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준/월본

육성준 관련 문서
월본 국장.png 월본 역대 내각총리대신
소류 시대
초대
나호진
17年10-11月
제2-3대
구창모
18年2-6月/6-8月
제4대
모창민
18年8-11月
제5대
육성준
18年11月-19年1月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메이우 시대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제7대
민주우
19年2-3月
제8-9대
하재성
19年3-7月/7-9月
제10대
민주우
19年10月-11月
권한대행
정문석
19年12月-20年2月
세이카 시대
제11대
하은우
20年2月-4月
제12대
한성훈
20年4月-5月
제13대
민주우
20年6月-12月
제14대
라버 마르코
21年1月
제15대
모창민
21年1月
제16대
나의재
21年1月
권한대행
구창모
21年1月-2月
제17대
이해수
21年2月-4月
권한대행
이승배
21年4月-5月
제18대
구창모
21年5月-8月
제19대
전영록
21年9月-11月
제20대
하성일
21年12月-22年1月
제21대
Mirai
22年1月-2月
제22대
윤교익
22年2月-3月
권한대행
윤교익
22年3月-3月
제23대
윤교익
22年3月-4月
헤이와 시대
제24대
타츠바나 요쿠온
22年5月-8月
제25대
전영록
22年9月-11月
제26대
육성준
22年11月-23年1月
제27대
다카기 그네
23年1月-23年2月
제28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2月
혁명정부
최재명
23年2月
경비
시키노사토 유이무
23年2月-年6月
제29-31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6月~24年4月
경비
마츠다하루토라
24年4月-7月
제32대
후미히라 겐페이
24年7月~12月
레이카 시대
제32·33대
후미히라 겐페이
24年7月~12月
제34대
아사모토 강치
24年12月~현재
자유민주당 대표
초대
구창모
제2대
모창민
제3대
육성준
권한대행
정문석
제4대
이성하
권한대행
정문석
제5대
노현옥
제6대
구창모
제7・8대
전영록
제9대
육성준
제10・11대
후미히라 겐페이
권한대행
여혜진
제12대
쿠로다 규이치
월본 검찰 화이트.png 월본 검찰총장
추밀원 모창민 정부 구창모 권한대행 전영록 정부 타츠바나 요쿠온 정부
초대
이병서
2대
육성준
3대
모로
4대
지창민
5대
Mirai
타츠바나 요쿠온 정부 다카기 그네 정부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후미히라 겐페이 정부
6대
타츠바나 요쿠온
7대
엘마르욘
8대
엘마르욘
9대
윤교익
10대
엘마르욘
후미히라 겐페이 정부 아사모토 강치 정부
11대
하야시 타로
12대
사키카바라 유이
13대
리노이에 겐세키
월본국 제5, 26대 내각총리대신
육성준
陸成俊
육성준.jpg
출생 1984년 12월 21일(1984-12-21) (40세)
월본 월본 선전부
재임기간 월본 제5대 내각총리대신
2018년 11월 ~ 2019년 1월
월본 제26대 내각총리대신
2022년 11월 ~ 2023년 1월
학력 선전대학 (신문방송학)
약력 월본 내각총리 (5대, 26대)
월본 국회의원 (재선 / 2대, 10대)
자유민주당 제3대 대표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육성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요

육성준월본의 전직 정치인이자 제5대 내각총리대신이다. 가상국가 사회에서 육성준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던 인물이다. 2018년 11월 16일 총리가 되었으며 2018년 12월 말 돌연 실종되었다. 실종 후 2019년 1월 4일 마유이 천황이 내린 긴급조치 1호를 통하여 해임되었다. 이후 2019년 2월 잠적을 깨고 복귀하였으나, 월본 전자정부에 가입과 탈퇴를 반복하는 행보를 보였다.

생애

1984년 월본 선전부에서 태어나 자랐다. 2006년 선전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언론 활동을 하다가 2018년 월본에 진출하는 VBS 지부장으로 스카우트되어 지부장이 되었으며 이후 자유민주당에 영입되며 정치에 입문하며 선전지사에 당선이 되었고, 2018년 11월 15일 모창민 총리에 의해 차기 총리로 지명되어 국회에서 월본 제5대 총리로 취임,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2018년 12월 말부터 활동이 없다가 2019년 1월 돌연 탈뽕 선언을 하며 실종되었고, 실종 이후 마유이 천황이 내린 긴급조치 1호로 인하여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해임 이후 사람들은 추모를 하는 사람과 조롱을 하는 사람 둘로 나뉘어 반응을 보였다. [1] 2019년 2월 잠적을 깨고 다시 월본 국적과 자민당 당적(평당원) 신분을 회복하여 복귀하였으나, 정계에는 복귀하지 않고 2019년 3월 1일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정계 은퇴 선언 이후로는 한성훈 내각 지지 선언을 하는 등 가끔씩 입장을 발표하며 지냈다.

