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사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crimson gray gray;padding:12px"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crimson gray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태평도 프로젝트의 공식 문서입니다.'''}}}[br][br]태평도 프로젝트 추진위원회 위원 이외의 편집을 금지합니다.}}}
{{{+1 '''이 문서는 국역연구회의 공식 문서입니다.'''}}}[br][br]국역연구회 위원 이외의 편집을 금지합니다.}}}


##틀 크기 변경시마다 국왕 문단 이동바람


||<-3><tablealign=right><tablewidth=300><tablebgcolor=#0A62BA><bgcolor=#0A62BA> {{{#fff {{{+1 '''평사국'''}}}[br]'''平私國 | Pinsi'''}}} ||
||<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bgcolor=#0A62BA><-4><:>{{{#white {{{+1 '''평사국'''}}}[br]{{{+1 '''平私國'''}}}[br]{{{+1 '''Pingsa'''}}}}}}||
||<-2><width=50%><bgcolor=#fff> [[|[[파일:Timmy Pinsi Flag.png|width=100%]]]] ||<width=50%><bgcolor=#fff> [[국장#s-2.1|[[파일:Pinsi Emblem.png|width=100%]]]] ||
||<:><-4>[[파일:Timmy Pinsi Flag.png |width=200]]||
||<-2><width=50%> [[백화청기|{{{#fff '''국기'''}}}]] ||<width=50%> {{{#fff '''국장'''}}} ||
||<-4><:><#0A62BA>'''{{{#white 국기}}}''' ||
||<-3> {{{#fff '''상징'''}}} ||
||<:><-4>[[파일:Pinsi Emblem.png|width=200]] ||
||<width=25%> {{{#fff '''국가'''}}} ||<-2><bgcolor=#fff> ,,(관습상),,||
||<-4><:><#0A62BA>'''{{{#white 국장}}}''' ||
|| {{{#fff '''국화'''}}} ||<-2><bgcolor=#fff>[[벚꽃]] ,,(관습상),,||
||||<width=35%><bgcolor=#0A62BA><:>{{{#white '''국호'''}}}||<-2><width=65%> 평사국 [br] 平私國 ||
|| {{{#fff '''표어'''}}} ||<-2><bgcolor=#fff> ,,(관습상),,||
||<bgcolor=#0A62BA><|4><:>{{{#white '''상징'''}}}||<width=25%><bgcolor=#0A62BA><:>{{{#white '''국가'''}}}||<-2> [[국왕이여, 저희를 지키시옵소서]] ||
||<-3> {{{#fff '''역사'''}}} ||
||<bgcolor=#0A62BA><:>{{{#white '''국화'''}}}||<-2> [[벚꽃]] ||
||<-3><bgcolor=#fff>'''||
||<bgcolor=#0A62BA><:>{{{#white '''국조'''}}}||<-2> [[참새]] ||
||<-3> {{{#fff '''핀시 열도'''}}} ||
||<bgcolor=#0A62BA><:>{{{#white '''표어'''}}}||<-2> [[세평광휘]](세계에 평화의 빛이 있기를) ||
||<-3> [[파일:Timmy Pinsi map4.jpg|400px]] ||
||<bgcolor=#0A62BA><|1><:>{{{#white '''자연환경'''}}}||<bgcolor=#0A62BA><:>{{{#white '''면적(영토)'''}}}||<-2> 면적 km² ||
||<-3> {{{#fff '''수도''' | '''최대도시'''}}} ||
||<bgcolor=#0A62BA><|3><:>{{{#white '''인문환경'''}}}||<bgcolor=#0A62BA><:>{{{#white '''인구'''}}}||<-2> 30,280,004명 ||
||<-3><bgcolor=#fff> [[정징 도]](政京都) ,,(관습상),, ||
||<bgcolor=#0A62BA><:>{{{#white '''인구밀도'''}}}||<-2> 인구밀도 km2 ||
||<-3> {{{#fff '''면적'''}}} ||
||<bgcolor=#0A62BA><:>{{{#white '''공용 언어'''}}}||<-2> [[평사어]] ||
||<-3><bgcolor=#fff>0㎢ ||
||<bgcolor=#0A62BA><|5><:>{{{#white '''정치'''}}}||<bgcolor=#0A62BA><:>{{{#white '''국체'''}}}||<-2> 입헌군주제 ||
||<-2> {{{#fff '''공용 언어'''}}} ||<bgcolor=#fff>[[평사어]] ||
||<bgcolor=#0A62BA><:>{{{#white '''정부형태'''}}}||<-2> 총리책임제, 양원제 ||
||<-2> {{{#fff '''공용 문자'''}}} ||<bgcolor=#fff>[[평사국 한자음|한자]], [[사문자]] ||
||<bgcolor=#0A62BA><:>{{{#white '''국왕'''}}}||<-2> [[세청아]] ||
||<-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 '''ccTLD'''}}}]] ||
||<bgcolor=#0A62BA><:>{{{#white '''총리'''}}}||<-2> [[Morth]] ||
||<-3><bgcolor=#fff> .pi ||
||<bgcolor=#0A62BA><:>{{{#white '''수상'''}}}||<-2> 공석 ||
||<-3> {{{#fff '''국가 코드'''}}} ||
||<bgcolor=#0A62BA><|5><:>{{{#white '''경제'''}}}||<bgcolor=#0A62BA><:>{{{#white '''GDP'''}}}||<-2> $1조 2억 ||
||<-3><bgcolor=#fff> PI, PIN ||
||<bgcolor=#0A62BA><:>{{{#white '''1인당 GDP'''}}}||<-2> $36,789 ||
||<-3> {{{#fff '''국제 전화 코드'''}}} ||
||<bgcolor=#0A62BA><:>{{{#white '''GDP(PPP)'''}}}||<-2> $1조 2억 ||
||<-3><bgcolor=#fff> +87 ||
||<bgcolor=#0A62BA><:>{{{#white '''1인당 GDP(PPP)'''}}}||<-2> $36,789 ||
{{{#fff 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
||<bgcolor=#0A62BA><:>{{{#white '''공식 화폐'''}}}||<-2> [[평사 파운드]] ||
||<-2><bgcolor=#0A62BA><:>{{{#white '''단위'''}}}||<-2> 미터법 |||
||<-3><bgcolor=#0A62BA> {{{#fff '''태평 군도'''}}} ||
||<-3> [[파일:Timmy Pinsi in Asia map.png|300px]] ||
||<-3><bgcolor=#0A62BA> {{{#fff '''수도'''}}} ||
||<-3> 수도 [[성도 성]] ||
||<-2><#0A62BA> {{{#FFFFFF '''법정연호'''}}} ||<-2> 서력기원 ||
||<-2><#0A62BA> {{{#FFFFFF '''시간대'''}}} ||<-2> UTC +00 ||


