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개요)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ISO 639-2/B ||<#ffffff> CHI ||
 
||<:> ISO 639-2/B ||<#ffffff> CHI ||
 
||<:> ISO 639-2/T ||<#ffffff> ZHO ||
 
||<:> ISO 639-2/T ||<#ffffff> ZHO ||
||<:> ISO-639-3 ||<#ffffff> CHI ||
+
||<:> ISO-639-3 ||<#ffffff> ZHO ||
 
||<-2> '''주요 사용 지역''' ||
 
||<-2> '''주요 사용 지역''' ||
 
||<-2> 아시아(중국 대륙, 싱가포르, 타이완 섬) ||
 
||<-2> 아시아(중국 대륙, 싱가포르, 타이완 섬) ||
 +
 +
<youtube>mxKRUtAXd00</youtube>
 +
중국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7조[* 이 사람은 [[중국]] 출신이며, [[표준중국어]]를 사용했다.][*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법 앞에 평등하며 어떠한 차별도 없이 법의 동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모든 사람은 이 선언에 위반되는 어떠한 차별과 그러한 차별의 선동으로부터 동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목차}}
 
{{목차}}
  
 
==개요==
 
==개요==
 +
'''중국어'''는 [[중국 대륙]]에서 기원한 [[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에 속하는 [[언어]]'군([[群]])'을 일컫는 말이다.
 +
 +
왜 그냥 언어가 아니라 언어'군'이냐면, 일반적으로 중국어(Chinese language)라고 칭해지는 범주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국어'라고 부르는 그 언어, 즉 [[표준중국어]]('보통화'와 '국어'가 여기에 해당)도 있지만 이외에도 여러 지역의 [[방언]]들[* 이것들이 중국어라는 단일 언어 체계에 속하는 하나의 방언인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의 논쟁과는 별개로](대표적으로 [[광동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방언들은 표준중국어의 모태가 된 [[관화]](만다린)와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학]]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총체적인 언어 범주를 나타낼 때 단순히 하나의 언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중국어(Chinese language)라는 표현보다는 중국어파(Chinese language'''s''') 또는 한어파(Sinitic languages)라는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한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상호 의사 소통성]]은 낮으나, 일단 [[중국]]에서는 정부의 강한 [[하나의 중국|통합 의지]]와 맞물려 상호 의사 소통성은 둘째치고 모두 하나의 언어인 '중국어'로 묶어버리는 기조가 강해서 이들 모두 [[관화]]에 기초한 [[표준중국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는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단일 언어인 것이며 [[이론언어학]]적으로는 분명히 다른 언어들이다.[* 반대로 [[이론언어학]]적으론 동일 언어임에도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별개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로 분리된 [[마인어]]가 대표적이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는 [[상호 의사 소통성]]이 매우 높음에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민족주의]]적 갈등으로 인해 별개의 언어로 분리되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중국어/방언]]에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여기를 참고하자.
 +
 +
[[중화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한어파 언어는 [[광동어]], [[민남어]], [[객가어]] 등 다양하지만, 보통 외국어로서 '중국어(Chinese language)'라 하면 [[표준중국어]]를 지칭하는 것이다.
 +
 +
표준중국어와 그 방언들을 모두 포함하면 원어민이 약 13억 5,000만 명으로, 전 세계의 언어 중 가장 많은 원어민을 보유하고 있다. 표준중국어는 [[유엔]]의 6대 공용어[* [[중국어]]([[표준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현대 표준 아랍어]]).] 중 하나다.
  
 
==각주==
 
==각주==

2024년 5월 6일 (월) 20:05 기준 최신판

中文
중국어
주요사용국중국, 대만, 싱가포르
원어민약 13억 5,000만 명
어족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
중국어
문자한자
언어 코드
ISO-639-1ZH
ISO 639-2/BCHI
ISO 639-2/TZHO
ISO-639-3ZHO
주요 사용 지역
아시아(중국 대륙, 싱가포르, 타이완 섬)


중국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7조[1][2]

개요

중국어중국 대륙에서 기원한 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을 일컫는 말이다.

왜 그냥 언어가 아니라 언어'군'이냐면, 일반적으로 중국어(Chinese language)라고 칭해지는 범주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국어'라고 부르는 그 언어, 즉 표준중국어('보통화'와 '국어'가 여기에 해당)도 있지만 이외에도 여러 지역의 방언[3](대표적으로 광동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방언들은 표준중국어의 모태가 된 관화(만다린)와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학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총체적인 언어 범주를 나타낼 때 단순히 하나의 언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중국어(Chinese language)라는 표현보다는 중국어파(Chinese languages) 또는 한어파(Sinitic languages)라는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한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상호 의사 소통성은 낮으나, 일단 중국에서는 정부의 강한 통합 의지와 맞물려 상호 의사 소통성은 둘째치고 모두 하나의 언어인 '중국어'로 묶어버리는 기조가 강해서 이들 모두 관화에 기초한 표준중국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는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단일 언어인 것이며 이론언어학적으로는 분명히 다른 언어들이다.[4] 이 부분에 대해서는 중국어/방언에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여기를 참고하자.

중화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한어파 언어는 광동어, 민남어, 객가어 등 다양하지만, 보통 외국어로서 '중국어(Chinese language)'라 하면 표준중국어를 지칭하는 것이다.

표준중국어와 그 방언들을 모두 포함하면 원어민이 약 13억 5,000만 명으로, 전 세계의 언어 중 가장 많은 원어민을 보유하고 있다. 표준중국어는 유엔의 6대 공용어[5] 중 하나다.

각주

  1. 이 사람은 중국 출신이며, 표준중국어를 사용했다.
  2.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법 앞에 평등하며 어떠한 차별도 없이 법의 동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모든 사람은 이 선언에 위반되는 어떠한 차별과 그러한 차별의 선동으로부터 동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3. 이것들이 중국어라는 단일 언어 체계에 속하는 하나의 방언인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의 논쟁과는 별개로
  4. 반대로 이론언어학적으론 동일 언어임에도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별개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로 분리된 마인어가 대표적이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는 상호 의사 소통성이 매우 높음에도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민족주의적 갈등으로 인해 별개의 언어로 분리되었다.
  5. 중국어(표준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현대 표준 아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