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난방공화국]]
[[분류: 난방공화국]]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4c604;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left"
{{난방}}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4c604; width: 100%"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bb00 0%, #f4c604 20%, #f4c604 80%, #f2bb00 100%); color: #11164d" align=middle | [[파일:난방공화국 국기.png|40px|난방공화국]] '''난방공화국 관련 틀'''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bb00 0%, #f4c604 20%, #f4c604 80%, #f2bb00 100%); color: #11164d" align=middle | [[파일:난방공화국 국기.png|40px|난방공화국]] '''난방공화국 관련 틀'''
|-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class="mw-customtoggle-lf1" '''굵은 글씨'''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ustomtoggle-lf" '''굵은 글씨'''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colspan="6" align=middle |
| colspan="6" align=middle |
{{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마리아나 세계관 국가목록}}
|-
|-
|}
|}
18번째 줄: 19번째 줄:
|-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fff"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15px 15px">[[파일:난방공화국 국기.png|230px]]</div>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fff"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15px 15px">[[파일:난방공화국 국기.png|230px]]</div>
| style="background: #fff; color: #fff"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10px 10px">[[파일:난방공화국 국장.png|110px]]</div>
| style="background: #fff; color: #fff"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10px 10px">[[파일:난방공화국 국장2.png|180px]]</div>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4c604; color: #11164d" align=middle | '''국기'''
| colspan="3" style="background: #f4c604; color: #11164d" align=middle | '''국기'''
39번째 줄: 40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수도'''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수도'''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만도르(東萬律)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만도르시|만도르]](東萬律)
|-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최대도시'''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최대도시'''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쿠칭(古晉)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삼티아오카오성|삼티아오카오]](三條溝)
|-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면적'''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면적'''
59번째 줄: 60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인구'''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인구'''
71번째 줄: 72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공용어'''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공용어'''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중국어[* 표준/민어], 마인어, 영어[* 다민족 국가이고 인도인 노동자 및 이민자의 유입으로, 2009년 공용어로 선정되었다.]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중국어[* [[중국어|표준]]/[[객가어]]], 마인어, 영어[* 다민족 국가이고 인도인 노동자 및 이민자의 유입으로, 2009년 공용어로 선정되었다.]
|-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공용 문자'''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공용 문자'''
80번째 줄: 81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군대'''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군대'''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난방공화국군]]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난방공화국 국군]]
|-
|-
|-
|-
91번째 줄: 92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난방공화국/직할시|{{글씨 색|#f4c604|'''직할시(直轄市)'''}}]]
|-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삼티아오(三條)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만도르시|만도르]](東萬律)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중앙칼리만탄(中央加里曼丹)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남칼리만탄(南加里曼丹)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난방공화국/성|{{글씨 색|#f4c604|'''성()'''}}]]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바(沙巴)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카푸아스(卡普阿斯)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삼티아오카오성|삼티아오카오]](三條溝)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케타팡(克塔潘)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루추성|루추]](廬州)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코타(科塔)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토퐁성|토퐁]](道房)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바리토(巴里)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코탑성|코탑]](科塔)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마카사르(望加锡)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신통성|신통]](新當)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파세르(帕西)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남핀성|남핀]](南濱)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쿠타이(古泰)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반자르성|반자르]](萬吒)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쿠칭(古晉)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산퉁성|산퉁]](山東)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말루(馬盧)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펫산성|펫산]](北山)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라왁(砂拉越)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쿠칭성|쿠칭]](古晉)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북칼리만탄(北加里曼丹)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라왁성|사라왁]](砂州)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카피트(加筆)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바성|사바]](沙巴)
|-
|-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자치주(自治州)'''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난방공화국/특별성|{{글씨 색|#f4c604|'''특별성(特别省)'''}}]]
|-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브루나이(渤泥)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브루나이 특별성|브루나이]](渤泥)
|-
|-
|-
|-
132번째 줄: 131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width="4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정치 체제'''
| width="4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정치 체제'''
139번째 줄: 138번째 줄:
| width="15%" colspan="1" rowspan="4"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정부<br>요인'''
| width="15%" colspan="1" rowspan="4"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정부<br>요인'''
| colspan="1"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대당총장'''<br><small>'''(국가원수)'''<br>'''(정부수반)'''</small>
| colspan="1"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대당총장'''<br><small>'''(국가원수)'''<br>'''(정부수반)'''</small>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요래관]]
|-
|-
| colspan="1"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대당차장'''
| colspan="1"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대당차장'''
162번째 줄: 161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5"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5"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전체 GDP'''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전체 GDP'''
182번째 줄: 181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f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0px; background: #fff"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법정 연호'''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법정 연호'''
210번째 줄: 209번째 줄:
| style="background: #f4c604; color: #11164d" align=middle | '''위치'''
| style="background: #f4c604; color: #11164d" align=middle | '''위치'''
|-
|-
| style="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난방공화국 지도1.png]]</div>
| style="background: #f9f9f9" | <div style="margin: 5px 5px">[[파일:난방공화국 지도2.png]]</div>
|}
|}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난방공화국'''(蘭芳共和國, Republik Lanfang)은 동남아시아의 보르네오섬 및 부속도서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남쪽으로는 자와해, 동쪽으로는 마카사르 해협을 두고 북쪽으로는 동중국해와 접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강국이자 아시아 최대의 페라나칸 국가이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한다.
'''난방공화국'''(蘭芳共和國, Republik Lanfang)은 동남아시아의 보르네오섬 및 부속도서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남쪽으로는 자와해, 동쪽으로는 마카사르 해협을 두고 북쪽으로는 동중국해와 접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강국이자 아시아 최대의 페라나칸 국가이다.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경제 허브 및 무역을 통한 고속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불교, 이슬람, 힌두교 등 여러 민족과 종교가 어우러진 다문화 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경제 허브 및 무역을 통한 고속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불교, 이슬람, 힌두교 등 여러 민족과 종교가 어우러진 다문화 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224번째 줄: 223번째 줄:


