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베크 왕국

(뤼베크 자유 한자 왕국에서 넘어옴)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 반달을 엄격히 금합니다.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뤼베크 왕국
Königreich Lübeck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왕국국장.png
국기 국장
영원한 빛 속에서 하나로
Geeint im das Ewige Licht
상징
국화 가막살나무
국조 쌍두독수리
역사
[ 펼치기 · 접기 ]
2024년 4월 2일 뤼베크 공국 건국
2024년 5월 4일 뤼더스도르프 조약 체결
2024년 5월 16일 5.16 테러
2024년 6월 19일 뤼베크 왕국 선포
2024년 7월 23일 7.23 테러
2024년 8월 27일 뤼베크 제2왕국 선포(리방)
2024년 10월 24일 뤼베크-캄보디아 전쟁 승전
2025년 1월~2월 왕립기록원 소실 사건
2025년 2월 13일 제2차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 참전
2025년 3월 2일 코사에어 공격 승리
2025년 3월 25일 중앙헌법 확립
2025년 6월 16일 심판의 칼날 작전 승리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뤼베크
최대도시 뤼베크
면적 5,548.6km²
접경국 독일
인접국 독일, 덴마크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앙자치시(수도) 뤼베크
자치시 하위 7개 자치시
하위 6개 주
자유주 뤼베크 자유주
자치주 페마른 자치주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공용어 독일어
종교 국교 아뎁투스 미니스토룸, 로마 가톨릭
분포 미집계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제
국왕 제이(제이 로렌츠 1세)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 시장경제
화폐 공식 화폐 뤼베크 마르크
ISO 4217 LBM
단위
[ 펼치기 · 접기 ]
시간대 GMT+1 (중부유럽 표준시)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불명
UN 가입일 불명
ccTLD
.lb
국가 코드
LB/LUB
뤼베크왕국국장.png

개요

영원한 빛 속에서 하나로
Geeint im das Ewige Licht

뤼베크 왕국은 2024년 4월 2일 제이가 건국한 카카오톡 가상국가이다.

역사

정치

헌법

2024년 4월 6일 제정, 동년 4월 7일부터 효력을 발휘하였다.
정식 명칭은 뤼베크 자유 한자 왕국 국가중앙헌법이다.
그러나 2025년 초 발생한 왕립기록원 소실 사건으로 헌법 전문이 소실되면서 정확한 내용은 복원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2025년 3월 25일부터 국왕 제이에 의해 위키스 문서에 헌법이 재작성되고 있다.

외교

• 수교국의 경우는 상기上記왕립기록원 소실 사건으로 인해 외교 관련 기록이 삭제되었고, 기록 자체가 현 실정이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본 문단에 기술하지 않는다.

혈맹국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왕국 - 2025년 3월 25일 동맹 관계를 수립하였다. 이후 2025년 6월 14일 스톡홀름 조약을 통해 혈맹 관계를 수립하였다.
동맹 체결 당시 스웨덴 왕국 국왕인 펠리카 1세 브릐젠과 제이 사이의 개인적 친분의 영향으로 제이가 반옾접한 상황임에도 이례적으로 외교관계가 수립되었다.

동맹국

New인류국기.png 인류 제국(비공식) - 2024년 8월경 뤼베크 왕국이 중립 포기 및 친인류 노선 전향을 확정하면서 친인류 국가가 되었다. 현재 국왕 제이인류제국군 소속이며, 제2차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에도 참전하는 등 교류가 많다.

우호국

스페인 제국 국기.png 스페인 제국 - 2024년 9월경 우호 관계를 수립하였다.
스페인 제국의 황제 에리히는 뤼베크 왕국 초기부터 뤼베크 왕국의 정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총리직과 국민회의장직을 여러 번 역임하는 등 교류가 활발했으며, 또한 5.16 테러 이후 스페인 제국의 뤼베크 왕국에 대한 지원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Flag of Serbia (1882–1918).svg.png 세르비아 왕국 - 2025년 5월 31일 세르비아 왕국의 집행관 안드레아스의 요청으로 우호 관계를 수립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 왕국-뤼베크 왕국 우호 조약 문서 참조.