2021년 1월 재입국하였고, 정계에 다시 복귀하여 경동당을 창당하였고 제10대 월본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약 2년만에 의원직 복귀하였다. 이후 경동이즘을 주장하며 활동하였고 모창민 총리에 의해 관방장관 및 검찰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검찰총장 임명 직후 정대성에 대한 수사를 지시, 기소하였다. 정대성 재판이 일단락 된 이후에는 2021년 1월 19일 경동당을 자유민주당에 합당시키고 다시 월본을 떠났다. 언제 다시 귀국할지는 미지수였으나, 6개월 이상 귀국하지 않아 사실상 떠난 것으로 처리되었다.

2024년 8월경에 월본에 귀국하여 자민당 지도부와 회동을 가졌다.

총리 재임

5대 : 2018년 11월 16일 ~ 2019년 1월 4일

5대

2018년 11월 16일부터 2019년 1월 4일까지, 약 1개월 반 동안 총리 업무를 수행하였다.

행보

정치

2018년 11월 당시에는 육성준 총리가 태풍의 눈이 되어 자유민주당과 야당간의 갈등이 늘어났었다. 야당은 주로 육성준 총리가 하는 일이 없다고 비판하는데, 이에 대해 육성준 총리측은 반발하며 여야정쟁이 심화되었었다. 이외에는 제2대 지선이 치루어졌고, 육성준 대표 지휘 아래 자민당이 압승하였다.

외교

마리아나 세계관 참여를 필두로 월본의 국제 지변을 넓히고자 시도했으며, 총리 임기 중에는 국제주의 성향을 보였다.

경제

월본 주식시장을 준비하였으나 이뤄지지는 못했다.

평가

긍정적 평가

일각에서는 차별이 많아 지역 차별의 대명사로 불리던 도후지방 출신이 집권여당의 총수가 되고 총리가 된 것에 대해 지역 감정의 해소에 기여했다는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또한 국적법을 입법하였다.

부정적 평가

일부 남부 출신 인사들은 육성준 총리의 출신지가 도후지방인 것에 반감을 가지기도 하여 육총리에 대해 "양고기총리", "육재앙" 등의 부정적 별명을 만들어 내고 있다. 야당에서는 구창모-모창민-육성준으로 이어지는 총리 세습현상에 대해 비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테러 전과를 두고 정치권에서 논쟁이 일기도 하였다. 11월 30일 ToTV 정례조사에서는 지지율이 45.45%를 기록, 지지하지 않음이 48.48%이 나오며 지지율의 하락을 겪고 있다. 마유이 천황과의 불화로 인해 천황과 총리간의 통화 녹취록이 공개되었는데[2], 녹취록에서의 총리 발언에서 SHOCK Inc. 국영화, 영구 집권, 야당 해산 등의 내용이 나와 논란이 되었다. 이후 불화는 일단락되었으나, 이 일로 인해 지지율이 하락하였다.

제2대 선거 직전에는 32%까지 지지율이 하락했다. 그러나 선전부 시장 연임에는 성공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낙선하면 총리 사임", "총리직 못해먹겠다"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

2018년 12월 지방선거 이후 활동이 없다가 2019년 1월 돌연 실종 및 탈뽕 선언을 하여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선거 이력

일시 선거명 소속 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8.9 제1대 지선
(선전부 시장)
자유민주당 11 (55.0%) 당선 (1위) 시장 초선
2018.11 제3대 총선 18 (47.4%) 당선 초선[3]
2018.12 제2대 지선
(선전부 시장)
18.7 (43.5%) 당선 (1위) 시장 재선[4]
2021.1 제10대 총선 틀:경동당 3 (7.5%) 당선 재선[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자유민주당
2018년 11월 - 2019년 1월
정계 입문
2019년 1월 - 2019년 2월
잠적으로 인한 출당
자유민주당
2019년 2월 - 2019년 3월
복당
틀:유네민주연합
2019년 3월 - 2019년 4월
합당
2019년 4월 - 2021년 1월
정당 해산
틀:경동당
2021년 1월
정계 복귀
자유민주당
2021년 1월
합당

각주

  1. 게시글 및 댓글 참조
  2. 공개라기보다는 익명의 제보를 빙자하여 황실에서 언론이나 유연아, 민주우 등 야권 인사에게 유출시킨 것이다.
  3. 19.1.4 임기중 실종(사임처리)
  4. 19.1.4 임기중 실종(사임처리)
  5. 21.1.19 자유민주당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