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선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년가량 방치된 문서이기에 활용합니다. 원작자께서 사용을 유지하길 원하신다면 토론 신청 혹은 카카오톡으로 말씀 부탁드립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틀:대조선국}}
{{틀:대조선국 국왕}}
{{틀:대조선국 왕비}}


과거 조선제국이였던 대조선국(大朝鮮國, {{llang|en|Great Joseon}}, 약칭으로 한국(韓國), 조선(朝鮮))은 동아시아의 중심부에 위치한 국가이다. 수도는 [[한성]]이며, 국기는 朝鮮八卦기(조선팔괘기),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f1400; max-width: 400px; min-width: 400px; float: right"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bf1400; color: #fff" | <big><big>대조선국</big></big><br>大朝鮮國
|-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대조선국_1.png]]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조선왕조.png|width=175]]
|-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fff" | 국기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fff" | 국장
|-
! colspan="2" style="background:#082c87; color: #fff" | 성립 이전
! colspan="2" style="background:#082c87; color: #fff" | 멸망 이후
|-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 #fff; color: #fff" | '''[[대영제국]]'''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대영제국]]'''
|-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국호
| align=left | '''대조선국'''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영토
| align=left | '''한반도 및 부속도서'''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왕조
| align=left | '''[[조선 왕조]]'''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수도
| align=left | '''한성부(漢城府)'''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민족
| align=left | '''조선인'''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언어
| align=left | '''조선어, 한문'''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문자
| align=left | '''한자, 한글'''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국교
| align=left | '''유교(성리학)'''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정치 체제
| align=left | '''전제군주제'''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중앙 정치 제도
| align=left | '''조선 조정'''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국가원수
| align=left | '''조선 국왕'''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국성
| align=left | '''전주 이씨()'''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연호
| align=left | '''후인'''
|-
! colspan="2" style="background:#bf1400; color: #fff" | 통화
| align=left | '''문()'''
|-
|}


대조선국은 1392년 건국이래, 17세기 말부터 급진적으로 서구 문명을 받아들이는 개방 정책으로 부국강병에 주력한 결과 누구보다 빠른 근대화와 발전을 이룩하였다.
[목차]


== 국호 ==
='''1. 개요'''=
정식 국호는 '''대조선국'''(大朝鮮國,Great Joseon)으로, 천자국임을 선포함에 따라 천조만이 가질 수 있었던 외자 국호를 선포하였다. 또한, 한(韓)은 고구려·신라·백제의 삼한을 아울러 이어 받는다는 의미이다. 당시 불렸던 별칭으로는 '''조선'''(朝鮮)'''한국'''(韓國)이다.
'''대조선국(大朝鮮國, Joseon)'''은 [[대영제국]]의 뒤를 이어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지배하고 있는 국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전제군주정 국가이다.


== 기타 ==
[[대영제국]] 말 나라의 급격한 쇠퇴로 국가가 무너지고 있던 시기, 왕위에 오른 '''[[대조선국 태조|태조]]'''는 영국을 멸망시키고, 대조선국이라는 국호를 지어 새 왕국을 출범시킨다. 영국을 승계한 왕조이기에 초기에는 영국을 대부분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다만 성리학의 유입이 영국과 조선의 차이를 크게 결정지었다.
한성은 본래 경기도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을 나타내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현 수도인 개성을 말한다 한성의 한은 크다는 뜻이고 성은 성, 즉 궁궐을 의미하므로 큰 궁궐을 의미한다.


== 행정구역 ==
영국과의 가장 큰 차이는 '''천주교 탄압과 숭유억불.''' 영국 시절엔 성리학을 정치적인 학문 정도로만 봤지 종교로 보진 않았으며, 2020년부터 우세했던 전통적인 영국 성공회가 '''국교(國敎)'''로서 대접받았다. 그러나 건국후 성리학이 유입되며 천주교와 불교에 대한 급격한 탄압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덕흥박해, 후인박해'''이다. 또한  더 세련된 '''중앙 집권화 관료제 국가'''를 완성했다. 이런 강력한 중앙의 힘을 바탕으로 "유교적 이상에 따라 통치되는 이상적 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삼아 건국 1주 만에 나라 곳곳에 유교를 체득시키는 데 거의 성공한다. 그런 유교화가 가장 정점이었던 것은 2023년 9월이다.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충청서도
충청동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한성(도읍지)


==역사==
건국 후 초반 태조, 인종 시기에는 강력한 왕권과 더불어 여러 폐단들과 혼란들을 종식시키고 여러가지 개혁들을 통해 전조의 문제점들을 하나 둘 씩 고쳐나가면서 꾸준히 나라가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평화로운 정세와 강한 왕권으로 인해 별문제 없이 여러 긍정적인 발전들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승승장구했으나 이후 조정의 폐단이 심해져 나라의 분열이 일어나는 등 일부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 그럼에도 별 큰 문제없이 기나긴 평화기 속에서 안정적으로 국가가 운영되어 갔었으나 역설적으로 이 기나긴 평화기 탓에 군사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여러 외세의 간섭을 받았다. 이후 나라를 다시 복구하기 시작했고 명종, 소종, 주상 이역 시기에는 다시금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구석기시대(기원전 90만년~30만년)===
='''2. 왕실'''=
===중석기시대(기원전 30만년~10만년)===
===신석기시대(기원전 10만년~3000년)===


