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 |||||
[ 역사 ] [ 지리 ] [ 경제 ] [ 정치 ] [ 사회 ] [ 외교 ]
| |||||
|
"통제"
격동의 제2차세계대전이 연합국과 추축국의 정전으로 끝나며, 유럽과 세계는 무너졌습니다. 유럽의 국민들은 나치의 잔인한 군홧발에 짓밟혔고, 아리아인들은 환호했습니다. 아돌프 히틀러는, 그들의 영웅이 되었고, 유태인은 유럽에서 멸종했습니다. 프랑스인들과 영국인들은 각각, 에펠탑과 빅벤에 나치의 국기가 휘날리는것을 보면서, 오늘도 어디선가 자신을 감시하고 있을 게슈타포들을 마음속으로 두려워 하며, 직장으로 출근합니다. |
![]() |
![]() |
런던 지하철에서 1948년 2월 20일, 오늘 아침도 변함없다. 잿빛 하늘 아래, 퇴색한 유니온 잭의 흔적마저 사라진 런던을 바라보며 집을 나섰다. 거리는 한산했고, 사람들은 모두 말없이 서둘러 발걸음을 옮겼다. 누구도 눈을 마주치려 하지 않았다. 우리 모두는 알고 있다. 벽에는 귀가 있고, 공기에는 감시자의 시선이 서려 있다. 지하철역으로 내려가던 중, 순간적인 소란이 들렸다. 나는 본능적으로 몸을 움츠리고 그 방향을 바라보았다. 검은 가죽 코트를 입은 게슈타포 요원들이 젊은 남성을 에워싸고 있었다. 남자는 필사적으로 저항했지만, 곧바로 한 요원의 주먹이 그의 얼굴을 강타했다. 그는 비명을 지르지도 못한 채 바닥으로 쓰러졌다. "반체제 선동 혐의로 즉시 체포한다. 불응시 사살한다." 게슈타포의 목소리는 무미건조했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조용히 고개를 돌렸다. 아무도 그를 도우려 하지 않았다. 그저 발만 보고 있었다. 혹여라도 눈이 마주쳐 연루되지는 않을까,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나는 심장이 미친 듯이 뛰는 것을 느끼며, 시선을 바닥에 고정한 채 가만히 서 있었다. 남자가 끌려가는 동안 그의 눈이 나를 스쳤다. 간절한 눈빛이었다. 살려달라는, 아니, 최소한 기억해달라는 듯한 표정. 하지만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오히려 더 깊이 모자를 눌러쓰고 몸을 움츠렸다. 그리고 몇 초 후, 그는 사라졌다. 지하철이 도착했고, 사람들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조용히 열차에 올랐다. 마치 그 순간이 아침 출근길의 일상적인 한 장면에 불과하다는 듯이. 하지만 나는 안다. 우리가 하루하루를 이렇게 살아가다 보면, 결국 저항할 용기조차 잃어버린다는 것을. 나는 주머니에서 작은 수첩을 꺼내었다. 떨리는 손으로 오늘의 기록을 남겼다. 누군가는 이 모든 것을 기억해야 한다. 설령 내가 그것을 목소리로 낼 수 없다 하더라도, 역사는 사라져서는 안 된다. 하지만 이 기록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각될지 모른다. 나는 게슈타포의 감시망 속에서 글을 남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