=== 국기 ===
=== 국기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1164d;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left"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1164d;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middle"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big>'''난방공화국 국기'''</big><br>'''蘭芳共和國旗''' | '''兰芳共和国旗'''<br>'''Bendera Lanfang''' | '''Flag of Lanfang'''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big>'''난방공화국 국기'''</big><br>'''蘭芳共和國旗''' | '''兰芳共和国旗'''<br>'''Bendera Lanfang''' | '''Flag of Lanfang'''
|-
|-
240번째 줄: 239번째 줄:
|}
|}


난방공화국의 국기는 1943년 난방공화국 국회에서 선정한 디자인을 채택하였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편입 전까지의 난방대통제공화국의 황색기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기의 황색 바탕은 광명(光明)과 노동을 상징하며, 공시 공화국의 하나로 성장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화합을 드러내었다. 또한 나방백이 선정한 국기의 황색은 청나라의 청룡기에서 온 것이다.
난방공화국의 국기는 난방대통당의 당기를 변형한 디자인을 선정하였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편입 전까지의 난방대통제공화국의 황색기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기의 황색 바탕은 광명(光明)과 노동을 상징하며, 공시 공화국의 하나로 성장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화합을 드러내었다. 또한 나방백이 선정한 국기의 황색은 청나라의 청룡기에서 온 것이다.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1164d;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 middle"
| colspan="6"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big>'''난방공화국 국장'''</big><br>'''蘭芳共和國章''' | '''兰芳共和国章'''<br>'''Jata negara Lanfang'''<br>'''Lambang negara Lanfang'''<br>'''Coat of arms of Lanfang'''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15px 15px">[[파일:난방공화국 국장2.png|350px]]</div>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지위'''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공식 국장'''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채택'''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1964년 10월 27일
|-
| colspan="2" style="background: #11164d; color: #f4c604" align=middle | '''근거 법령'''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난방공화국 국기, 국장 및 국가법》
|-
|}
 
가운데 방패 구조물에는 국기의 문양이 그려져 있으며, 양 쪽에는 호랑이 두 마리가 그려져 있다. 가운데 상단에는 별이 그려져 있고 하단의 노란 리본에는 난방공화국의 국호가 각각 중국어, 마인어로 적혀있다.
 
=== [[난방공화국/역사|역사]] ===
1777년, [[난방대통제공화국|난방공사]]의 [[나방백]]은 [[난방공화국/지역|보르네오 서부]] [[폰티아낙시|폰티아낙]]에 거점을 두고 14인 과두제 정부를 구성하여 [[난방대통제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여러 전쟁과 병합을 통해 공사공화국 세력을 통합한 난방은 3차례에 걸친 네덜란드와의 전쟁으로 인해 국력을 많이 상실하였으며, 결국 네덜란드의 [[화란자치령 난방공화국|자치령]]으로 편입되고 만다.
 