Flag of Omsk Oblast.svg 옴스크 - 인류제국군 소속인 드조프의 가상국가로, 드조프의 요청으로 2025년 6월 30일 우호 관계가 수립되었다.

대외 조약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의 대외 조약
[ 펼치기ㆍ접기 ]

상징

국기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국기는 제2왕국 선포 후인 2024년 9월 13일 제정된 적백오장기(赤白五章旗)로, 이름 그대로 적색과 백색으로 이루어진 배경에 국장으로 사용되는 홀슈타인뤼베크 왕실 문장을 삽입한 국기이다. 해당 국기는 국왕 제이가 직접 디자인ㆍ제작했다.

뤼베크공국국기.png

뤼베크 공국 시기에는 적백 배색에 뤼베크 시의 문장만 들어간 조금 더 단순한 기인 적백흑독기(赤白黑禿旗)를 사용했다. 이름의 흑독(黑禿)은 뤼베크의 문장에 그려진 검은색 쌍두독수리를 의미한다. 이 기 또한 국왕 제이가 직접 디자인ㆍ제작한 기이다.

국장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실인 홀슈타인뤼베크 가문의 휘장을 국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뤼베크 왕국의 5대 주요 도시(중앙 뤼베크, 좌상단 비스마르, 우상단 팀멘도르퍼슈트란트, 좌하단 오이틴, 우하단 하일리겐하펜)의 문장을 활용한 홀슈타인뤼베크 왕가의 왕실 문장으로, 제이가 직접 디자인ㆍ제작하였다. 이전에는 뤼베크 시의 문장에 올리브 가지와 왕관이 더해진 좀 더 단순한 문장(위의 뤼베크 공국 국기에 있는 문장)을 왕실 문장이자 국장으로 사용했었다.

국호

보통 뤼베크 왕국(Königreich Lübeck, Kingdom of Lübeck)으로 불리며, 방 제목도 뤼베크 왕국이다.
그러나 헌법상에 명시된 공식 국호는 "뤼베크 자유 한자 왕국(Freien Hansekönigreichs Lübeck, Free Hanse Kingdom of Hansa Lübeck)"이다.

실제 역사에서 뤼베크는 무역동맹인 한자동맹의 맹주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도시의 실제 공식 명칭 또한 뤼베크 한자시(Hansestadt)이다.
이를 반영하여 뤼베크의 역사적 명칭인 뤼베크 자유 한자시를 활용한 이름으로 지어진 것이다.

표어

뤼베크 왕국의 표어는 건국 이래 3번 변경되었다. 왕국에 큰 변화가 생기거나, 또는 국왕이 원할 경우 꽤 자주 변경되는 편이다.

국민과 자유주권의 수호를 위한 단결
Einheit zum Schutz des Volkes und der Freiheit und Souveränität

뤼베크 공국 건국 이틀 후인 2024년 4월 4일 제정되어 뤼베크 제2왕국 리방 전인 2024년 9월 1일까지 쓰인 표어이다.

독수리의 기상이여, 전진하라!
Adlergeist, mach weiter!

뤼베크 제2왕국 리방 후인 2024년 9월 2일부터 2025년 3월 25일까지 쓰인 표어이다.

전진하라, 지배하라, 승리하라!
Vorrücken, Dominieren, Gewinnen!

2025년 3월 25일부터 2025년 6월 5일까지 쓰인 표어이다. 제2차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 등에 참전한 뤼베크 왕국의 투지를 드러내는 표어이다.

