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조직 구성)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남민국 국가감사원]] | *[[남민국 국가감사원]] | ||
*[[남민국 국가비서원]] | *[[남민국 국가비서원]] | ||
*[[남민국 | *[[남민국 헌법수호국]] | ||
*[[남민국 국가통신국]] | *[[남민국 국가통신국]] | ||
*[[남민국 국가헌병국]] | *[[남민국 국가헌병국]] |
2021년 3월 20일 (토) 02:30 판
![]() |
본 문서는 남민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수정 및 추가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오타 또는 수정 요청은 직접 하지 마시고 관계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남민국 총통부 南民國總統府 | |
설립일 | 1945년 8월 15일 임시 천경 대총통부 1947년 8월 24일 |
전신 | 서해남총독부 |
소재지 | 천경직할시 |
총통 | 양민혜 |
부총통 | 장명환 |
개요
남민국 총통부(중국어: 南民國總統部)는 남민국 천경직할시에 위치한 총통의 관저이다.
역사
남방태양궁이 헐리기 전에 촬영된 사진 |
현재 총통부가 위치한 자리에는 과거 대남제국의 정전(正殿)이였던 남방태양궁(南方太陽宮)이 위치해있었다. 현재는 일본에 의해 헐려서 존재하지 않지만 당시 남방태양궁을 두 눈으로 확인한 몇몇 사람들이 기록해둔 문헌에 따르면 대한제국의 석조전과 그 형태가 매우 흡사하나 웅장함과 편리함은 그 어느 동양의 궁전과도 비교가 불가능하다.라고 묘사할 만큼 당대 서해남, 혹은 당대 아시아 궁전 중 가장 거대하고 아름답고 편리한 궁전이였다. 당시 사람들의 기록에 따르면 남방태양궁의 지붕 앞에는 24개의 햇살이 있는 태양이 조각되어 있었고 이 태양은 현재 남민국의 국기와 국장 등에 그려진 남민국의 상징, 남방태양의 유래가 되었다. 내부는 가지각색의 푸른색으로 칠해져 있어서 마치 바닷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아름다운 궁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1907년 대남왕국이 일본 치하에 들어오게 되면서 새로운 총독부의 건설을 위해 남방태양궁을 허물고 총독부 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후 일본이 패망하게 되고 총독부가 있던 자리에는 임시 천경 대총통부(중국어: 臨時天京大總統府)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리고 이 임시 천경 대총통부는 1947년 정부 수립 이후 수립된 남민국 총통부에 편입되면서 청사는 총통부가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민주화가 된 1980년대에는 총독부 청사를 이전하고 이전에 철거된 남방태양궁을 복원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실제로 당시 청사 앞에 있던 건물인 소화궁(昭和宮) 쇼와 시대 당시 지어진 궁전으로 쇼와 천황의 별장으로 이용되려고 했었으나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았다.이 철거되기도 했었으나 당시 재정 문제와 여론의 반대로 실제로 복원은 되지 않았다.
조직 구성
남민국 총통부는 수장인 총통을 중심으로 총 2개의 원(院)과 3개의 국(局)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