[[일본국 (나루히토 2)|일본]]이 태평양 전쟁 중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점령하고 [[화란자치령 난방공화국|난방공화국]] 역시 일본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일본은 [[난방공화국 일치시기|보르네오 군정청]]을 설치하고 [[화란자치령 난방공화국|난방공화국]], [[라부안 특별구|라부안 섬]], [[브루나이 특별주|브루나이]], [[영국령 북보르네오]]를 통합하여 통치하였다. 이 시기 난방의 중국계 인구의 영향권은 보르네오 통합 이후 섬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이후의 역사적 사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1944년, [[난방대통당]]은 [[난방공화국 제2공화국|난방공화국]]의 독립 및 정부 재건를 공식적으로 표명하였으며, 난방건국임시회의를 통해 국호를 확정하였다.
 
== 인문 환경 ==
=== 인구 ===
=== 언어 ===
=== 종교 ===
 
== [[난방공화국/행정구역|행정구역]] ==
{{난방공화국/행정구역}}
{{난방공화국/1급 행정구역}}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4c604; width: 100%; float: middle"
| colspan="10"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bb00 0%, #f4c604 20%, #f4c604 80%, #f2bb00 100%); color: #11164d" align=middle | [[난방공화국|{{글씨 색|#11164d|'''난방공화국'''}}]] '''행정구역 체계'''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1급'''
| colspan="2"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2급'''
| colspan="2"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3급'''
| colspan="2"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4급 이하'''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직할시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구(2급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진<br>사구
|-
| width="25%" rowspan="5"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주
| width="25%" rowspan="2"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현<br>자치현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시(3급시)<br>자치시
| width="25%" rowspan="3"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구(4급구)<br>향 / 민족향<br>읍<br>촌<br>인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군<br>자치군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시(2급시)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구(3급구)
|-
| colspan="6"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2급 이하 특별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특별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구
|-
| colspan="8" style="background: #f7f7f7; color: #000" align=middle | 1급 이하 특별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특별주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구(2급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사구
|}
 
== [[난방공화국/정치|정치]] ==
난방공화국은 헌법에 의해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며, 단원제 <span class="plainlinks">[https://ko.m.wikipedia.org/w/index.php?title=%EB%8C%80%ED%86%B5%EB%A0%B9%EC%A0%9C&wprov=rarw1 대당총장 중심제]</span>를 채택하고 있다. [[난방공화국 대당총장]]은 정부 수반 및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구성된 [[난방공화국 국회]]가 입법부로 기능한다. [[난방공화국 최고재판소|최고재판소]]는 사법부 최상위 기관으로, 사법을 관장하고 [[난방공화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는 헌법 및 국회에서 제정된 법의 합헌성에 대한 판결을 담당한다. [[난방공화국 감찰원|감찰원]]은 감찰부로서 국가 세입/세출의 결산, 국가와 법률이 정한 단체의 회계검사 및 행정기관, 국가고위직, 공무원의 감찰업무를 담당한다.
 
상기 4개의 국가 권력은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서로를 적절히 견제하고 세력 균형을 유지하며 정치적 편파를 최소화 한다. [[사권분립]]은 [[난방공화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이 삼권분립의 요소를 바탕으로 쑨원의 오권분립 제도에 영감을 받아 중국 전통 관료제의 법치를 수정 및 적용하여 현대적으로 적절히 변형한 정치구조이다. 헌법상 각 기관의 역할과 권력 분립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고 있으며, 난방공화국은 [[사권분립]]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정당 ===
{{난방공화국/정당}}
{{난방공화국/원내구성}}
 
난방공화국은 여당인 [[난방대통당]]의 일당 우위 정당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국민들의 인식에 기반한 역사적이고 관습적인 전통에 기인한 것이다. [[난방대통당]]은 [[난방공화국 임시정부]]의 주도 세력이 창립한 정치 조직으로, [[화란자치령 난방공화국|네덜란드 자치령]] 시절에 네덜란드군에 대항하는 게릴라 항쟁 및 의거를 활발하게 진행하였으며, 짧았던 [[일본국 (나루히토 2)|일본]]의 통치 기간에도 [[난방공화국 제2공화국|난방공화국]] 건국을 위한 기반을 주도했던 중추적인 세력이었다.
 