영원한 빛 속에서 하나로
Geeint im das Ewige Licht

2025년 6월 5일 새로 지정된 표어이다. 건국 이래 중요한 가치로 여겨져 첫 번째 표어에도 드러난 왕국의 단결을 강조하는 한편, 뤼베크 왕국의 영원한 번영과 발전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왕실

국왕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왕후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왕후
[ 펼치기 · 접기 ]

왕궁

작위

현존하는 작위

페마른대공국국장.png
페마른 대공
[ 펼치기 · 접기 ]
단치히 국장.png
단치히 대공
[ 펼치기 · 접기 ]
라체부르크문장.png
라체부르크 공
[ 펼치기 · 접기 ]
바덴도르프문장.png
바덴도르프 공
[ 펼치기 · 접기 ]
클레브루크문장.png
클레퍼브뤼크 후작
[ 펼치기 · 접기 ]
슈토켈스도르프문장.png
슈토켈스도르프 후작
[ 펼치기 · 접기 ]
Wappen Luedersdorf.png
뤼더스도르프 후작
[ 펼치기 · 접기 ]
라케타우문장.png
라케타우 백작
[ 펼치기 · 접기 ]
Wappen Bernsdorf.png
베른스도르프 백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연누
켈렌후센문장.png
켈렌후센 자작
[ 펼치기 · 접기 ]

폐지된 작위

뤼베크공국국장.png
뤼베크 공
[ 펼치기 · 접기 ]

훈장

성 요한 왕관십자장[3]
ㅤㅤ• 성 요한 금관십자장[4] — 수훈자 : 제이 로렌츠 폰 홀슈타인뤼베크
ㅤㅤ• 성 요한 은관심자장[5] — 수훈자 : 로비사 루이세
기사십자장[6]
ㅤ• 백엽성검 기사십자장[7]
ㅤㅤ• 백염성검 기사십자 금십자장 — 수훈자 : 제이 로렌츠 폰 홀슈타인뤼베크,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폰 홀슈타인뤼베크
ㅤㅤ• 백염성검 기사십자 은십자장 — 수훈자 :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폰 홀슈타인뤼베크
ㅤㅤ• 백엽성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 수훈자 : 에리히 폰 세피로트
ㅤ• 백엽 기사십자장[8]
ㅤㅤ• 백엽 기사십자 금십자장 — 수훈자 : 로비사 루이세
ㅤㅤ• 백엽 기사십자 은십자장 — 수훈자 : 에리히 폰 세피로트
ㅤㅤ• 백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 수훈자 : 하인리히 카를 폰 홀슈타인뤼베크
철십자장[9]
ㅤ• 1급 철십자장[10] — 수훈자 : 제이 로렌츠 폰 홀슈타인뤼베크,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폰 홀슈타인뤼베크, 로비사 루이세
ㅤ• 2급 철십자장[11] — 수훈자 : 램지 맥도널드, 에리히 폰 세피로트
ㅤ• 3급 철십자장[12] — 수훈자 : 헤르만 알베르트 슈페어, 달걀정치, 연누
공로훈장[13]
ㅤ• 국정훈장[14] — 수훈자 : 광개수(박탈), 코코넛(박탈), 에리히 폰 세피로트, 연누
ㅤ• 의회훈장[15] — 수훈자 : 캐탈린, 코코넛(박탈), 에리히 폰 세피로트, 훈련교관
뤼더스도르프 훈위훈장[16] — 수훈자 : 에리히 폰 세피로트
모의전 훈위훈장[17] — 수훈자 : 그릴바베큐, 달걀정치, 헤르만 알베르트 슈페어

구성국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 왕국
페마른대공국국기(비율조정).png 페마른 대공국[18]

영토

뤼베크왕국전도(리뉴얼).png

행정구역

뤼베크왕국행정지도.png
행정구역 체제 개편 당시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 등의 문제가 있었기에, 국왕 제이에 의해 전면 수정될 예정이라고 한다.

중앙자치시(수도)

뤼베크 자유 한자시

자치시

• 비스마르
• 퀼룽스보른
• 오이틴
• 하일리겐하펜
• 라인펠트
• 슈베린
• 팀멘도르퍼슈트란트[19]

뤼베크 자유주[20] - 주도:뤼베크
• 비스마르 주 - 주도:비스마르
• 오스트슈트란트 주[21] - 주도:퀼룽스보른
• 노르트부르크 주[22] - 주도:오이틴
• 할빈하펜 주[23] - 주도:하일리겐하펜
• 트라베란트 주[24] - 주도:라인펠트
• 슈베린 주 - 주도:슈베린
페마른 자치주[25] - 주도:페마른부르크

국영언론

군사

명목상 뤼베크 왕립군이 존재하나, 실질적으로 군사활동을 하는 사람은 국왕 제이와 왕위계승권자(부계정) 게오르크뿐이다.