[목차]
[목차]
==개요==
가상섬 [[타핀 군도]]에 기반한 설정국가이다. 군주가 다스리는 입헌군주제 국가로서, 왕가는 [[세씨 왕가]] 이며, 현 군주는 제 23대 가주인 세청아이다.
1945년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였고, 1948년 초대 총선에 이어 첫 내각이 구성되었으며 [[안종 (평사국)|안종]][* 성조가 아닌 안종으로 추숭하였다.]이 즉위하였다.
=== [[평사국/행정부|행정부]] ===
[[평사국/행정부]] 문서 참조


{{{#fff 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br]줄 맞추기 }}}
평사국의 행정부는 8개의 성으로 구성되며, 현재 제 4대 총리대신은 모스이다.
==개요==
 
가상섬 [[평사 열도]]에 기반한 설정국가이다. 군주가 다스리는 입헌군주제 국가로서, 왕가는 [[세씨 왕가]] 이며, 현 군주는 제 23대 가주인 세청야다.
=== [[평사국/입법부|입법부]] ===
1945년 일본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 1948년 초대 총선에 이어 첫 내각이 구성되었다.
평사국의 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상원은 정무원이고, 하원은 시민원인데, 하원에서 입법을 행한다.
 
=== [[평사국/사법부|사법부]] ===
 
=== [[평사국/행정구역|행정구역]] ===
[[평사국/행정구역]]문서 참조
 
광역행정구역은 1개의 특별성, 2개의 광역성, 13개의 현으로 나뉜다.
주요 도시(지방)을 열거하자면
 
수도 [[성도 성]]
제2도시 [[난주 성]]
제3도시 [[광주 성]]


== 국왕 ==
== 국왕 ==
43번째 줄: 71번째 줄:
{{전임후임
{{전임후임
|전임자=[[안종]]
|전임자=[[안종]]
|직책=[[세청아|세청야]]
|직책=[[세청아|세청아]]
|임기=[[1997년]] [[11월 5일]] ~ 재위중
|임기=[[1997년]] [[11월 5일]] ~ 재위중
}}
}}


== 설정 ==
[include(틀:평사국의 국왕)]
 
=== 대공 ===
[[아친왕]] [[화|모스]]
[[청친왕]] [[Piter hanon|세연영]]
[[난주 대공]] [[오셀롯]]
[[성산 대공]] [[더베리몬드 3세]]
 
== 경제 ==
[[평사국/경제]] 문서 참조
 
=== 화폐, 환율 ===
II.화폐개혁
현재의 복잡한(5개 이상의 화폐단위)에서, 새 단위인 '아세', '갤런', 그리고 국제화폐인 '운드'로 개혁하고, 환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화폐는
 
평사 파운드 운드 갤런


=== [[평사국/행정구역|행정구역]] ===
1파운드=구 세화 10
광역행정구역은 1개의 도(都)와 3개의 부(府), 32개의 현(縣), 1개의 주(州)로 나뉜다.
 
