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주의적 집체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 중국식 법치 합니다.라고 공언 하기도 하고,
- 중국식 법치 합니다.라고 공언 하기도 하고,


이로써 명목상 반법치적 인민민주주의인 조화민주주의 체제를 지켜나감과 동시에, 사실상 국련 회원들은 기본적인 법치를 보장 받게 됨과 동시에ㅡ 정대성은 조화대통령 임기 5년차 레임덕을 피하고 조화민주주의 10년 체제 달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이로써 명목상 '''반법치적 인민민주주의인 조화민주주의 체제를 지켜나감'''과 동시에, '''사실상''' 국련 회원들은 '''기본적인 법치를 보장''' 받게 됨과 동시에ㅡ 정대성은 조화대통령 '''임기 5년차 레임덕을 피하고 조화민주주의 10년 체제 달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권위주의적인, 진보주의적이며 또 동시에 보수주의적인 해괴망측한 집체주의인 것으로, 어찌 정의내려야 할지 모르겠다.
권위주의적인, 진보주의적이며 또 동시에 보수주의적인 해괴망측한 집체주의인 것으로, 어찌 정의내려야 할지 모르겠다.


한마디로 잘못된 보수, 잘못된 민주주의, 진보를 가장한 퇴보라는 점과 권위주의적인 측면에서 미루어보더라도 이것들과
'''한마디로 잘못된 보수, 잘못된 민주주의, 진보를 가장한 퇴보라는 점과 권위주의적인 측면'''에서 미루어보더라도 이것들과
중국식 법치, 또 고전철학과 덕치를 혼재하는 경우는 지금까지 있어온적이 없었기 때문에 정의내릴 수가 없는 것이다.
'''중국식 법치, 또 고전철학과 덕치를 혼재'''하는 경우는 지금까지 있어온적이 없었기 때문에 정의내릴 수가 없는 것이다.


조화민주주의는 화해민주주의가 아니다. 철저히 인민민주주의 사상에 기반하여 자신들의 사상과 철학관, 이념과 정책의 방향성에 추구하는 것에 동참하지 않는 이들을 적인으로 철저히 낙인 찍어 사회에서 매장시켜버린다.
'''조화민주주의는 화해민주주의가 아니다.''' 철저히 인민민주주의 사상에 기반하여 자신들의 사상과 철학관, 이념과 정책의 방향성에 추구하는 것에 동참하지 않는 이들을 적인으로 철저히 낙인 찍어 사회에서 매장시켜버린다.


그렇다면 조화민주주의의 핵심가치란 무엇인가? 조화민주주의 문서를 면밀히 읽어봤거나 조화민주주의에 대해 심도깊은 고찰을 해본 이들이라면 다들 알 것이다.
그렇다면 조화민주주의의 핵심가치란 무엇인가? 조화민주주의 문서를 면밀히 읽어봤거나 조화민주주의에 대해 심도깊은 고찰을 해본 이들이라면 다들 알 것이다.

2024년 7월 20일 (토) 09:55 판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 평의회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독일 11월 혁명 (1918년)
  13.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4.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5.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6.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7.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8. 스페인 내전 (1936년)
  19. 대숙청 (1937년 7월)
  20.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1.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2.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3. 냉전 (1947년)
  24. 한국 전쟁 (1950년)
  25. 베트남 전쟁 (1955년)
  26.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7. 대약진 운동 (1958년)
  28. 쿠바 혁명 (1959년)
  29. 문화대혁명 (1966년)
  30.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1.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2.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3. 소련의 붕괴 (1991년)

보수주의적 집체주의란 나의재가 바라본 조화민주주의의 정의이다. 공산주의와 기독교, 유학, 그리고 각종 사회주의, 좌익사상과 고전철학들을 주류로 내세우지만 또 반대로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의 사회주의에는 반대하며 동성애와 가족관의 문제에 있어서는 진보적인 모습을 보이는 해괴한 사상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진보주의적 집체주의가 더 알맞지 않겠느냐?라고 할 수가 있는데 그것도 맞다.

우선, 법치주의를 명목상으로는 계속해서 거부하였고 결국 2024년 7월 18일 정주석은 나의재와 세드나의 법치주의 주장을 수용하여 나의재가 주장한 자유법치주의는 실현되지 못했지만 적어도 그가 기존 조화민주체제를 비판할때 중국도 법치를 한다고 하였던 점, 세드나가 주장한 조화법치주의가 받아들여져서, 거기에 정주석의 철학관인 덕치주의 사상의 실현까지 하겠다고 하였고,

우주상수의 법치 안한다면서요라는 댓글에 - 중국식 법치 합니다.라고 공언 하기도 하고,

이로써 명목상 반법치적 인민민주주의인 조화민주주의 체제를 지켜나감과 동시에, 사실상 국련 회원들은 기본적인 법치를 보장 받게 됨과 동시에ㅡ 정대성은 조화대통령 임기 5년차 레임덕을 피하고 조화민주주의 10년 체제 달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권위주의적인, 진보주의적이며 또 동시에 보수주의적인 해괴망측한 집체주의인 것으로, 어찌 정의내려야 할지 모르겠다.

한마디로 잘못된 보수, 잘못된 민주주의, 진보를 가장한 퇴보라는 점과 권위주의적인 측면에서 미루어보더라도 이것들과 중국식 법치, 또 고전철학과 덕치를 혼재하는 경우는 지금까지 있어온적이 없었기 때문에 정의내릴 수가 없는 것이다.

조화민주주의는 화해민주주의가 아니다. 철저히 인민민주주의 사상에 기반하여 자신들의 사상과 철학관, 이념과 정책의 방향성에 추구하는 것에 동참하지 않는 이들을 적인으로 철저히 낙인 찍어 사회에서 매장시켜버린다.

그렇다면 조화민주주의의 핵심가치란 무엇인가? 조화민주주의 문서를 면밀히 읽어봤거나 조화민주주의에 대해 심도깊은 고찰을 해본 이들이라면 다들 알 것이다.

그렇다. 바로 구성원들간의 보이지 않는 합의이다.

CRAM 부주석이 공언하였듯, 알잘딱깔센 잘하라 이게 조화민주주의인것이다.

친목 카르텔 하에서 합의를 도출해내고, 그 구성원들 간의 보이지 않는 합의를 구성원 전체에게 강요하는 것이

바로 조화민주주의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