대외 전쟁·분쟁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의 대외 전쟁·분쟁
[ 펼치기ㆍ접기 ]

여담

• 건국 당시 국왕 제이독일의 도시들 중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모티프로 삼을 만한 곳을 찾던 중 뤼베크를 발견하였고, 그리하여 뤼베크 왕국이 되었다고 한다.

• 놀랍게도 명목상 현실 세계에 영토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충청북도 음성군 동음리에 위치한 국왕 제이의 사유지가 그것으로, 별다른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 야트막한 언덕이다. 제이는 종종 이곳에 뤼베크 왕국이라는 이름의 마이크로네이션을 건국하겠다는 농담을 하곤 한다.

둘러보기

뤼베크왕국국기(4대3).png
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각주

  1. 당시 라체부르크 후작
  2. 당시 라케타우 자작
  3. 뤼베크 왕국의 왕실 구성원, 그 중에서도 특히 고위직인 사람에게 수여됨.
  4. 뤼베크 왕국의 통치자, 즉 국왕에게 수여됨.
  5. 뤼베크 왕국의 왕족 중에서도 왕후 등 고위직 인물에게 수여됨.
  6. 뤼베크 왕국에서 특별히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됨.
  7. 뤼베크 왕국의 대외전쟁·분쟁 등 왕국의 국체를 위협하는 중대한 상황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됨.
  8. 뤼베크 왕국의 정치·외교적 사안 등 백엽성검 기사십자장의 조건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대한 상황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됨.
  9. 뤼베크 왕국의 귀족 작위를 가진 인물에게 수여됨.
  10. 뤼베크 왕국에서 공작 이상의 작위를 가진 인물에게 수여됨.
  11. 뤼베크 왕국에서 후작 이상의 작위를 가진 인물에게 수여됨.
  12. 뤼베크 왕국에서 백작 이하의 작위를 가진 인물에게 수여됨.
  13. 뤼베크 왕국의 총리, 국민회의장 등 국가의 고위직에 임한 인물에게 수여됨.
  14. 전·현직 총리에게 수여됨.
  15. 전·현직 국민회의장에게 수여됨.
  16. 뤼더스도르프 조약에 관련되어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됨.
  17. [[뤼베크 왕국과 모의전에 관련되어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됨.
  18. 2024년 10월 말 페마른 대공국 방을 만들고 뤼베크 왕국 산하의 동군연합 자치 제후국으로 독립시켰으나, 이후 2024년 12월경 멸망했다. 영토였던 페마른 섬은 뤼베크 왕국의 자치주인 페마른 자치주로 격하, 합병되었다.
  19. 7개의 자치시 중 유일하게 주도가 아니다.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와 비슷한 위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20. 미국의 워싱턴 D.C.와 비슷하게 뤼베크 시와 그 광역권으로만 이루어진 특별구역이다.
  21. Oststrand. 독일어로 동방 해안이라는 뜻이다.
  22. Nordburg. 독일어로 북방 성채도시라는 뜻이다.
  23. Halbinhafen. 독일어로 '반도'를 뜻하는 Halbinsel과 주도 하일리겐하펜의 Hafen을 조합한 것이다.
  24. Traveland. 이 지역을 흐르는 강의 이름인 트라베(Trave)에서 따온 명칭이다.
  25. 뤼베크 왕국 북부의 섬이자 독일에서 가장 큰 섬인 페마른 섬으로 구성된 자치주로, 한때 페마른 대공국이라는 이름으로 뤼베크 왕국의 구성국이기도 하였다. 현재는 합병되어 자치주가 되었으며, 한국의 제주특별자치도와 비슷한 위치라고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