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차이 없음)

2024년 5월 5일 (일) 15:08 기준 최신판

개요

왕권(王權)이란 군주 또는 왕실권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료, 귀족 등으로 구성된 신료들의 권력인 신권과 대립된다. 특히 전제군주제의 군주들은 신권을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전제군주제하에서의 왕권과 신권의 대립양상

전제군주의 의미

전제군주가 통치하는 이른바 동양국가는 작게는 동북아시아중국한국 넓게는 동유럽, 중동북아프리카오스만 제국이나 동로마 제국에 이르기까지 이론상 전제군주가 모든 권력을 독점하고 신민의 생사여탈권한을 쥐고 있었다. 즉, 모든 귀족과 관료는 왕의 노예로 왕의 명령을 수행하는 존재이자 왕을 위하는 게 존재 의의였다. 흔히 전통시대 왕조라고 하면 귀족보다는 왕권이 강화되어야만 정치적으로 안정이 되고, 민생도 따라서 안정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1]

이에 반해 봉건제도를 사용했던 서유럽의 경우, 왕의 권한이 매우 제한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게르만 시절 선거부족장 시대의 족장이 왕이 된 이유도 있었을 것이며 교회의 사회적 도 무시할수 없었을 것이다. 그로 인해서 왕이 국가원수이긴 하지만 각자의 영역을 존중해야 하는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서유럽의 절대왕정도 사회변화에 따른 왕의 영역이 비대하게 강해지면서 얻은 불안정한 권력이었다. 이는 왕은 법위의 존재라는 일반적 전제군주제와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1. 왕은 선하고 신하는 악해서 민생이 해결되는게 아니다. 전제군주제의 왕은 국가의 소유주고 물려줘야할 재산이라 정말 포악하거나 어리석지 않는 이상 국가기반을 붕괴시키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반면 신하는 권한에 비해서 책임이 훨씩 적은 위치고 국가가 자신의 개인재산이 아니기에 한탕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반면 봉건제에선 신하들도 영지에선 전제군주이기에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간단히 가게 주인과 알바생 각각의 평균적인 책임의식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