수도는 [[정징 부]](政京府)이며, 제2도시는 항구도시인 [[난주 부]](南州府) 이다.
1파운드=1유로
 
1갤런=100파운드
 
1운드=10갤런
 
갤런을 설명드리자면
 
24k의 순금 24g=10 갤런
18k의 금 24g=1 갤런
(X100)
14k의 금 24g=10 그램
8k의 금 24g=1 그램
 
==== 토지료 ====
 
평사국의 토지료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최고상한선을 둡니다.
 
7700 유로/m2, 7700파운드/m2.
 
각 지방마다 토지료는 다르지만, 최고 7700파운드, 최저 1000파운드를 기본으로 둡니다.


[[파일:Timmy pinsi map3.jpg|400px]]
==== 세금 ====


== [[평사국/행정구역|행정구역]] ==
세금은 기본적으로
국토는 총 1개의 [[도]](都)와 2개의 [[부]](府) 32개의 [[현]](縣), 1개의 [[주]](州)로 나뉜다.
수도는 [[정징 도]](政京都)이며, 제2도시는 항구도시인 [[난주 부]](南州府)이다. 내륙인 지역은 성도 부, 타핀 현, 비주 현 3개뿐이다. 과거에는 내륙인 지역으로 난타핀 현(南太平縣)도 있었으나 성도 부, 난본 현, 시양 현, 광주 현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고 강핀 현도 일부가 정징 도에 편입되어 내륙지역이 될뻔했으나 무산되었다.


핀본(平本) 지방은 정징 도와 그 주변 지역으로 구성된 지방이다.
'100분의 1세’ 입니다.


정징 도(政京都)는 천도한 이래 현재까지도 수도이다. 헌법에는 없으나 관습법상으로는 수도이다.
이는 토지세, 기업세(법인세), 매상세에 적용되며, 모든 평사국 세율의 근간을 이루는 숫자입니다.


북부 지방은 북부를 중심으로 한 지방이다.
간단한 세제를 추구하였습니다.


동시 현(東私縣)은 류천(兩川) 섬 남부에 위치한 현이다. 이전에는 류천 현과 파천 현에 속하였다가. 분리통합하여 신설되었다.
예를 들어서, 5000 파운드를 자본으로 하는 기업을 1개월간 운영하고 존속시키려면, 50 파운드의 세금이 나갑니다.


타핀(太平) 지방은 타핀 섬과 그 부속섬을 기반으로 한 지방이다. 평사 최초의 국가인 태평국이 건국된 지방이다.
1000평의 땅을 구매할때는 7700 파운드의 세금이 나옵니다.
대만섬의 타이난이나, 대한민국의 경주, 일본의 토쿄랑 비슷하다.


성도 부(成都府)는 평사국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며, 태평국의 수도였던 도시이다. 지금은 왕도(王都)로서 의미가 깊은 지역이다.
5만 세화의 수입에는 50 파운드의 세금이 나오죠.


난본 현(南本縣)은 태평도 남부에 위치한 현이다. 본래 명칭은 난주 현(南州縣)이었으나 난주 일대가 네덜란드의 식민지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난본으로 개명되었다.
관세도 존재합니다!


타핀 현(太平縣)은 타핀 섬 중앙에 위치한 현으로 태평국이 건국된 지역이다.
관세는 5분의1 을 기본으로 하며, 예를 들자면 5만 세화치 상품은 1만 세화의 세금을 내야 하죠.


[[분류:태평도 프로젝트]]
이쯤입니다!