실제로 1945년부터 일부 몇년을 제외하고 약 90년 동안의 장기 집권이 진행중이며, 세력은 미미하지만 [[난방민주당]]이 [[난방대통당]]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대항마로 평가받는다.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와 국민 과반수를 차지하는 중국계 국민의 콘크리트 지지층의 인구, 국민들에 부여된 여당의 이미지, 이러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해봤을때 일당 우위적인 난방의 정치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최근, [[난방민주당]]과 [[공의당]], 자유민중당이 합당하면서 2036년 이어질 총선에서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난방공화국의 좌익 세력은 [[사회당(난방공화국)|사회당 계열]]의 정당과 [[난방민주당]]과 같은 중도좌익 정당 등 다양한 정당이 존재한다. [[난방대통당]]의 경우 우편향 빅 텐트 정당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화인제일당]]과 같은 극우 정당이 존재한다.
 
[[사라왁주]]나 [[사바주]], [[브루나이 특별주|브루나이]]와 같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 정당이 존재하며, 난방공화국의 경우 지역 정당 지지율이 꽤 높은 편이다. 역사적으로 [[사라왁주|사라왁]]은 [[난방공화국 일치시기|보르네오 군정청]]으로 통합되지 않고 60년대까지 사라왁 왕국으로 존재하다가 흡수된 케이스라서 아직까지 분리주의 성향과 지역주의 성향이 강한 지역이다. [[사바주|사바]]와 [[브루나이 특별주|브루나이]] 또한 역사적, 민족적 갈등에서 비롯된 분리주의 세력이 다른 지역에 비해 일부 존재하는 편이다. 특히, 이 지역의 말레이인이나 카다잔두순인 등 원주민 집단의 민족주의 성향도 난방공화국 정치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 행정 ===
==== [[난방공화국 정부|정부]] ====
난방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난방공화국 대당총장|대당총장]]으로, 헌법상의 국가원수이다. 대당총장은 [[난방공화국 대당차장|대당차장]]을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할 수 있으며, 대당차장은 대당총장의 승인 하에 각 부 장관을 임명할 권한을 지닌다. 행정부는 [[난방공화국 최고재판소|최고재판소장]]의 지명 권한과 국회 해산권을 가지며, [[난방공화굴 감찰원|감찰원장]] 및 감찰부원장을 포함한 감찰 위원의 임명 권한을 가진다. 다만 국회(입법부)는 감찰 위원 임명에 대한 동의권을 행사하며, 행정부의 감찰 위원 임명은 입법부의 제한 하에서 이루어진다.
 
== [[난방공화국/행정|행정조직]] ==
{{난방공화국/행정조직}}
 
=== [[난방공화국 국회|국회]] ===
 
=== [[난방공화국 최고재판소|최고재판소]] ===
 
=== [[난방공화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 ===
 
=== [[난방공화국 감찰원|감찰원]] ===
 
=== [[난방공화국/외교|외교]] ===
난방공화국은 제3세계 국가로 분류되며, 미국의 영향으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계 이민자와 중국계 국민의 영향으로 [[중국 (중세관)|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도 좋다. [[하손명]]과 [[오도웅]] 정부의 장기간의 중간국 균형외교 전략으로 경제적 이득과 정치적 상황을 모두 고려하며 두 패권국 사이에서 나름의 적절한 입지를 다져갔다. 국내에서는 [[칼리만탄 전쟁]]의 영향으로 반공주의 여론이 어느정도 존재한다.
 
