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베크 왕국/정치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 반달을 엄격히 금합니다.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개요

뤼베크 왕국의 정치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정치체제

뤼베크 왕국헌법에 의거하여 국왕이 행정부의 권력 일부를 가지고, 국민회의가 입법부의 권력을 가지고, 총리가 행정부 권력 일부를 가지고 양측을 견제하여 권력을 양분하며, 사법권은 3개의 권력주체 모두가 동등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헌군주제의 정치체제를 가지고 있다.

총리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총리
[ 펼치기 · 접기 ]
초대
광개수
제2대
코코넛
5.16 비상계엄
제이[1]
모의전 체제
권지용
제3대
에리히
임시국왕직속
공석
제4대
에리히
국왕단독
아즈라엘[2]
제5대
연누

• 초대 총리인 광개수는 임기 종료 후 분탕질을 일삼아 여론이 악화되었으며, 이후 5.16 테러의 주동세력인 젤카슈네르 공화국캄보디아 공국 등의 반인류 세력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추방당했다.

• 제2대 총리인 코코넛은 정치인을 가장하고 잠입하여 뤼베크 왕국에 큰 피해를 준 5.16 테러테러범이며, 캄보디아 공국 소속이다. 정황상 캄보디아 공국발 인구를 이용하여 부정선거를 자행, 총리에 당선된 것으로 보인다.

국민회의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국민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내각 (2024.04.08 ~ 2024.05.07)
제1대
캐탈린
제2대
에리히
제3대
에리히
제4대
에리히
제2대 내각 (2024.05.07 ~ 2024.05.16)
제5대
코코넛
5.16 비상계엄 체제 (2024.05.16 ~ 2024.05.22)
국가임시통수권자
제이
모의전 체제 (2024.05.22 ~ 2024.06.10)
최고운영자
제이
부운영자
권지용
임시국왕체제 (2024.06.10~2024.06.19)
내각 공백
공석
제3대 내각 (2024.06.19 ~ 2024.09.02)
제6대
캐탈린
제7대
훈련교관
임시국왕체제 (2024.09.02 ~ 2024.09.10)
내각 공백
공석
제4대 내각 (2024.09.10 ~ 2024.11.23)
제8대
에리히
국왕단독체제 (2024.11.23 ~ 2025.05.12)
내각 기능 정지
공석
국민회의장 대행
게오르크
제5대 내각 (2025.05.12 ~ 현재)
제9대
에리히
제10대
에리히

뤼베크 왕국의 의회인 국민회의는 원내 모든 정당들에 대해 총선을 거쳐 득표수에 비례하여 각 정당에 의석을 배분하는 비례대표제 형태의 의회이다.
• 의회 내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원내 제1당이 되며, 원내 제1당의 당수가 국민회의장이 되어 총리와 함께 부방장의 직책을 부여받게 된다.

볼드체 : 원내 제1당

제1대 내각

2024.04.08 ~ 2024.05.07

뤼베크 왕국 역사상 내각 체제가 가장 많이 변경된 내각이다.
하기下記된 4개의 내각 기간 동안 총리는 사회주의통일당의 광개수로 동일했다.

제1대 제1내각

2024.04.08 ~ 2024.04.12

총리 : 광개수
원내 총 의석 : 100석
사회주의통일당 : 56석
• 군주당 : 35석
무소속 : 9석

제1대 총선 전 창당된 좌파 4개 정당(사회주의통일당, 지역방위노동자연맹, 소비에트 공산당, 뤼베크 노동당)이 연합하여 구성한 사회주의통일당이 과반수인 56석의 의석을 차지하며 원내 제1당이 되었다.
그러나 4월 11일, 사회주의통일당 내 갈등으로 초대 총리 광개수의 뤼베크 지역방위노동자연맹이 사회주의통일당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지역방위노동자연맹은 제1대 총선에서 총 5표를 득표하여 35석의 의석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되면 원내 제1당이 광개수의 지역방위노동자연맹과 에리히의 군주당으로 2개가 되어 버리는 모순이 발생하게 된다.
4.11 내각모순사건으로 명명된 이 사건으로 결국 내각 구성을 위한 재총선이 실시되었고, 이 선거로 제1대 제2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2내각

"최종내각"

2024.04.12 ~ 2024.04.17
총리 : 광개수
원내 총 의석 : 100석
군주당 : 49석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1석
• 사회주의통일당 : 21석
무소속 : 9석

4.11 내각모순사건 이후 구성된 내각이다. 그러나 4월 15일, 행정부 주도로 치러진 2차례의 국민투표를 통해 국민회의의 원내 총 의석 수를 200석으로 확장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4월 16일 또다시 재총선을 진행, 4월 17일부터 총 의석 수가 200석이 된 제1대 제3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3내각