===1차 남북국시대(기원전 3000년~2100년)===
* 자세한 내용은 [[조선 왕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한나라(중국의 한나라 아님)와 한반도 북부, 만주, 연해주의 예맥국으로 이루어진 시대를 말하며 두 국가의 사이는 백성들이 서로 왕래하게 할정도로 사이가 좋았다 그러나 두 국가 모두 내부의 반란으로 인해 몰락하였다
='''3. 중앙정치체제'''=


===이민족통합시대(기원전 2100년~1100년)===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하였다. 중앙 정치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기본 9품에 조와 종이 있어 모두 18품계를 이루었다. 또한 주요 직급자인 당상관과 실무진인 당하관으로 나눈다. 조선의 국정운영제도는 크게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가 있다.


예맥족과 한족(중국의 한족 아님)이 서로 통합되던 시대를 말하며 이때 둘이 통합되어 생겨난 우리민족을 한민족이라 한다 그리고 이 시기에 가람국이 한민족에 의해 세워짐
[[분류:대조선국]]
 
===2차 남북국시대(기원전 1100년~기원후 5년)===
 
이 시기에 여진족이 세운 요나라가 한반도 북부와 송화강 유역을 점유하였으나 기원후 5년 요나라의 영토가 점점 줄어들며 남은 現평안북도, 함경남도 북부, 함경북도 지역이 가람국에 편입되었으며 이 영토가 현재의 한반도 지역이다
 
===대마도 정벌(기원후 18년)===
 
평화의 시기는 오래가지 않았고 대마도 지역에 살던 왜구들이 지속적으로 영남 지역을 침범하는 일이 발생하였고 가람국의 군대가 대마도를 정벌하였으며 이 이후로 1900년간 우리의 영토가 되었다
 
===가람시대(기원후 5년~659년)===
 
이 시대에는 너무나도 평화로웠다 그러나 659년 반란세력이 가람국을 멸망시키고 참도국을 세운다
그리고 391년 대조선국 최초의 언어가 탄생한다 지금은 양차대전 당시 유실되었지만 가람사기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임금께서 우리 민족 최초의 언어를 만드시었는데 그 책의 이름이 가람어학서라 하더라 라고 기록되있다
 
===참도국시대(659년~1237년)===
 
이 시기에는 여기저기서 사건사고 소식들이 조정의 귀에 들어가던 시기이다 이 때 대조선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주중 하나인 이로왕이 모든 사건사고들을 슬기롭게 해결하였다 그리고 이때 대조선국 역사상 최초의 행정구역인 5도 13부체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1237년 개혁파와 온건파간에 갈등이 발생하였고 결국 개혁파가 승리하여 참도국 조정과 온건파를 몰아내고 1237년 9월 고려를 세운다
이때 홍건족의 침입이 잦아 전쟁도 치렀는데 이 전쟁을 홍건적소탕전쟁이라 한다
 
===고려시대(1237년~1690년)===
 
고려 전기(1237년~1460년)
이 시기에는 궁녀들의 대식사건이 많이 벌어졌다 그러나 1643년을 기점으로 점차 줄었다
그리고 고려 전기 1392년을 대조선국의 설립년도로 본다
 
고려 중기(1460년~1530년)
이 시기부터 고려는 엄청난 소용돌이에 휘말리는데 중국대륙의 76여 국가가 치고받고 싸우기 시작하였고 그 여파가 고려에까지 미친것이다 그 소용돌이의 영향으로 고려는 엄청난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1555년 현재의 충청서도 면천군인 초포군에 화통도감이 설치된다
 
고려 후기(1530년~1690년)
이때 궁궐에서는 내부적으로 혼란이 일어났는데 바로 훗날 대조선국을 세울 이청진세력과 보수세력인 김일성세력과의 분쟁이었다 결국 이청진세력이 승리하였고 1690년 대조선국이 세워진다
 
===대조선국 시대(1690~현재)===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를 이룩했다 그리고 1882년 국기가 제정되고 새로운 행정구역이자 현재 대조선국의 14도의 전신인 9도체제가 탄생했다
마침내 가람어학서를 기반으로 1882년 조선어큰사전이 만들어진다
 
제1차세계대전(1914년~1918년)
세계각지에서 전쟁이 터지고 있을때 대조선국은 연합국 측에 섰고 전쟁이 끝난 1918년 대마도를 다시 일본측에 반환하였다
 