== 경제 ==

2025년 5월 28일 (수) 13:00 기준 최신판

난방공화국 국기.png
관련 문서
[ 역사 ]
[ 지리 ]
[ 군사 ]
[ 정치 ]
[ 사회 ]
[ 외교 ]
국군
본부
외교
난방공화국 난방공화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난방공화국
蘭芳共和國 | 兰芳共和国
Republik Lanfang
Republic of Lanfang
난방공화국 국기.png
난방공화국 국장2.png
국기 국장
團結和獻身
perpaduan dan pengabdian
단결과 헌신
상징
국가 난방공화국 국가
국화 차바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만도르(東萬律)
최대도시 삼티아오카오(三條溝)
면적 743,874km²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20,258,000명
민족 구성 중국인, 말레이인, 자바인, 순다인, 인도인 등
인구 밀도 27.23명/km²
공용어 중국어 표준/객가어, 마인어, 영어 다민족 국가이고 인도인 노동자 및 이민자의 유입으로, 2009년 공용어로 선정되었다.
공용 문자 한자 정체자/간체자를 혼용하고 있으나, 21세기 이후 귀화한 중국계 국민이 아니라면 보통 정체자 사용자가 지배적이다., 라틴 문자
종교 국교 없음
불교, 이슬람 등
군대 난방공화국 국군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직할시(直轄市)
만도르(東萬律)
성(省)
삼티아오카오(三條溝) 루추(廬州)
토퐁(道房) 코탑(科塔)
신통(新當) 남핀(南濱)
반자르(萬吒) 산퉁(山東)
펫산(北山) 쿠칭(古晉)
사라왁(砂州) 사바(沙巴)
특별성(特别省)
브루나이(渤泥)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 단일국가, 단원제, 일당독재(사실상), 다당제, 대륙법계
정부
요인
대당총장
(국가원수)
(정부수반)
요래관
대당차장
국회의장
수석대법관
여당 난방대통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전체 GDP $608,388,256,000
1인당 GDP $30,032
통화 난방 달러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8(난방공화국 표준시)
도량형 국제단위계
ccTLD
.lf, .Lanfang, .蘭芳
국가 코드
LFN, LF
위치
난방공화국 지도2.png

개요

난방공화국(蘭芳共和國, Republik Lanfang)은 동남아시아의 보르네오섬 및 부속도서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남쪽으로는 자와해, 동쪽으로는 마카사르 해협을 두고 북쪽으로는 동중국해와 접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강국이자 아시아 최대의 페라나칸 국가이다.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경제 허브 및 무역을 통한 고속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불교, 이슬람, 힌두교 등 여러 민족과 종교가 어우러진 다문화 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상징

국호

난방공화국의 국호는 초대 대당총장 나방백(羅芳伯)이 난방공사(蘭芳公司)를 설립할 때의 명칭이 굳어진 것이다. 난방(蘭芳)의 민난어 발음인 Lanphang에서 유래하였으며, 1944년 '난방건국임시회의'에서 제안된 '난방대통제공화국', '칼리만탄 공화국' 등이 있다. 칼리만탄은 보르네오섬 중남부 대부분을 이르는 말로, 행정구역 명칭이나 학교 등의 기관명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국기

난방공화국 국기
蘭芳共和國旗 | 兰芳共和国旗
Bendera Lanfang | Flag of Lanfang
난방공화국 국기.png
지위 공식 국기
채택 1943년 9월 17일
근거 법령 《난방공화국 국기, 국장 및 국가법》

난방공화국의 국기는 난방대통당의 당기를 변형한 디자인을 선정하였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편입 전까지의 난방대통제공화국의 황색기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기의 황색 바탕은 광명(光明)과 노동을 상징하며, 공시 공화국의 하나로 성장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화합을 드러내었다. 또한 나방백이 선정한 국기의 황색은 청나라의 청룡기에서 온 것이다.

국장

난방공화국 국장
蘭芳共和國章 | 兰芳共和国章
Jata negara Lanfang
Lambang negara Lanfang
Coat of arms of Lanfang
난방공화국 국장2.png
지위 공식 국장
채택 1964년 10월 27일
근거 법령 《난방공화국 국기, 국장 및 국가법》

가운데 방패 구조물에는 국기의 문양이 그려져 있으며, 양 쪽에는 호랑이 두 마리가 그려져 있다. 가운데 상단에는 별이 그려져 있고 하단의 노란 리본에는 난방공화국의 국호가 각각 중국어, 마인어로 적혀있다.

역사

1777년, 난방공사나방백보르네오 서부 폰티아낙에 거점을 두고 14인 과두제 정부를 구성하여 난방대통제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여러 전쟁과 병합을 통해 공사공화국 세력을 통합한 난방은 3차례에 걸친 네덜란드와의 전쟁으로 인해 국력을 많이 상실하였으며, 결국 네덜란드의 자치령으로 편입되고 만다.