==== [[평사국/행정부|행정부]] ====
세제는 추후에 시작할 생각입니다.
[[평사국/행정부]] 문서 참조


=== [[평사국/역사|역사]] ===
== [[평사국/역사|역사]] ==
[[평사국/역사]] 문서 참조
[[평사국/역사]] 문서 참조


[include(틀:평사국의 역사)]
=== 지리 ===
[[평사국/지리]] 문서 참조
 
=== 교통 ===
[[평사국/교통]] 문서 참조


=== 고대 ===
=== 군사 ===
==== 삼산시대 ====
[[평사국/군사]]
역사서에 따르면 타핀 섬(太平島)에 상륙한 첫 사람은 [[사이 례산]](崔䴡山)이라고 한다. 그는 중국인으로, 서기 100년 쯤의 일로 알려져 있다. 타핀 섬 중부에는 사이 례산의 증손자인 [[류진 왕|사이 류진]](崔流進)이 태평국을 건국하였으며 6세기까지 남하하였다. 타핀 섬 북부에는 [[메이린 왕|장 메이린]](張明林)이 건국한 [[중산국]]과 [[잉산 왕|풍 잉산]](風英山)이 건국한 [[성산국]]이 확장을 하다가 충돌하였고 전쟁으로 발전했었는데 종전 후 중산국은 서남부, 성산국은 동남부로 남하하였다. 이 때 중산국과 태평국이 충돌하기 시작했고 양국 간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성산국이 몇차례 지원하기도 했다.] 이후 580년 태평국이 중산국을 멸망시켰다. [[삼국사]]에 따르면 "중산국왕 [[진하이 왕|진하이]](進解)가 나와 항복하였다."라고 한다. 602년에는 성산국과 전쟁을 하여 멸망시켰다. "성산국왕 [[잉류 왕|잉류]](英流)는 가족들과 함께 도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중산왕의 도움으로 뒤를 쫓았으나 결국 잡지 못하였다."라고 삼국사에 기록되어 있다.


==== 통일 태평국시대 ====
평사국군은 명목상으로 평사국, 난주 공국, 성주 공국의 연합된 군대이며, 각 군의 총사령관은 국왕이 맡는다.
삼국을 통일한 이후의 태평국을 말한다. 이 시기에 핀본 섬(平本島)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636년 핀본 섬을 발견한 김 난메이(金南明)는 즉각 [[성왕 (태평국)|성왕]]에게 보고하였으며 왕명으로 즉시 핀본 섬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이후 핀본 섬에서 의산국과 처음 충돌하였으며 640년에 의산국을 정벌하였다.
또한, 평시 지휘는 총리가 행한다.


=== 중세 ===
'''평사국군은 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으로 구성된다.(명목상) '''
==== 전국시대 ====
이 시기는 태평국과 핀본 섬의 여러국가가 난립하던 시기이다. 핀본 섬의 국가들은 소국이었으므로 태평국이 쉽게 정벌할 수 있었다. 645년에는 영수국을, 654년에는 진국을, 659년에는 양국을[* 진국과 양국은 동군연합으로 같은 국가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진양국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벌하였다. 661년에는 성왕이 승하하면서 [[무덕왕 (태평도사화국)|무덕왕]]이 즉위하였고 672년에는 일산국을 정벌하였다.[* 진국을 정벌하는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는데 당시 진국은 초국, 일산국 등의 국가에서 지원했는데 소국연맹체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유증으로 일산국이 쉽게 망했다고 볼 수 있다.] 678년에는 영산국과 전쟁을 하였는데 규모가 큰 소국연맹체였기에 쉽게 점령하기는 어려웠다. [* 영산국은 진국과 같은 연맹이었으나 연맹이 태평국과의 전쟁을 하자 그 틈을 타 주변국가를 세력권에 편입하였다. 이 때 일산국을 공격하기도 했으나 태평국이 침공했다는 소식에 철군하였다.] 4차례에 걸친 전쟁[* 1차 678년 ~ 679년][* 2차 679년 ~ 680년][* 3차 681년][* 4차 683년 ~ 685년] 끝에 영산국이 멸망하였다.[* 2차 전쟁 이후 영산국이 중앙집권화를 추진하자 일부 국가들은 자립을 선택하였고 지원을 중단하였다.][* 영산국 멸망 후 연맹은 여송국이 주도하다가 멸망하면서 웅천국이 주도하게 된다.] 709년 여송국이 세력이 강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여러국가를 통합하게 하였다. 이 때 여송국은 통합에 실패하였고 웅천국은 통합하였으나 불완전했기에 여송국은 719년 태평국에 의해 멸망하였고 웅천국은 725년 내분으로 멸망하였다.[* 여송국이 주도했던 통합방식보다는 영산국이 주도했던 통합방식이 더 효과적이었으나 영산국은 반발을 억제하지 못해서 멸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711년, [[경무왕 (태평도사화국)|경무왕]]이 즉위하면서 국호를 태평도사화국으로 변경하고 진양 군[* 현재의 진주 시 일부와 양주 시 일부]으로 천도하였으며 군호를 군주에서 대군주로 높혀 자신을 주변국을 세력권에 두었다.[* 이후 핀시 열도를 통합하고 군호를 군주로 격하하였다.] 이후 웅천국이 망한틈을 노려 주변국가들을 멸망시켰다.


