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개요== 스탈린주의와 더불어 소련이 점차 사회주의에서 멀어지자 서유럽에서 일어난, 상부 구조의 역할을 중시하는 경향. 경제 상황...)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공산주의}} | |||
[목차] | |||
==개요== | ==개요== | ||
[[스탈린주의]]와 더불어 소련이 점차 사회주의에서 멀어지자 서유럽에서 일어난, 상부 구조의 역할을 중시하는 경향. 경제 상황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대중이 사회주의가 아닌 파시즘을 선택하자 그 원인이 상부 구조에 있다고 여긴 학자들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 [[스탈린주의]]와 더불어 소련이 점차 사회주의에서 멀어지자 서유럽에서 일어난, 상부 구조의 역할을 중시하는 경향. 경제 상황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대중이 사회주의가 아닌 파시즘을 선택하자 그 원인이 상부 구조에 있다고 여긴 학자들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
2024년 4월 20일 (토) 20:11 판
개요
스탈린주의와 더불어 소련이 점차 사회주의에서 멀어지자 서유럽에서 일어난, 상부 구조의 역할을 중시하는 경향. 경제 상황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대중이 사회주의가 아닌 파시즘을 선택하자 그 원인이 상부 구조에 있다고 여긴 학자들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