전간기(1918~1937년)
이 시기부터 대조선국은 정식적으로 성립되었고 승전국이기도 하였기에 강대국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국제연맹에 가입한다
 
제2차세계대전(1937~1945년)
이때도 대조선국은 일본과 함께 연합국측에 섰고 또 한번 승전국이 되었다 그리고 국제연합 상임이사국이 된다
 
냉전시대(1945년~1991년)
이 시기에는 조일관계가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 그리고 1966년 중국이 통일되었고 대조선국과 일본이 같이 소련과 중국등의 공산권 국가들을 견제하였다
 
현대(1991~현재)
냉전이 끝나고 중국과 소련은 분열했고 여러 독립국들이 생겼다 그리고 대조선국과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을 포함하여 G10이 생겼다 그리고 대조선국의 현재 행정구역인 14도체제가 생겼다
 
==정치==
정치체제는 직접민주주의 전제군주제이다.
군주제 외에도 다당제와 의원내각제를 채택했다
|| 원내구성 ||
|| 조선자유국민민주당:85석
 
조선사회노동공산당:91석
 
조선국가사회당:109석
 
조선인터네셔널당:56석
 
조선서북청년당:27석
 
조선노농당:28석
 
조선민주공화당:11석
 
조선민생당:113석
 
조선신정당:32석
 
조선공명당:12석
 
조선공청당:8석 ||
|| 총합계:572석 ||
 
==경제==
세계 4위의 강대국답게 경제력 또한 만만치 않다.
총 GDP는 7조 8614억 1891만$다
경제체제는 시장경제체제, 그리고 자본주의를 채택했다.
경제력이 강하면 군사력도 강해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군사력도 만만치 않은데
자세한건 [[대조선국/군사]] 문서 참고
 
==교육==
[[대조선국/교육]]

2024년 10월 17일 (목) 23:27 판

조선왕조.png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영종
제3대
단종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덕왕후
태조비
왕후 심씨
이유비
왕후 민씨
이지비
왕후 목씨
대조선국
大朝鮮國
대조선국 1.png 조선왕조.png
국기 국장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대영제국 대영제국
국호 대조선국
영토 한반도 및 부속도서
왕조 조선 왕조
수도 한성부(漢城府)
민족 조선인
언어 조선어, 한문
문자 한자, 한글
국교 유교(성리학)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중앙 정치 제도 조선 조정
국가원수 조선 국왕
국성 전주 이씨(李)
연호 후인
통화 문(文)

1. 개요

대조선국(大朝鮮國, Joseon)대영제국의 뒤를 이어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지배하고 있는 국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전제군주정 국가이다.

대영제국 말 나라의 급격한 쇠퇴로 국가가 무너지고 있던 시기, 왕위에 오른 태조는 영국을 멸망시키고, 대조선국이라는 국호를 지어 새 왕국을 출범시킨다. 영국을 승계한 왕조이기에 초기에는 영국을 대부분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다만 성리학의 유입이 영국과 조선의 차이를 크게 결정지었다.

영국과의 가장 큰 차이는 천주교 탄압과 숭유억불. 영국 시절엔 성리학을 정치적인 학문 정도로만 봤지 종교로 보진 않았으며, 2020년부터 우세했던 전통적인 영국 성공회가 국교(國敎)로서 대접받았다. 그러나 건국후 성리학이 유입되며 천주교와 불교에 대한 급격한 탄압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덕흥박해, 후인박해이다. 또한 더 세련된 중앙 집권화 관료제 국가를 완성했다. 이런 강력한 중앙의 힘을 바탕으로 "유교적 이상에 따라 통치되는 이상적 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삼아 건국 1주 만에 나라 곳곳에 유교를 체득시키는 데 거의 성공한다. 그런 유교화가 가장 정점이었던 것은 2023년 9월이다.

건국 후 초반 태조, 인종 시기에는 강력한 왕권과 더불어 여러 폐단들과 혼란들을 종식시키고 여러가지 개혁들을 통해 전조의 문제점들을 하나 둘 씩 고쳐나가면서 꾸준히 나라가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평화로운 정세와 강한 왕권으로 인해 별문제 없이 여러 긍정적인 발전들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승승장구했으나 이후 조정의 폐단이 심해져 나라의 분열이 일어나는 등 일부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 그럼에도 별 큰 문제없이 기나긴 평화기 속에서 안정적으로 국가가 운영되어 갔었으나 역설적으로 이 기나긴 평화기 탓에 군사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여러 외세의 간섭을 받았다. 이후 나라를 다시 복구하기 시작했고 명종, 소종, 주상 이역 시기에는 다시금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2. 왕실

3. 중앙정치체제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하였다. 중앙 정치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기본 9품에 조와 종이 있어 모두 18품계를 이루었다. 또한 주요 직급자인 당상관과 실무진인 당하관으로 나눈다. 조선의 국정운영제도는 크게 6조 직계제의정부 서사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