"확장내각"

2024.04.17 ~ 2024.04.27
총리 : 광개수
원내 총 의석 : 200석
군주당 : 76석
• 사회주의통일당 : 53석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8석
• 자유민주당 : 17석
• 제국당 : 12석
• 다인민재당 : 5석
무소속 : 9석

원내 의석 확장 이후 구성된 내각으로, 제1대 제2내각 기간 중 새로 창당된 여러 정당들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각각 12석, 5석의 의석을 확보한 제국당과 다인민재당의 당수들이 갑작스럽게 방을 나가면서 이 정당들이 차지한 의석 17석이 무효화되는 사건(4.24 17석 사건)이 발생하며 또다시 재총선을 실시, 제1대 제4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4내각

"사개些改내각"

2024.04.27 ~ 2024.05.07
총리 : 광개수
원내 총 의석 : 200석
군주당 : 80석
• 사회주의통일당 : 59석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33석
• 자유민주당 : 19석
무소속 : 9석

4.24 17석 사건 이후 재총선을 통해 구성된 내각이다.
내각의 명칭인 "사개내각"은 조금 사些, 고칠 개改를 사용하여 "조금 고쳐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2대 내각

2024.05.07 ~ 2024.05.16

총리 : 코코넛
원내 총 의석 : 300석
포도당 : 129석
• 군주연합당[3] : 75석
• 사회주의통일당 : 56석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0석
•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20석

2024년 5월 7일부로 혼란스러웠던 제1대 내각이 종료되고 제2대 총선을 실시하여 구성된 내각이다.
제1대 제3내각 이후 또다시 원내 총 의석을 100석 확장하여 300석으로 구성되었다.
신생 정당인 포도당이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강세를 유지해 온 캐탈린훈련교관의 사회주의통일당과 에리히의 군주연합당 등을 제치고 많은 표를 득표하여 순식간에 원내 제1당과 총리직을 독차지하자, 이에 대한 의문을 품은 국왕 제이를 주도로 한 행정정부 측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확실한 물증이 잡히지 않아 수포로 돌아갔다.
결국 2024년 5월 16일, 국왕 제이의 예상대로 총리이자 국민회의장이 된 포도당의 코코넛뤼베크 왕국 역사상 최악의 테러로 기록된 5.16 테러를 일으키며 뤼베크 왕국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혔다.
이후 조사 결과 코코넛반인류 가상국가 캄보디아 공국 소속의 인물이었음이 드러났다. 참고로 해당 국가는 몇달 후 뤼베크 왕국인류제국군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뤼베크-캄보디아 전쟁 문서 참조.

5.16 비상계엄 체제

2024.05.16 ~ 2024.05.22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
• 원내 총 의석 : 0석[4]

5.16 테러 직후 국왕 제이비상계엄령을 선포, 내각을 긴급 해산시키고 국가임시통수권자의 지위로 부방장을 모두 해제, 단독 방장이 되어 뤼베크 왕국의 복구를 이끌었다.
이후 테러로 인해 급감한 활동률 복구와 국가 활성화를 위해 모의전이 개최되었다.

뤼베크 왕립 모의전 체제

2024.05.22 ~ 2024.06.10

• 최고운영자 : 제이
• 부운영자 : 권지용

5.16 테러 이후 급감한 활동률과 줄어든 인구, 쇠락해가는 국가를 복구하고 되살리기 위해 국왕 제이의 주도로 개최된 모의전이다.
제2차 세계대전 시즌과 샌드박스 시즌으로 구성된 총 2개의 시즌이 진행되었으며, 부운영자는 당시 뤼베크 왕국에 입국하여 있던 모의전 운영 경력이 있는 몇 안되는 사람들 중 하나였던 권지용이 맡았다.
이후 6월 10일, 국민투표를 통해 모의전 폐회가 결정되며 모의전 체제가 종료되었다.

임시국왕통치체제

2024.06.10 ~ 2024.06.19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
• 원내 총 의석 : 0석[5]

모의전 체제가 종료되고 제3대 내각이 구성되기 전까지의 정치 공백 기간으로, 해당 기간 동안 국왕 제이국가임시통수권자로 국가를 임시 통치했다.