==== 태평도사화국시대 ====
'''왕립 평사국군은 아래와 같다.'''
태평도사화국이 핀시 열도를 통일한 시점부터 평사국이 건국도기 이전을 태평도사화국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는 북부지방을 제외한 핀시 열도의 대부분을 영토로 두었으며 주변국과의 교역도 증가하여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한편 북부지방에는 왜구가 침략을 일삼다못해 땅을 점령하여 부족사회를 구성하였다. 739년에는 왜구가 서해안을 침략하자 격퇴하였으며 744년에는 교역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무왕은 이를 거절하고 대규모 토벌을 시도하였고 763년 왜구를 토벌하고 핀시 열도를 통일하였다. 770년에는 경무왕이 승하하고 [[경문왕 (태평도사화국)|경문왕]]이 즉위하였는데 이 시대에 해양술이 발달하면서 중국과의 교류 확대, 한반도 국가와의 교류, 동남아 국가와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태평국사에는"태평성대를 이룩하여 주변국에서 감히 넘보지못하였으며 귀화하는 사람들의 수도 증가하였다".라고 기록되어있다. 그러나 886년 애명여왕이 즉위하면서 상황은 악화된다. 이전에도 몰락할 조짐이 보이기는 했으나 크게 위험할 정도는 아니었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었다. 하지만 [[덕명왕 (태평도사화국)|덕명왕]]이 승하하자 애명여왕이 대처를 못하면서 갑자기 몰락해버렸다. 애명여왕 원년(886년) 강 무(姜武)가 반란을 일으켜 북부를 장악하였고 풍 산메이(風山明)가 삼산국을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887년에는 장 류세이(張流星)가 중산국을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팽창하는 과정에서 후중산국과 후삼산국이 충돌하였으며 전쟁끝에 멸망하였다. 태평도사화국은 한숨돌리게 되었지만 890년에 강 무가 대화국을 건국하였고 남하하였다. 891년에는 진 김수(陳錦秀)가 비사국을 건국하였다. 삼국시대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 삼국시대 ====
왕립 기갑척탄병 연대
895년 태평도사화국은 비사국에 의해 진양 성이 함락되어 성도로 환도하였다. 비사국과 대화국이 전쟁하는 상황에서 숨을 돌릴 수 있게 되었지만 후유증으로 애명여왕이 승하하였고 5촌 조카인 [[애장왕 (태평도사화국)|사이 문익]](崔文翼)이 즉위하였다. 899년에 상장군 신 진양(申眞洋)의 부장이었던 [[태조 (평사국)|세 강우]](世慶祐)가 애장왕에게 건의하여 신 진양의 지위하에 중량 섬(中良島, 현재의 중 섬)에 위치한 양해진 성(良海津城)을 점령하였고 920년에는 중량 섬 전역을 점령하였다. 태평도사화국과 비사국이 다시 충돌하게 되었다. 태평도사화국은 진양을 수복하여 재천도하였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922년 신 진양이 대장군에 밈명됨에 따라 세 강우는 상장군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세 강우가 비사국으로 출병하였는데 비사국을 공격하지 않고 회군하였기에 "비사국을 도와 대화국을 공략해야한다."라고 하니 애장왕이 승인하였다. 923년 애장왕이 승하하자 세 강우가 군사를 이용하여 전권을 획득한 뒤.[* 신 진양은 대화국으로 출병하였기에 세 강우의 반정을 막을 수는 없었다.] [[공민왕 (태평도사화국)|공민왕]]을 옹립하여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하였다. 928년 세 강우는 공민왕이 비사국에 직접 사절단을 이끌고 간 틈을 이용해 신 진양을 하옥하였고 공민왕은 돌아오자마자 태자에게 앙위하니 그가 바로 태평도사화국 마지막왕 공선왕이었다. 하지만 군권을 제외한 권력은 공민왕이 행사하였으므로 공선왕은 허수아비에 불과했던 것이다. 932년 공민왕이 승하하고 공선왕이 권력을 승계받았다. 공선왕은 첫 공무로 신 진양을 대화국으로 출병시켰으나[* 일부 군권은 세 강우의 승인하에 행사할 수 있었다.]  신 진양은 대화국에 투항하였으며 933년에 군대를 이끌고 비사국을 위협하여 태평도사화국을 공격하였다. [* 이 때 한 발언으로 신 삼국사에 "검으로 시작된 권력 검으로 되찾겠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그러나 패전하여 포로로 잡히게 된다. 민심은 세 강우를 향했고 934년 공선왕은 "민심이 원하는대로 할 것이다." 라며 세 강우에게 선양하였다. 935년에는
왕립 해병여단
평사국으로 국호를 변경하여 새왕조를 창업하기에 이른다. 같은 해 비사국왕 진 하이룡(陳解龍)이 항복하였으며 937년에 강 무가 항복함으로써 대화국이 멸망하여 삼국을 통일하였다.
왕립 기갑연대
왕립 공수여단


