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limbaa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 ||
||<-3><#972000> {{{#ffffff 휘}}} || 조(鎺) || | ||<-3><#972000> {{{#ffffff 휘}}} || 조(鎺) || |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환조, 모후 [[의혜왕후]] ||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형 [[이벽]] ||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형 [[이벽]] || | ||
||<-3><#972000> {{{#ffffff 배우자}}} || 세자빈 [[현빈심씨]], 정비 [[신의왕후]], 계비 [[신덕왕후]] || | ||<-3><#972000> {{{#ffffff 배우자}}} || 세자빈 [[현빈심씨]], 정비 [[신의왕후]], 계비 [[신덕왕후]]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3><#972000> {{{#ffffff 연호}}} || '''덕흥(德興)''' || | ||<-3><#972000> {{{#ffffff 연호}}} || '''덕흥(德興)''' || | ||
'''조선의 초대 국왕.'''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성문신무정의광덕대왕(聖文神武正義光德大王), 휘는 조(鎺), 연호는 덕흥(德興). | |||
''' | 환조와 [[의혜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나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얼마 안 가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으며, 무려 '''114일'''간 왕위를 기다리다가 2023년 7월 1일 '''73세''' 라는 역사상 가장 고령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명종의 재위 기간 초, 조선은 외세의 압박과 내부의 붕괴로 위태로웠지만 명종은 왕권을 안정시키고 조선을 정비하여 토대를 쌓았다. | ||
[[ | ==[[파일:조선왕조.png|width=30]] '''업적'''== | ||
'''〈 정치 〉''' | |||
・ 사헌부와 승정원 재설치 | |||
・ 과거제 재정비 | |||
・ 한성판윤과 내의원 재설치 | |||
・ 연호 재도입 | |||
・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관직 확대 | |||
'''〈 경제 〉''' | |||
・ 경제와 토지 개혁 | |||
'''〈 문화 〉''' | |||
・ 카츠오브아이언 재오픈 | |||
・ 조선 경기대회 개최 | |||
'''〈 교육 〉''' | |||
・ 성균관 폐지 | |||
・ 홍문관 설치 | |||
・ 세자시강원과 세손강서원 재설치 | |||
==[[파일:현재2.png|width=30]] '''조선 국왕 즉위'''== | ==[[파일:현재2.png|width=30]] '''조선 국왕 즉위'''== | ||
45번째 줄: | 58번째 줄: | ||
1월 5일, 결국 세자빈 [[휘빈이씨]]가 자진해서 폐위를 요청하여 태조는 [[휘빈이씨]]를 세자빈에서 폐위시켰다. 이후 폐빈 이씨라 불리던 그는 폐위된 당일 사저에서 사망하였으며 훗날 자신의 아들인 [[대조선국 성종|성종]]때가 되서야 세자빈으로 복권되었다. 1월 7일 새며느리로 문경 서씨의 [[정안왕후]]가 세자빈으로 책봉된다. | 1월 5일, 결국 세자빈 [[휘빈이씨]]가 자진해서 폐위를 요청하여 태조는 [[휘빈이씨]]를 세자빈에서 폐위시켰다. 이후 폐빈 이씨라 불리던 그는 폐위된 당일 사저에서 사망하였으며 훗날 자신의 아들인 [[대조선국 성종|성종]]때가 되서야 세자빈으로 복권되었다. 1월 7일 새며느리로 문경 서씨의 [[정안왕후]]가 세자빈으로 책봉된다. | ||
1월 13일, 조정의 요청으로 태조는 혜민원을 '''폐지'''하였다. 당시 혜민원은 조선의 의료시스템을 총괄하고 있었는데 여러 문제가 나오자 결국 폐지시켰으며 국가의 의료시스템을 민간 상점들에게 맡기었다. 이건 훗날 조선의 의료시스템과 복지시스템이 더 효율적이고 더 편리하게 바뀌는 원인이 되었다. 다음날 [[휘빈이씨]]의 소생이던 원손 [[대조선국 성종|성종]]을 태조는 여러 시험을 거쳐 조선의 왕세손으로 책봉한다. 실록에 따르면 세손 책봉식 이후 여러 연회가 열렸으며 매우 성대하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1월 16일에는 손자며느리로 한양 토씨의 [[원경왕후]]를 보았다. 1월 22일, 태조는 재위 50일 금경축일을 맞이하였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막 진행되던 시기 2월 1일부터 2월 5일까지 세자 [[대조선국 인종|인종]]에게 대리청정을 맡겼다 | 1월 13일, 조정의 요청으로 태조는 혜민원을 '''폐지'''하였다. 당시 혜민원은 조선의 의료시스템을 총괄하고 있었는데 여러 문제가 나오자 결국 폐지시켰으며 국가의 의료시스템을 민간 상점들에게 맡기었다. 이건 훗날 조선의 의료시스템과 복지시스템이 더 효율적이고 더 편리하게 바뀌는 원인이 되었다. 다음날 [[휘빈이씨]]의 소생이던 원손 [[대조선국 성종|성종]]을 태조는 여러 시험을 거쳐 조선의 왕세손으로 책봉한다. 실록에 따르면 세손 책봉식 이후 여러 연회가 열렸으며 매우 성대하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1월 16일에는 손자며느리로 한양 토씨의 [[원경왕후]]를 보았다. 1월 22일, 태조는 재위 50일 금경축일을 맞이하였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막 진행되던 시기 2월 1일부터 2월 5일까지 세자 [[대조선국 인종|인종]]에게 대리청정을 맡겼다. | ||
2023년 12월 5일 (화) 00:17 판
![]() 조선 국왕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