제3대 내각

2024.06.19 ~ 2024.09.02

총리 : 에리히
원내 총 의석 : 300석
사회주의통일당 : 107석
• 군주연합당 : 86석
• 제1제당 : 22석
무소속 : 85석

약 일주일간의 정치공백기 이후 수립된 내각으로, 뤼베크 왕국 역사상 무소속 의석이 2번째로 많은 내각이었다. 이는 5.16 테러 이후 정당과 정치인들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졌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평가되었다.
내각 기간 중 사회주의통일당의 당수이자 제3대 내각 상반기 국민회의장이었던 캐탈린이 정지당한 틈을 타 사회주의통일당 당원인 훈련교관이 국민회의장직을 차지하겠다고 선언하며 국민회의장이 교체되었다.
내각 수립 며칠 후인 2024년 6월 19일, 스페인 제국의 황제이자 뤼베크 왕국의 제3대 총리였던 에리히의 지원 하에 국왕 제이가 뤼베크 공국을 뤼베크 왕국으로 승격시킴을 선언하며 국왕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뤼베크 왕국 선포 문서 참조.
그러나 이후 국왕 제이가 현생 등 여러 문제로 장기간의 잠수를 타게 되면서 얼떨결에 제3대 내각은 무려 2개월 반 동안 지속되었다.

임시 국왕직속통치체제

2024.09.02 ~ 2024.09.10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
• 원내 총 의석 : 0석[6]

긴 잠수상태에서 복귀한 국왕 제이가 무려 2개월 반동안 이어진 제3대 내각을 해산하고 제4대 내각을 구성하는 총선 전 공백기 동안 국가임시통수권자로서 뤼베크 왕국을 약 일주일간 통치한 기간이다.

제4대 내각

2024.09.10 ~ 2024.11.23

총리 : 에리히
원내 총 의석 : 300석
군주연합당 : 96석
• 사회민주당 : 82석
• 뤼베크 중앙당 : 82석
무소속 : 40석

국왕 제이의 잠수기간 동안 사회주의통일당 등 많은 정당이 해체되면서 정치의 판도가 많이 바뀌었다.
이후 제이의 현생이 바빠짐에 더해 제이인류제국군에 입대하고, 컨트리볼계와의 전쟁에 참전하는 등 뤼베크 왕국에 신경쓸 여력이 줄어들자 이 내각 또한 제이가 가접하는 시기인 2024년 11월 23일까지 약 2개월 반이라는 긴 기간동안 이어졌다.

국왕 단독 통치체제

2024.11.23 ~ 2025.5.12

• 국가총괄통수권자 : 제이
• 원내 총 의석 : 0석[7]

제이가 현생으로 인해 반가접한 이후 총리와 국민회의 시스템이 사실상 사라지고 제이뤼베크 왕국을 단독으로 유지했다.
당시 뤼베크 왕국에 있던 유이한 부방장은 인류제국군 제1군단 "다크 엔젤" 제2중대장이자 제이의 상관인 아즈라엘뤼베크 왕국의 왕위 계승 서열 1위이자 페마른 대공인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공이었다. 이후 2025년 5월 2일 국가 재개장 후 5월 12일 제5대 내각이 수립되며 체제가 종료되었다.

제5대 내각

제5대 제1내각

2025.05.12 ~ 2025.05.30

총리 : 연누
원내 총 의석 : 300석
군주연합당 : 86석
• 광명천도당 : 65석
• 뤼베크 자유당 : 22석
무소속 : 127석

2025년 5월 2일 뤼베크 왕국 재개장 이후 동년 5월 12일 시작된 내각 체제이다.
원외정당인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소속 총리와 사상 최다 무소속 의석이라는 특이한 기록을 2개나 보유한 내각이기도 하다.

상기된 사상 최다 무소속 의석이라는 기록 때문에, 제9대 국민회의장 에리히 등을 중심으로 중앙헌법 제12조 5항에 명시된 무소속 총선 참여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후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며 2025년 5월 30일 무소속 의석이 임시로 폐지되고, 각 정당에 분배되며 제5대 제2내각이 수립된다.

제5대 제2내각

2025.05.30 ~ 현재

총리 : 연누
원내 총 의석 : 300석
군주연합당 : 149석
• 광명천도당 : 112석
• 뤼베크 자유당 : 39석

제5대 제1내각에서 무소속 의석이 최다 의석을 차지하자, 기존 비례대표제 중심의 무소속 의석을 임시로 폐지하고 의석을 재배분하여 수립된 내각이다.

둘러보기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각주

  1. 국가임시통수권자
  2. 인류제국군 제1군단 "다크 엔젤" 제2중대장. 국왕 제이의 상관이다.
  3. 에리히의 군주당이 우파 정당 몇개를 흡수, 합당하여 수립된 정당이다. 사실상 군주당과 동일한 정당이다.
  4. 내각 긴급 해산
  5. 내각 공백 기간
  6. 내각 공백 기간
  7. 국민회의 기능 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