==== 지리 ====
제 21 ’최정석' 보병여단
제 101 ‘세씨’  자동차화 보병여단
제 154 ‘귀족원’ 기계화 보병여단
제 23 ‘류세훈’ 보병여단
제 206 ‘시민원’ 혼성 기계화 보병여단
제 45 ‘세청아'기갑연대
제 47 ‘세연영’기갑연대


==== 교통 ====
'''난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평사국/교통]]


==== 군사 ====
공작 해병연대(제 3 해병연대)
[[평사국/군사]]
공작 보병여단(제 22 ‘오셀롯’ 보병여단)


평사국의 군대는 군주가 명목적인 총사령관을 맡으며, 실질적인 사령권은 재상과 총참모장에게 있다.
'''성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평사국군은 국가군(國家軍)으로 불리며, 육군 130,000여명, 해군 20,000여명과 공군 10,000여명으로 편성된다.
공작 강하엽병연대(제 8 공수연대)
육군은 삼군을 구성하는 최대요소이자 예산편성시 최고 비율이 할당되는 군이다.
공작 기갑연대(제 49 ‘더베리몬드 3세’ 기갑연대)
해군은 섬나라의 특성 상 육군 다음가는 예산 편성을 받으며, 세계 20위권 안에 들기를 유지한다.
공군은 총 200여기의 고정익/회전익기를 보유한다.


===== 훈장 =====
==== 훈장 ====
[[평사국/훈장]]
[[평사국/훈장]]


=== 문화 ===
== 문화 ==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 스포츠 ====
=== 스포츠 ===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 문학 ====
평사국의 주요한 스포츠로는 [[축구]], [[야구]],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농구]] 등이 있으며 각각의 대표적인 리그는 아래와 같다.


==== 교육 ====
=== 문학 ===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 종교 ====
=== 교육 ===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 예술 ===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 음악 ====
평사국의 민요 [[찢어진 종이]]
 
우리가 그 종이를 찢었을때
우리 모두가 우리 편이라고 생각했었어,
하지만 우리는 모든 걸 망쳐버렸지.
이제 그들은 우리를 거들떠보지도 않아.
그저 그 종이를 찢었던 것 때문에.
 
그들이 분수를 가르쳐주러 오자,
우리는 광대가 되었지.
그리고 어떤 자들도 자기 종이를 찢은 바보와 춤추려 하지 않아.
 
징징대지도, 욕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건 알지만,
가슴이 더 아려오는 걸.
왜냐면 누구와도 함께할 수 없는 건 전혀 즐겁지 않거든.
햇빛에 입은 화상이나 백반에 들어간 모래보다도.
 
이제 우린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지.
그러니 들어봐, 절대 후회하진 않을 테니까.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지고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면,
누구처럼 종이를 찢은 바보가 되진 않을거야~
 
=== 종교 ===
[[평사국/종교]] 참고
 
평사국의 5대 종교로는
 
* [[불교]]
* [[천주교]]
* [[개신교]]
* [[이슬람교]]
* [[사교]] : 민족 종교이다.
 
평사국의 무교/종교인 비율은 1/2이며, 국민 전체의 1/2이 무교이다.
 
규모로는 개신교와 가톨릭이 서로 비슷비슷한(개신교가 조금 우위이다) 상황을 유지하며, 개신교도는 170만명, 가톨릭은 210만 정도.
 
그러나 성공회-보편교회의 일치에 따라서 원래의 210만명, 170만명에서 상당수의 성공회 신자가 보편교회에 편입되었다.
 
불교는 중국과의 교류로 전해져서, 대체로 270만명 정도의(각 분파 합쳐서) 규모를 자랑하며, 평사국 내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 하나이다.
 
사교는 민족 토종 종교로, 기본적으로는 [[세씨 왕가의 탄생전설]]에 나오는 5명의 신을 섬기며, 평화와 통합을 교리로 삼는 종교이다. 신도는 현대 들어서 많이 줄었지만, 그래도 120만명 정도를 유지하는 중이다.
 
[[사교]]의 일종의 예배당은 규모에 따라서 이름이 나뉜다.
 