일본이 태평양 전쟁 중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점령하고 난방공화국 역시 일본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일본은 보르네오 군정청을 설치하고 난방공화국, 라부안 섬, 브루나이, 영국령 북보르네오를 통합하여 통치하였다. 이 시기 난방의 중국계 인구의 영향권은 보르네오 통합 이후 섬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이후의 역사적 사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1944년, 난방대통당난방공화국의 독립 및 정부 재건를 공식적으로 표명하였으며, 난방건국임시회의를 통해 국호를 확정하였다.

인문 환경

인구

언어

종교

행정구역

난방공화국 국기.png
[ 펼치기 · 접기 ]
1급 2급 3급 4급 이하
직할시 2급구
사구

자치현
3급시
자치시
4급구

민족향



자치군
2급시 3급구
2급 이하 특별
특별구 사구
1급 이하 특별
특별성 2급구 사구
난방공화국 국기.png
[ 펼치기 · 접기 ]
직할시(直轄市)
만도르(東萬律)
성(省)
삼티아오카오(三條溝) 루추(廬州)
토퐁(道房) 코탑(科塔)
신통(新當) 남핀(南濱)
반자르(萬吒) 산퉁(山東)
펫산(北山) 쿠칭(古晉)
사라왁(砂洲) 사바(沙巴)
특별성(特别省)
브루나이(渤泥)
난방공화국 행정구역 체계
1급 2급 3급 4급 이하
직할시 구(2급구)
사구

자치현
시(3급시)
자치시
구(4급구)
향 / 민족향



자치군
시(2급시) 구(3급구)
2급 이하 특별
특별구 사구
1급 이하 특별
특별주 구(2급구) 사구

정치

난방공화국은 헌법에 의해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며, 단원제 대당총장 중심제를 채택하고 있다. 난방공화국 대당총장은 정부 수반 및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구성된 난방공화국 국회가 입법부로 기능한다. 최고재판소는 사법부 최상위 기관으로, 사법을 관장하고 헌법재판소는 헌법 및 국회에서 제정된 법의 합헌성에 대한 판결을 담당한다. 감찰원은 감찰부로서 국가 세입/세출의 결산, 국가와 법률이 정한 단체의 회계검사 및 행정기관, 국가고위직, 공무원의 감찰업무를 담당한다.

상기 4개의 국가 권력은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서로를 적절히 견제하고 세력 균형을 유지하며 정치적 편파를 최소화 한다. 사권분립제2공화국이 삼권분립의 요소를 바탕으로 쑨원의 오권분립 제도에 영감을 받아 중국 전통 관료제의 법치를 수정 및 적용하여 현대적으로 적절히 변형한 정치구조이다. 헌법상 각 기관의 역할과 권력 분립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고 있으며, 난방공화국은 사권분립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정당

난방공화국 난방공화국의 정당
[ 펼치기 · 접기 ]
극좌 난방자유당
좌익 인민주권당, 공진당, 부미푸트라 청년연합
사회당계 사회당(16)
민주당계 민주당(87)
중도
대통당계 난방대통당(171)
우익 난방민족민주연합회(13)
극우 화인제일당
소수민족 난방인도인협회, 타나다약
종교 난방회교연맹(7)
지역 사라왁 정당연맹(4), 사라왁 단결당, 사바 인민연합전선, 브루나이 국민당(2)
단일쟁점 에코퍼스트, 난방상업진흥회
난방공화국 국회 상징.png 난방공화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대 국회
??? ~ ???
여당
난방대통당 로고.png
난방대통당
171석
야당
PD 로고2.png
민주당
87석
난방공화국 사회당 로고2.png
사회당
16석
난방민족민주연합회 로고2.png
난방민족민주연합회
13석
난방회교연맹 로고2.png
난방회교연맹
7석
사라왁 정당연맹 로고2.png
사라왁 정당연맹
4석
사바 인민연합전선.png
사바 인민연합전선
2석
재적 300석 · 공석 0석

난방공화국은 여당인 난방대통당의 일당 우위 정당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국민들의 인식에 기반한 역사적이고 관습적인 전통에 기인한 것이다. 난방대통당난방공화국 임시정부의 주도 세력이 창립한 정치 조직으로, 네덜란드 자치령 시절에 네덜란드군에 대항하는 게릴라 항쟁 및 의거를 활발하게 진행하였으며, 짧았던 일본의 통치 기간에도 난방공화국 건국을 위한 기반을 주도했던 중추적인 세력이었다.

