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 |
편집 요약 없음 |
||
202번째 줄: | 202번째 줄: | ||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N.Korea', 'DPRK' 등으로 'Korea'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표기를 붙이는 것이 국제적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국가코드도 남한의 '''KOR'''과 다르게 '''PRK'''로 표기한다. 국제사회에서 남한이나 한반도 전체가 아니라 북한을 단독으로 'Korea'로 칭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외 무역에 있어서도 'Korea'라는 이름은 남한이 선점하여 남한산 제품에는 '[[Made in Korea]]'가 붙으며 대신 북한 제품에는 'Made in DPR Korea'가 붙는다.[* [[메이드 인 코리아]] 문서 참고. 2015년에 메이드 인 코리아를 북한이 주장했다는 보도는 원 보도를 확인하면 알겠지만 그 보도에서부터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언급되며 보도된 것이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 체제 경쟁에서 패배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수 개월 뒤 다시 'Made in DPR Korea'를 '자랑'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현재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때문에 '메이드 인 코리아'는 '남조선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간주되어 아예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언어와 문자의 국제 표기 또한 대한민국 국호를 중심으로 '''한국어/한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북한을 중심으로 조선어/조선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굉장히 드물게 한국어/조선어를 병기하는 경우가 있긴 하나 국제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공적인 영역에서 채택되는 표기 양식은 한국어, 한글이 유일하다. 또한 한국어(Korean) 표기 옆에는 무조건 태극기가 첨부되며 북한의 인공기가 첨부되는 경우는 전무하다. 되려 조선어, 조선글 등의 표기는 의도적으로 한국을 비하하는 어투로 쓰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N.Korea', 'DPRK' 등으로 'Korea'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표기를 붙이는 것이 국제적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국가코드도 남한의 '''KOR'''과 다르게 '''PRK'''로 표기한다. 국제사회에서 남한이나 한반도 전체가 아니라 북한을 단독으로 'Korea'로 칭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외 무역에 있어서도 'Korea'라는 이름은 남한이 선점하여 남한산 제품에는 '[[Made in Korea]]'가 붙으며 대신 북한 제품에는 'Made in DPR Korea'가 붙는다.[* [[메이드 인 코리아]] 문서 참고. 2015년에 메이드 인 코리아를 북한이 주장했다는 보도는 원 보도를 확인하면 알겠지만 그 보도에서부터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언급되며 보도된 것이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 체제 경쟁에서 패배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수 개월 뒤 다시 'Made in DPR Korea'를 '자랑'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현재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때문에 '메이드 인 코리아'는 '남조선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간주되어 아예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언어와 문자의 국제 표기 또한 대한민국 국호를 중심으로 '''한국어/한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북한을 중심으로 조선어/조선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굉장히 드물게 한국어/조선어를 병기하는 경우가 있긴 하나 국제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공적인 영역에서 채택되는 표기 양식은 한국어, 한글이 유일하다. 또한 한국어(Korean) 표기 옆에는 무조건 태극기가 첨부되며 북한의 인공기가 첨부되는 경우는 전무하다. 되려 조선어, 조선글 등의 표기는 의도적으로 한국을 비하하는 어투로 쓰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 ||
== 로카서버를 주제로 한 위키스 == | |||
[[로카서버 한국철도공사]](KORAIL) | |||
[[로카서버 기술사 등급]] |
2024년 6월 29일 (토) 16:42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
大韓民國 | Republic of Korea | ||||||||||||||||||||||||||
---|---|---|---|---|---|---|---|---|---|---|---|---|---|---|---|---|---|---|---|---|---|---|---|---|---|---|
국기 | 국장 | |||||||||||||||||||||||||
홍익인간 弘益人間 | ||||||||||||||||||||||||||
상징 | ||||||||||||||||||||||||||
국가 | 애국가[1] | |||||||||||||||||||||||||
국화 | 무궁화[2]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r, .한국 | ||||||||||||||||||||||||||
국가 코드 | ||||||||||||||||||||||||||
410, KOR, KR | ||||||||||||||||||||||||||
국제 전화 코드 | ||||||||||||||||||||||||||
+82 | ||||||||||||||||||||||||||
카카오톡 | ||||||||||||||||||||||||||
카카오톡 | 로카서버 국조실 | |||||||||||||||||||||||||
개요
대한민국(大韓民國)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영토로 하는 공화국으로, 약칭은 한국(韓國), 또는 대한(大韓)이다. 1950년 1월 16일 제정된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에 관한 건」에서 "우리나라의 정식국호는 「대한민국」이나 사용의 편의상 「대한」 또는 「한국」이란 약칭을 쓸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국무원이 폐지된 지 오랜 시간에 지났지만 이 고시는 현재에도 유효하다. 공식 석상에서는 대한민국, 실생활에서는 '대한'보다는 한국이 더 많이 쓰인다. '대한'은 협회, 기관 등 법정 조직의 명칭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수도는 서울특별시이며, 헌법상 영토 면적은 223,663.4km²에 달하나, 남북으로 분단된 후 실효 지배 중인 면적은 100,449.4km²이다. 실효 지배 중이지 않은 나머지 지역은 북한이 실효 지배 중이다.