[[화한당]], 2개의 광역행정구역을 관장할 규모를 가지는 곳이다, 또한 국내에는 총 3개의 화한당이 있다.
[[서화당]], 대체로 시 급 이상에서 총관장을 맡는 곳이다.
[[순사당]], 대체로 시급 이하에서 총관장을 맡는곳이다.
 
참고로 사교는 종교 지도자도 최고 신도라고만 정의한다.
 
[[사교]]의 종교 지도자는 아래와 같은 명칭을 가진다.
 
사조(최고 지도자)- 성도 화한당의 최고 신도
평조- 성산 화한당의 최고 신도
산조- 광주 화한당의 최고 신도
 
 
이슬람교는 현대 들어와서 정착했으며, 숫자는 별로 많지 않다.
 
기타 종교들은 합쳐서 대강 80~ 90만의 신도들을 유지하며, 이중에는 유교, 힌두교 등이 있다.


== 기타 ==
== 기타 ==
{{커먼웰스}}


== 각주 ==
== 각주 ==

2019년 11월 30일 (토) 19:12 기준 최신판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crimson gray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국역연구회의 공식 문서입니다.}}}[br][br]국역연구회 위원 이외의 편집을 금지합니다.
    1. 틀 크기 변경시마다 국왕 문단 이동바람
평사국
平私國
Pingsa
Timmy Pinsi Flag.png
국기
Pinsi Emblem.png
국장
국호평사국
平私國
상징국가국왕이여, 저희를 지키시옵소서
국화벚꽃
국조참새
표어세평광휘(세계에 평화의 빛이 있기를)
자연환경면적(영토)면적 km²
인문환경인구30,280,004명
인구밀도인구밀도 km2
공용 언어평사어
정치국체입헌군주제
정부형태총리책임제, 양원제
국왕세청아
총리Morth
수상공석
경제GDP$1조 2억
1인당 GDP$36,789
GDP(PPP)$1조 2억
1인당 GDP(PPP)$36,789
공식 화폐평사 파운드
단위미터법
태평 군도
Timmy Pinsi in Asia map.png
수도
수도 성도 성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 +00

개요

가상섬 타핀 군도에 기반한 설정국가이다. 군주가 다스리는 입헌군주제 국가로서, 왕가는 세씨 왕가 이며, 현 군주는 제 23대 가주인 세청아이다. 1945년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였고, 1948년 초대 총선에 이어 첫 내각이 구성되었으며 안종 성조가 아닌 안종으로 추숭하였다.이 즉위하였다.

행정부

평사국/행정부 문서 참조

평사국의 행정부는 8개의 성으로 구성되며, 현재 제 4대 총리대신은 모스이다.

입법부

평사국의 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상원은 정무원이고, 하원은 시민원인데, 하원에서 입법을 행한다.

사법부

행정구역

평사국/행정구역문서 참조

광역행정구역은 1개의 특별성, 2개의 광역성, 13개의 현으로 나뉜다. 주요 도시(지방)을 열거하자면

수도 성도 성 제2도시 난주 성 제3도시 광주 성

국왕

세씨 왕가 현 군주 세청아는 1997년부터 지금까지 군주직을 수행하는 중이며, 평사국의 현 군주이며 군통수권자이다.

군주는 신체불가침권을 보장받는다.

전임
안종
세청아
1997년 11월 5일 ~ 재위중

{{틀:평사국의 국왕}}


대공

아친왕 모스 청친왕 세연영 난주 대공 오셀롯 성산 대공 더베리몬드 3세

경제

평사국/경제 문서 참조

화폐, 환율

II.화폐개혁 현재의 복잡한(5개 이상의 화폐단위)에서, 새 단위인 '아세', '갤런', 그리고 국제화폐인 '운드'로 개혁하고, 환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화폐는

평사 파운드 운드 갤런

1파운드=구 세화 10

1파운드=1유로

1갤런=100파운드

1운드=10갤런

갤런을 설명드리자면

24k의 순금 24g=10 갤런 18k의 금 24g=1 갤런 (X100) 14k의 금 24g=10 그램 8k의 금 24g=1 그램

토지료

평사국의 토지료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최고상한선을 둡니다.

7700 유로/m2, 7700파운드/m2.

각 지방마다 토지료는 다르지만, 최고 7700파운드, 최저 1000파운드를 기본으로 둡니다.

세금

세금은 기본적으로

'100분의 1세’ 입니다.

이는 토지세, 기업세(법인세), 매상세에 적용되며, 모든 평사국 세율의 근간을 이루는 숫자입니다.

간단한 세제를 추구하였습니다.

예를 들어서, 5000 파운드를 자본으로 하는 기업을 1개월간 운영하고 존속시키려면, 50 파운드의 세금이 나갑니다.