실제로 1945년부터 일부 몇년을 제외하고 약 90년 동안의 장기 집권이 진행중이며, 세력은 미미하지만 난방민주당난방대통당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대항마로 평가받는다.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와 국민 과반수를 차지하는 중국계 국민의 콘크리트 지지층의 인구, 국민들에 부여된 여당의 이미지, 이러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해봤을때 일당 우위적인 난방의 정치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최근, 난방민주당공의당, 자유민중당이 합당하면서 2036년 이어질 총선에서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난방공화국의 좌익 세력은 사회당 계열의 정당과 난방민주당과 같은 중도좌익 정당 등 다양한 정당이 존재한다. 난방대통당의 경우 우편향 빅 텐트 정당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화인제일당과 같은 극우 정당이 존재한다.

사라왁주사바주, 브루나이와 같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 정당이 존재하며, 난방공화국의 경우 지역 정당 지지율이 꽤 높은 편이다. 역사적으로 사라왁보르네오 군정청으로 통합되지 않고 60년대까지 사라왁 왕국으로 존재하다가 흡수된 케이스라서 아직까지 분리주의 성향과 지역주의 성향이 강한 지역이다. 사바브루나이 또한 역사적, 민족적 갈등에서 비롯된 분리주의 세력이 다른 지역에 비해 일부 존재하는 편이다. 특히, 이 지역의 말레이인이나 카다잔두순인 등 원주민 집단의 민족주의 성향도 난방공화국 정치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행정

정부

난방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대당총장으로, 헌법상의 국가원수이다. 대당총장은 대당차장을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할 수 있으며, 대당차장은 대당총장의 승인 하에 각 부 장관을 임명할 권한을 지닌다. 행정부는 최고재판소장의 지명 권한과 국회 해산권을 가지며, 감찰원장 및 감찰부원장을 포함한 감찰 위원의 임명 권한을 가진다. 다만 국회(입법부)는 감찰 위원 임명에 대한 동의권을 행사하며, 행정부의 감찰 위원 임명은 입법부의 제한 하에서 이루어진다.

행정조직

난방공화국 국장2.png
[ 펼치기 · 접기 ]
국방부 외교부 내무부
인도태평양국
대륙아시아국
ASEAN국 북미국
중남미국 유럽국
중동아프리카국
영사관리국
국제개발협력국
국제법률·경제국
문화외교국
기후환경외교국
중앙판공청 영건청
경정청 소방청
국립공원관리청
국토환경관리국
아동복리국
사회조직관리국
입출국이민사
민족사무국
사라왁·사바사무국
경제재정부 법무부 교육부
금융관리국
조세감찰국
조폐국
국세청 관세청
국고서 부세서
재무지원청
교정청 검찰청
마약범죄수사국
사법지원국
범죄예방정책국
상무부 교통부 문화부
국제무역교섭청
소수자산업지원청
경제개발청 특허청
중소기업산업지원청
기술정보관리청
공로교통국 철도국
관광국 민용항공국
항무수운국
교통안전감독관리사
북부국토개발청
지정특별구역개발청
문화유산관리청
국립박물관청
문화산업지원청
민족문화지원청
예술미디어지원청
문헌출판관리청
보르네오문화원
위생복리부 과학기술부 노동부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개발투자국
지식재산관리국
항공우주국
에너지관리국
기초과학기술국
에너지규제관리국
우주과학기술국
AI과학기술국
정보통신과학기술국
노공보험국
노동기금운용국
노동보장감찰국
노동안전위생서
인적자원발전서
농촌노동진흥지원서
수위안보부 환경부 농업부

국회

최고재판소

헌법재판소

감찰원

외교

난방공화국은 제3세계 국가로 분류되며, 미국의 영향으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계 이민자와 중국계 국민의 영향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도 좋다. 하손명오도웅 정부의 장기간의 중간국 균형외교 전략으로 경제적 이득과 정치적 상황을 모두 고려하며 두 패권국 사이에서 나름의 적절한 입지를 다져갔다. 국내에서는 칼리만탄 전쟁의 영향으로 반공주의 여론이 어느정도 존재한다.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