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개발 전선 구까 개발 전선 | |||||
국가 | ![]() | ||||
국개전 | |||||
더 나은 국가 - 더 나은 삶! | |||||
2023년 6월 10일 (공산당) | |||||
2025년 1월 17일 (국가 개발 전선) | |||||
SGF 자유국 세바스토폴주 세바스토폴시 | |||||
사회주의 | |||||
좌익 ~ 중도 | |||||
에스티 예브게니 | |||||
박찬대 | |||||
에스티 예브게니 | |||||
에스티 예브게니 | |||||
3석 / 3석 (100%) | |||||
4석 / 2석 (50%) | |||||
4석 / 1석 (25%) | |||||
5석 / 1석 (20%) | |||||
8석 / 1석 (13%) | |||||
인터네셔널가 | |||||
적색 | |||||
국제 국가 개발 전선 |
개요
국가 개발 전선은 SGF 자유국과 하노이 제국과 페넌 베르데의 집권 여당이다. 전신은 에스티 예브게니가 2023년 6월 10일 창당한 공산당이다. 2025년 1월 17일 창당한 신설 정당이나,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집권하고, 원내 야당에 도달하는 등 세계적인 영향력이 일부 존재한다.
성향
공식적으로는 사회주의와 국제주의, 권위주의를 당의 공식 이념으로 정해놓았으나, 지역별로 중좌주의 등을 표방하는 등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과거에는 권위주의를 표방하긴 하였으나, 최근에는 어느 정도 민주주의 적인 행보를 보였다. 국가 지도 위원 또한 원래 국가 원수가 임명하였지만, 현잰는 투표로 봅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경쟁당으로는 못괜 등이 있다.
정치 활동
2025년 1월 17일 에스티 예브게니에 의해 창당되었고, 2025년 1월 18일 페넨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이 유일당으로 지정되어 여당이 되었다. 그리고 2025년 1월 21일 페넨베르데 장관 직의 4개 중 2개에 도달하여 과반에 거의 접근하였다. 2025년 1월 26일 아일랜드에서 1명의 장관이 임명되었고, 2025년 1월 27일에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황제에 의해 시스라이타니아 총리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임명되어 시스라이타니아 여당이 되었다. 그리고 2025년 1월 28일 에스티 예브게니가 하노이국 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하노이국의 여당이 되었다. 그리고 이틀 후인 2025년 1월 30일 벨기에의 브뤼셀 제역구에서 당선되어 벨기에의 원내 야당이 되었으며, 2025년 1월 31일 폴란드 - 리투아니아 연방의 키예프 선거구에서 낙선하였으나, 비례대표로 1석이 되어 폴란드 - 리투아니아의 원내 여당이 되었다. 이외에도 많은 국가에서 활동중이며, 아직 그곳에서는 소식이 없거나 총선 또는 대선이 진행중이다.
역사
2023년
- 6.10, 에스티 예브게니에 의해 공산당으로 창당되었다.
2024년
- 7.2, SGF 자유국 제 4대 대통령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당선되었다.
- 11.29, SGF 자유국 제 5대 대통령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당선되었다.
2025년
- 1.15, 코사 공화국에서 반동 혐의로 코사 국가 개발 전선이 해산되었다.
- 1.17, SGF 자유국 제 6대 대통령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당선되었다.
- 1.17, 당명이 국가 개발 전선으로 변경되었다.
- 1.18, 페넨 베르데 인민 공화국 당서기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임명되면서 페넨 베르데 인민 공화국의 여당이 되었다.
- 1.18,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임명되면서 폴애성 연방의 여당이 되었다.
- 1,21, 페넨 베르데 베르데 공화국 외무부와 국방부 장관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임명되었다. 총리로 아이버가 지정되어 여당에서 물러났다.
- 1.26,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임명되었다.
- 1.27,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시스라잍타니아 총리로 애스테 예브게니가 임명되어 시스라이타니아 여당이 되었다.]
- 1.28, 하노이국 초대 대통령으로 에스티 에브게니가 당선되어 하노이국의 여당이 되었다.
- 1.30, 벨기에 합중국의 브뤼셀 선거구의 국회의원으로 에스티 예브게니가 당선되어 벨기에 합중국의 원내 야당이 되었다.
- 1.3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에스티 에브게니가 당선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원내 야당이 되었다.
- 2.5, 탐험트가 하노이 제국의 2대 대통령이 되면서 여당 위치를 유지했다.
- 2.19, 에스티가 페넌 베르데 초대 총리로 당선되면서 페넌 베르데의 여당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