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 군사 쿠데타 (대경제국)

대경제국.png
 
대경제국 제1제국~대경제국 내란 목록
 
연도최고행정부사건주동 세력
제1제국
1903년박영효 내각김홍륙 독다 사건(실패)입헌민주당 보수세력
(김홍륙 · 권제순 등)
1919년숭원식 내각3.1 경제독립운동(범국민행동 규정 논의 中)상공업 종사자 및 급진반일세력
(이훤성 · 이훤신 등)
1933년안재홍 내각5.29 총리 암살기도 사건(실패)황립육군 소장파
(이성일 · 박창림 등)
1943년김구 내각제2집단군 반란 사건(실패)황립육군 제2집단군 3개 사단
(박면 · 이통정 등)
1945년좌우합작 내각3.19 항명사태(실패)황립육군 제2 방면군
(김주웅 등)
1948년좌우합작 내각1948 메이데이 사건(실패)노동당 목관주당 세력
(이주실 등)
1950년~1953년좌우합작 내각6.25 내전(장기전 돌입)노동당
(김성주 · 박현영 · 김원봉 등)
1961년윤보선 내각5.16 군사 쿠데타(성공)군사혁명위원회
(박정희 · 김종필 · 차지철 등)
제2제국
1992년노태우 내각청명계획(실패)황립육군보안사령부
2013년박근혜 내각제정 폐지 선동 사건(실패)통합진보당 및 공화국 전선 급진파
(이석기 등)
2017년박근혜 내각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실패)황립육군기무사령부
5.16 군사 쿠데타 (대경제국)
5.16 군사 쿠데타.jpg
교전국

대경제국 황립육군

군사혁명위원회
지휘관

의종 대황제
장면
윤보선
현석호 국방부 대신
이한림 군단 사령부 사령관
김중호 육군참모총장
서한량 제7군단 군단장
등등

박정희 소장
김종필 제3군단 군단장
차지철 제1공수특전단 대위
채명신 준장
등등
병력

황립군 총참모본부
황립육군 본부
황립헌병대
수도방위사령부

대경제국 황립육군 군단 사령부
제7군단 사령부
제9군단 사령부
제1공수특전단

 

개요

상제는 대경제국을 지켜주소서!! 상제는 대경제국을 지켜주소서!! 상제는 대경제국 지ㅋ...
— 5.16 쿠데타 후 황실의 망명 과정 중 시간을 벌던 황궁 경위국 국장 이영휘의 마지막 유언

대경제국 제1제국을 붕괴시킨 군사 쿠데타다.

배경

당시 대경제국은 4.19 혁명으로 이승만 내각이 총사퇴하고 60년 체제가 개막한 상태였다. 하지만 여당인 민주당은 구파와 신파라는 파벌로 나뉘어 내분을 겪고 있었다. 거기다가 자유당의 이름 바 사사오입 개헌에 의한 사사오입 체제 시기 일어난 수많은 요구가 있었고 이를 내각이 수용하라는 데모가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났다. 대표적인 게 명경 노동권 총궐기 사태광주 귀족 연합 시위였다. 하지만 내각은 이 모든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웠으며 위에서 말했듯 여당내에서도 내분이 일어났기에 국정운영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다. 하루가 달리 데모가 일어나니 '데모를 하지 말자는' 데모가 일어났다. 또한 외국인 인사들도 "이 나라는 반란이 안 일어나는게 이상하다"라 할 정도였다. 이에 대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청경 주재 외교관인 막시밀리안 카를 폰 슈나이더 아를츠의 당시 대경제국의 상황에 대해 서술한 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다.

  • 청경의 시민들은 폭도화 되어 내각에 무리한 요구를 하는 데모를 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국에 새로운 외교 정책을 본국은 조치해야 합니다 곧 저의 후임 외교관 추첨에서 저는 제외해주십시오 부탁합니다.

박정희 본인의 상황

당시 박정희의 과거사에 대해 말하자면 1948 메이데이 사건의 동모자로 사형에 쳐해졌지만 당시 목관주의 군무총독이었던 김동호가 "자네의 행정능력을 봐서 이번 만큼은 내가 목관주 군무법원에 말해두겠다."라 말하며 형이 낮춰져 5개월로 감형됐다. 이후 박정희는 1950년 6.25 내전이 발발하고 단동으로 발령되어 단동에 있던 잔류 군수품의 처분을 맏게 됐지만 예상외로 빠르게 진군하는 대경 인민군의 공격으로 근무지인 단동을 이탈하여 청천강으로 이동했고 곧 이어 청천강 향토군으로 입대하여 현장직으로 근무한다. 여러 전선에서 높은 공적을 쌓은 박정희는 훗날 5.16 군사 쿠데타의 기반이 되는 인맥을 구성한 때가 바로 이 시기였다. 1953년 내전이 끝나자 박정희는 군사 요직인 군무총독에 임명되어 청경에서 근무했고 이후 육본의 주요 요직들을 거쳐[1] 쿠데타 이전 마지막 직책인 황립육군 군수사령부 부사령관에서 제1사단 사령부 사령관으로 발령됐다.
3.15 부정 선거 이후 박정희는 절호의 찬스라 생각하여 육군 사관학교 정위층과 같이 쿠데타를 공모했지만 곧 이어 종이 쓰레기 봉투로 삽입됐다. 하지만 3.15 부정 선거를 명분으로 친이승만파의 황립육군 원수부에 총사퇴를 요구했으며 박정희의 해임을 통모했던 송요찬 원수와 그 원수부는 실각했다. 하지만 이후 60년 체제가 성립되고 민주당 내각의 시대가 도래했지만 내각은 박정희를 불신임하여 그를 오히려 좌천시켜 원수부 향토군 지휘부 군수참모부 부장으로 임명한다. 이에 박정희는 마침내 자신의 인맥을 활용하여 이전 황립육군 인사참모부 부장직에 재직하고 있을 때 만난 김종필, 차지철과 통모해 쿠데타를 모의한다.

주요 인물

- 1961년 황제에 재임하던 이강 황제는 이미 대부분의 행정권을 내각에 위임한 상태였다.

- 당시 대경제국 총리대신에 재직중이었고 명분상 행정수반이었으며 실질적으로는 내각총리대신에게 실권이 있었다.

- 대경제국 제1제국 내각총리대신에 있던 장면은 쿠데타 이전 혼란한 제국의 상태를 수습하고자 고도 성장책을 준비중이었다. 그리고 실행도 못하고 사임했다

- 육군본부의 한직인 원수부 향토군 지휘부 군수참모부 부부장 고문으로 좌천되었지만 쿠데타를 통해 정상올랐다.

- 박정희의 오른팔로 5.16 군사 쿠데타의 주요 요인이었다.

- 박정희의 왼팔로 5.16 군사 쿠데타의 주요 요인이었다.

과정

결과

반응

평가

기타

각주

  1. 황립육군 본부 행정고문->황립육군 사무국 부국장->황립육군 인사참모부 정무관->황립육군 인사참모부 부장->황립육군 총군령 명령실 실장->황립육군 군수사령부 부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