알립니다.<br>- [[제이 로렌츠 1세]], 왕국 공식 선포문 中}} | |||
'''뤼베크 왕국 선포'''는 2024년 6월 19일 [[뤼베크 공국]]의 공작 [[제이|한스 1세]]가 총리 [[에리히]]의 도움으로 '''[[뤼베크 왕국]]'''을 선포하고 뤼베크의 '''국왕'''으로 즉위한 사건이다. | '''뤼베크 왕국 선포'''는 2024년 6월 19일 [[뤼베크 공국]]의 공작 [[제이|한스 1세]]가 총리 [[에리히]]의 도움으로 '''[[뤼베크 왕국]]'''을 선포하고 뤼베크의 '''국왕'''으로 즉위한 사건이다. | ||
==배경== | |||
[[5.16 테러]]로 [[뤼베크 공국]]이 입은 큰 피해는 [[뤼베크 왕국|뤼베크 왕립 모의전]] 체제를 겪으며 조금이나마 회복되었으나, 그럼에도 [[뤼베크 공국]]의 국력은 회복되지 못 | |||
했으며 외세의 위협도 계속되었다. | |||
이에 [[뤼베크 공국]] 공작 [[한스 1세]]는 이전부터 왕국 선포를 주장하고 제안해 왔으나, 국민투표 부결과 국민회의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었다. | |||
==전개== | |||
===6월 10일=== | |||
[[뤼베크 왕국|뤼베크 왕립 모의전]]이 국민투표를 통해 폐회하였다. 이후 제3대 내각 구성 이전까지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임시국왕체제를 시행하였다. | |||
===6월 13일=== | |||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뤼베크 공국]] 행정정부 수반의 이름으로 [[5.16 테러]]의 주동세력이었던 [[캄보디아 공국]]과 [[젤카슈네르 공화국]] 등을 '''반가국단체'''로 규정, 경계령을 선포하였다. | |||
===6월 15일=== | |||
[[반인류]] [[가상국가]]인 [[카오스 제국]]에 소속된 자들이 [[뤼베크 공국]]에 난입하여 [[인류제국|인류 제국]]의 [[인류의 황제|황제]]와 말다툼을 하고 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뤼베크 공국]]에 늘어난 외세의 위협과 무시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 되었으며, 왕국 선포에도 영향을 끼쳤다. | |||
===6월 19일=== | |||
제3대 총선이 시행되었다. 제3대 총리는 군주연합당의 [[에리히]]가 당선되었고, 원내 제1당은 사회주의통일당이 차지하였다. | |||
총선 종료 이후 오후 9시 25분, 총리 [[에리히]]와 국민회의의 동의 하에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뤼베크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 오후 9시 35분 공식 선포문을 만국에 발표하였다. | |||
==의의== | |||
• '''[[뤼베크 왕국]]의 국제적 위신 상승'''<br> | |||
• [[5.16 테러]] 이후 쇠퇴한 [[뤼베크 왕국]]의 '''부분적 재부흥 성공''' | |||
==둘러보기== | |||
{{틀: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
==각주== |
2025년 4월 10일 (목) 12:33 기준 최신판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뤼베크 왕국 선포는 2024년 6월 19일 뤼베크 공국의 공작 한스 1세가 총리 에리히의 도움으로 뤼베크 왕국을 선포하고 뤼베크의 국왕으로 즉위한 사건이다.
배경
5.16 테러로 뤼베크 공국이 입은 큰 피해는 뤼베크 왕립 모의전 체제를 겪으며 조금이나마 회복되었으나, 그럼에도 뤼베크 공국의 국력은 회복되지 못 했으며 외세의 위협도 계속되었다.
이에 뤼베크 공국 공작 한스 1세는 이전부터 왕국 선포를 주장하고 제안해 왔으나, 국민투표 부결과 국민회의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었다.
전개
6월 10일
뤼베크 왕립 모의전이 국민투표를 통해 폐회하였다. 이후 제3대 내각 구성 이전까지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임시국왕체제를 시행하였다.
6월 13일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뤼베크 공국 행정정부 수반의 이름으로 5.16 테러의 주동세력이었던 캄보디아 공국과 젤카슈네르 공화국 등을 반가국단체로 규정, 경계령을 선포하였다.
6월 15일
반인류 가상국가인 카오스 제국에 소속된 자들이 뤼베크 공국에 난입하여 인류 제국의 황제와 말다툼을 하고 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뤼베크 공국에 늘어난 외세의 위협과 무시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 되었으며, 왕국 선포에도 영향을 끼쳤다.
6월 19일
제3대 총선이 시행되었다. 제3대 총리는 군주연합당의 에리히가 당선되었고, 원내 제1당은 사회주의통일당이 차지하였다.
총선 종료 이후 오후 9시 25분, 총리 에리히와 국민회의의 동의 하에 뤼베크 공 한스 1세가 뤼베크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 오후 9시 35분 공식 선포문을 만국에 발표하였다.
의의
• 뤼베크 왕국의 국제적 위신 상승
• 5.16 테러 이후 쇠퇴한 뤼베크 왕국의 부분적 재부흥 성공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