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왕국 (식혜): 두 판 사이의 차이

237번째 줄: 237번째 줄:
예루살렘 왕국의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헌법]]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이며, 성지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로는 '''로이옴 드 이에루살리아'''<small>[ʁoˈjɔm d je.ru.sa.ˈli.a]</small>이다.
예루살렘 왕국의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헌법]]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이며, 성지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로는 '''로이옴 드 이에루살리아'''<small>[ʁoˈjɔm d je.ru.sa.ˈli.a]</small>이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의미한다. [[성경|성서]]에서는 '예루샬라임'(Yerushalaim)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아랍권에서는 예루살렘을 [[아랍어]]로 '신성한'을 뜻하는 '알쿠드스'(al-Quds)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을 알쿠드스 왕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의미한다. [[성경|성서]]에서는 '예루샬라임'(Yerushalaim)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아랍권에서는 예루살렘을 [[아랍어]]로 '신성한'을 뜻하는 '알쿠드스'(al-Quds)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을 알쿠드스 왕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0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0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2025년 4월 18일 (금) 00:22 판

UVN logo white.png
UVN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 펼치기 · 접기 ]
귄메아.png 귄메아 연방 공화국
영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그리스국기.png 그리스 왕국
DPRNstateflag.png 나루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방공화국 국기.png 난방공화국
남아프리카.png 남아프리카 연방
대부여국국기.png 대부여국
태극기.png 대한제국
동녕.png 동녕국
러소사1.png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무굴.png 무굴 제국
미국 국기.png 미합중국
발트연방 국기.jpg 발트 코뮌 공화국 연방
백악.png 백악민주공화국
보스니아국기.png 보스니아 공화국
불가리아 왕국 국기.png 불가리아 왕국
브라티나국기.jpg 브라티나 사회주의 인민 연방국
브렌토 국기.png 브렌토 공화국
서아프리카 국기.png 서아프리카 연방
샤모야 국기.png 샤모야 황실제국
Flag of Serbia (1882–1918).svg 세르비아 왕국
아오키 국기.png 아오키국
아이슬란드 국기.png 아이슬란드
아프간국기.png 아프가니스탄 왕국
은하국 국기.png 은하국
이베리아 연합왕국 국기.png 이베리아 연합왕국
일본 국기.png 일본국
스위스 국기.png 스위스 연방
중화민국 국기.png 중화민국
카르타고.png 카르타고
카자이.png 카자흐 이집트
타이란터우.png 타이란터우 공화국
프랑스코뮌국기3.png 프랑스 코뮌 공화국
필리핀 국기.svg 필리핀(디폴리틱)
하시미.png 하시미아라비아 왕국
타이왕국 국기.svg 타이왕국
* 국제기구 및 단체는 제외합니다.
* ㄱ,ㄴ,ㄷ 순으로 작성합니다.

예루살렘 왕국
Roïaume de Ierusalia
Kingdom of Jerusalem
예루살렘 왕국 국기 (식혜).png
예루살렘 왕국 대형 국장 (식혜).png
국기 국장
Lux ex Oriente
빛은 동방으로부터
상징
국가 예루살렘 왕국 국가
국목 백향목
역사
[ 펼치기 · 접기 ]
예루살렘 해방 1099년
하틴 전투 1190년
오스만 영향권에 복속 1517년
압스뷔흐헤브론 왕조 창립 1691년
오스만으로부터 독립 1920년
헌법 공포 1921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예루살렘
면적 37,252㎢
접경국 시리아, 요르단, 이집트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3,520,429명
민족 구성
인구 밀도 약 362.9명/㎢
공용 언어 우트르메르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군대 예루살렘 방위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프로방스 5개
레지옹 20개
코뮌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다당제, 양원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7.80점, 결함 있는 민주주의(2038년)
국왕
(국가원수)
이자벨 4세
정부
요인
집정관
(정부수반)
아리엘 바네사 마이어
오트 쿠르 의장 리샤르 플랑티에 백작
평민원 의장 라울 블랑쉐
대법원장 리샤르 플랑티에 백작[1]
여당 자유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 $665,570,158,383
1인당 $49,227
GDP
(PPP)
전체
1인당
화폐 공식 화폐 예루살렘 탈랑(Ŧ)
ISO 4217 JRT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
(통행방향)
오른쪽(좌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ccTLD
.jr
국가 코드
376, JR, JER
국제 전화 코드
+972
위치
예루살렘 왕국 위치 (식혜).png