1000평의 땅을 구매할때는 7700 파운드의 세금이 나옵니다.

5만 세화의 수입에는 50 파운드의 세금이 나오죠.

관세도 존재합니다!

관세는 5분의1 을 기본으로 하며, 예를 들자면 5만 세화치 상품은 1만 세화의 세금을 내야 하죠.

이쯤입니다!

세제는 추후에 시작할 생각입니다.

역사

평사국/역사 문서 참조

지리

평사국/지리 문서 참조

교통

평사국/교통 문서 참조

군사

평사국/군사

평사국군은 명목상으로 평사국, 난주 공국, 성주 공국의 연합된 군대이며, 각 군의 총사령관은 국왕이 맡는다. 또한, 평시 지휘는 총리가 행한다.

평사국군은 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으로 구성된다.(명목상)

왕립 평사국군은 아래와 같다.

왕립 기갑척탄병 연대 왕립 해병여단 왕립 기갑연대 왕립 공수여단

제 21 ’최정석' 보병여단 제 101 ‘세씨’ 자동차화 보병여단 제 154 ‘귀족원’ 기계화 보병여단 제 23 ‘류세훈’ 보병여단 제 206 ‘시민원’ 혼성 기계화 보병여단 제 45 ‘세청아'기갑연대 제 47 ‘세연영’기갑연대

난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해병연대(제 3 해병연대) 공작 보병여단(제 22 ‘오셀롯’ 보병여단)

성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강하엽병연대(제 8 공수연대) 공작 기갑연대(제 49 ‘더베리몬드 3세’ 기갑연대)

훈장

평사국/훈장

문화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스포츠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평사국의 주요한 스포츠로는 축구, 야구,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농구 등이 있으며 각각의 대표적인 리그는 아래와 같다.

문학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교육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예술

평사국/인문환경 문서 참조

음악

평사국의 민요 찢어진 종이

우리가 그 종이를 찢었을때 우리 모두가 우리 편이라고 생각했었어, 하지만 우리는 모든 걸 망쳐버렸지. 이제 그들은 우리를 거들떠보지도 않아. 그저 그 종이를 찢었던 것 때문에.

그들이 분수를 가르쳐주러 오자, 우리는 광대가 되었지. 그리고 어떤 자들도 자기 종이를 찢은 바보와 춤추려 하지 않아.   징징대지도, 욕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건 알지만, 가슴이 더 아려오는 걸. 왜냐면 누구와도 함께할 수 없는 건 전혀 즐겁지 않거든. 햇빛에 입은 화상이나 백반에 들어간 모래보다도.   이제 우린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지. 그러니 들어봐, 절대 후회하진 않을 테니까.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지고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면, 누구처럼 종이를 찢은 바보가 되진 않을거야~

종교

평사국/종교 참고

평사국의 5대 종교로는

평사국의 무교/종교인 비율은 1/2이며, 국민 전체의 1/2이 무교이다.

규모로는 개신교와 가톨릭이 서로 비슷비슷한(개신교가 조금 우위이다) 상황을 유지하며, 개신교도는 170만명, 가톨릭은 210만 정도.

그러나 성공회-보편교회의 일치에 따라서 원래의 210만명, 170만명에서 상당수의 성공회 신자가 보편교회에 편입되었다.

불교는 중국과의 교류로 전해져서, 대체로 270만명 정도의(각 분파 합쳐서) 규모를 자랑하며, 평사국 내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 하나이다.

사교는 민족 토종 종교로, 기본적으로는 세씨 왕가의 탄생전설에 나오는 5명의 신을 섬기며, 평화와 통합을 교리로 삼는 종교이다. 신도는 현대 들어서 많이 줄었지만, 그래도 120만명 정도를 유지하는 중이다.

사교의 일종의 예배당은 규모에 따라서 이름이 나뉜다.

화한당, 2개의 광역행정구역을 관장할 규모를 가지는 곳이다, 또한 국내에는 총 3개의 화한당이 있다. 서화당, 대체로 시 급 이상에서 총관장을 맡는 곳이다. 순사당, 대체로 시급 이하에서 총관장을 맡는곳이다.

참고로 사교는 종교 지도자도 최고 신도라고만 정의한다.

사교의 종교 지도자는 아래와 같은 명칭을 가진다.

사조(최고 지도자)- 성도 화한당의 최고 신도 평조- 성산 화한당의 최고 신도 산조- 광주 화한당의 최고 신도


이슬람교는 현대 들어와서 정착했으며, 숫자는 별로 많지 않다.

기타 종교들은 합쳐서 대강 80~ 90만의 신도들을 유지하며, 이중에는 유교, 힌두교 등이 있다.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