상징
국호
{{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국호}}
대한민국 헌법 표제 및 제1조에 따라 공식 국호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이며 1950년 1월 16일 제정된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에 관한 건」 "우리나라의 정식국호는 「대한민국」이나 사용의 편의상 「대한」 또는 「한국」이란 약칭을 쓸 수 있되 북한괴뢰정권과의 확연한 구별을 짓기 위하여 「조선」은 사용하지 못한다." 국무원이 폐지된 지 오랜 시간에 지났지만 이 고시는 현재에도 유효하다.에 따라 약칭은 대한(大韓) 및 한국(韓國)으로 정해져 있다.
공식 영문국호는 Republic of Korea이다. 영문 약칭 및 통칭으로는 Korea, 국가코드로는 KR, KOR 도로교통에 대한 빈 국제협약에 따른 국제구분기호는 ROK, 우연하게도 KOR를 반대로 쓴 표기이다.이 사용된다. 이는 남한이 'Korea'라는 이름을 북한을 제치고 선점한 효과이기도 한데, 대외적으로는 북한과의 구분을 위하여 'Republic of Korea'와 'South Korea'를 병용하고 국가별 리스트를 일람할 때는 편의상 K를 앞으로 따 와서 'Korea, Republic of', 'Korea, South' 또는 약칭인 'S.Korea'로 적지만 'Korea'라는 국호 자체가 남한을 칭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한국은행의 영문 표기는 'Bank of Korea'이며 국제적으로도 'Korea'는 남한으로 우선 인식된다.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N.Korea', 'DPRK' 등으로 'Korea'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표기를 붙이는 것이 국제적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국가코드도 남한의 KOR과 다르게 PRK로 표기한다. 국제사회에서 남한이나 한반도 전체가 아니라 북한을 단독으로 'Korea'로 칭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외 무역에 있어서도 'Korea'라는 이름은 남한이 선점하여 남한산 제품에는 'Made in Korea'가 붙으며 대신 북한 제품에는 'Made in DPR Korea'가 붙는다. 메이드 인 코리아 문서 참고. 2015년에 메이드 인 코리아를 북한이 주장했다는 보도는 원 보도를 확인하면 알겠지만 그 보도에서부터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언급되며 보도된 것이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 체제 경쟁에서 패배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수 개월 뒤 다시 'Made in DPR Korea'를 '자랑'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현재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때문에 '메이드 인 코리아'는 '남조선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간주되어 아예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언어와 문자의 국제 표기 또한 대한민국 국호를 중심으로 한국어/한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북한을 중심으로 조선어/조선글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굉장히 드물게 한국어/조선어를 병기하는 경우가 있긴 하나 국제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공적인 영역에서 채택되는 표기 양식은 한국어, 한글이 유일하다. 또한 한국어(Korean) 표기 옆에는 무조건 태극기가 첨부되며 북한의 인공기가 첨부되는 경우는 전무하다. 되려 조선어, 조선글 등의 표기는 의도적으로 한국을 비하하는 어투로 쓰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로카서버를 주제로 한 위키스
로카서버 한국철도공사(KORAIL) 로카서버 기술사 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