개요

예루살렘 왕국(우트르메르어: Roïaume de Ierusalia, 영어: Kingdom of Jerusalem), 줄여서 예루살렘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에서 2024년 11월 14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서아시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국토는 현실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레바논을 합친 크기이며, 수도는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세 종교의 성지이자 총본산인 예루살렘이다.

상징

국호

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으로 한다.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1항

예루살렘 왕국의 국호는 헌법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이며, 성지 예루살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우트르메르어로는 로이옴 드 이에루살리아[ʁoˈjɔm d je.ru.sa.ˈli.a]이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의미한다. 성서에서는 '예루샬라임'(Yerushalaim)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아랍권에서는 예루살렘을 아랍어로 '신성한'을 뜻하는 '알쿠드스'(al-Quds)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을 알쿠드스 왕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라틴어 Regnum Hierosolimitanum
우트르메르어 Roïaume de Ierusalia
프랑스어 Royaume de Jérusalem
영어 Kingdom of Jerusalem
히브리어 הממלכה הלטינית של ירושלים
아랍어 مملكة بيت المقدس
한국어 예루살렘 왕국
일본어 エルサレム王国
중국어 耶路撒冷王國 (간체)
耶路撒冷王國 (번체)

국기

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황색, 백색, 흑색의 3개의 띠중앙에 황색의 예루살렘 십자가가 위치한 형태이며, 각 색의 띠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2항
예루살렘 왕국 국기
Estandart de lo Roïaume de Ierusalia
예루살렘 왕국 국기 (식혜).png
지위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기
채택일 1921년
근거 법령 「예루살렘 왕국 헌법」
「국가상징법」
제작자

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1921년 헌법 공포와 함께 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황색, 백색, 흑색의 띠가 가로로 나열된 삼색기의 중앙에 예루살렘 십자가(Jerusalem Cross)가 그려진 형태이다. 황색은 기독교를, 흰색은 유럽을, 흑색은 아랍과 이슬람을 상징하며 각 요소가 조화롭게 하나되는 예루살렘을 의미한다.

국장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왕관이 올려진 파란 망토 가운데에 예루살렘 십자가가 그려진 하얀 방패가 있으며, 그 양옆으로 두 명의 천사가 방패를 잡고 있으며, 검은 리본이 두 천사를 받치고 있으며, 그 뒤로 훈장이 있는 형태이다.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3항
예루살렘 왕국 왕실 문장
Armoëries roïales de lo Roïaume de Ierusalia
예루살렘 왕국 대형 국장 (식혜).png
지위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장
채택일 1921년
근거
법령
「예루살렘 왕국 헌법」
「국가상징법」
사용처 • 대외 공문
• 국내 관공서 건물 및 재외공관 건물
예루살렘 왕국 여권 표지
훈장 및 국왕 표창 등의 상훈
• 고등행정관 3급 및 고등기술관 3급 이상 공무원에 대한 임명장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국기 등과 마찬가지로 1921년 헌법 제정과 함께 공식 국장으로 채택되었다.[2] 여타 군주제 국가가 그렇듯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국왕의 문장이자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의 문장이다.

국장은 외국으로 발송되는 외교 문서, 국내 관공서 건물이나 재외공관 건물, 고위 공무원의 임명장 등에 사용된다. 국장은 곧 국왕의 문장이자 왕조의 문장인 만큼 사용처는 「국가상징법」에 근거해야 한다.

국가

역사

인문 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정치

국왕

집정관

정당

각주

  1. 오트 쿠르가 대법원의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그 의장이 대법원장직을 겸한다.
  2. 국장으로서 채택된 것이 1921년일 뿐, 문장 자체는 이보다 더 전에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