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마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0일 (수) 23:39 판 (→‎생태)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퓨마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퓨마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퓨마
Puma
산사자.webp
학명 Puma concolor
(Linnaeus, 1771)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퓨마속Puma
퓨마 P. concolor

개요

아메리카사자(America lion) 멸종한 동물 아메리카사자와는 다른 동물이니 헷갈리지 말 것. 생물학적으로도 둘은 같은 고양이과인 것만 제외하면 거리가 멀다., 아메리카호랑이, 아메리카표범, 산사자(Mountain lion), 쿠거(Cougar)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이 명칭이 가장 많이 쓰인다. Puma라고 하면 거의 의류 브랜드를 먼저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팬서(Panther) 단 이는 Florida Panther 라는 개체군에 한해서만 올바른 표현이다. 원칙적으로는 Puma 또는 Cougar가 맞지만 많은 현지인들이 혼용해서 쓰곤 한다. 등등으로 불리는 아메리카 대륙의 고양이과 포유류. 재규어와 함께 아메리카 대륙을 대표하는 대형 고양이과 동물이다.

독일어이탈리아어, 스페인어푸마라고 부른다.

특징

퓨마는 캐나다, 미국을 아우르는 북부 아메리카에서부터 멕시코, 파나마를 포함한 중부 아메리카 그리고 남미, 아르헨티나, 아마조니아, 아메리카의 최남단 파타고니아에 이르기까지 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서식한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아르헨티나 일부까지는 같은 고양잇과 동물인 재규어와 서식지가 겹치며 공존한다.

치타, 삵, 고양이, 스라소니를 포함한 '고양이과 고양이아과' 퓨마는 치타스라소니, 과 근연종인 동물이며 고양이과 표범아과인 표범과는 관계가 없다. 동물 중 가장 큰 동물이며, 고양이과 전체에서는 호랑이, 사자, 재규어에 이어 고양이과 동물 중 네 번째로 큰 동물이다.

신대륙에서 재규어 다음으로 큰 고양이과 맹수로 표범보다 조금 더 크다. 몸길이 110cm~160cm, 꼬리길이 70cm, 몸무게 85kg이 보통이며, 1901년에 105kg에 달하는 퓨마가 발견된 기록이 있다. 머리가 작고 털은 짧고 거칠다. 털 색깔은 사자보다 조금 진한 황갈색 단색이 보통 그래서 미국에서는 산사자(mountain lion)로 불린다.이지만, 개체에 따라서는 은회색이나 적갈색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다만 새끼 때는 점박이이며 커가며 점이 사라진다. 새끼 때는 눈 색상도 푸른 색이다. 얼굴과 두상은 다른 중대형 고양잇과에 비해 일반 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긴 편이다.

생태

표범과 함께 가장 번성하는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로, 서식환경은 북미 북부의 눈 덮인 지역에서부터 중미 사막, 중남미 정글까지 두루 산다. 인가 근처에도 어슬렁거릴 정도라서, 야생 대형 고양이과 중에서 가장 적응력이 높은 종으로 손꼽힌다. 구대륙 지역의 표범과 생태지위와 생활양식이 거의 똑같다.

심지어 미국 대도시인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주택가에서도 거주한다. 정작 동네 사람들은 평생 뉴스가 뜰 때까지 뒷산에 퓨마가 있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고.

사냥

북아메리카에서는 사슴이나 큰뿔양, 돌산양, 흰바위산양, 프레리독, 토끼, , 비버, 사향쥐, 여우, 라쿤, 주머니쥐 등을 잡아먹고 남아메리카에서는 아르마딜로, 나무늘보, 페커리, , 개미핥기, 과나코, 라마, 알파카, 비쿠냐, 카피바라, 뉴트리아, 아구티, 원숭이, 코아티 등을 잡아먹는다. 그리고 소동물이나 가축을 간혹 습격하기도 한다.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 식성 적응력이 뛰어난 동물인 표범만큼이나 식성 적응력이 뛰어나고 현재까지 관찰된 척추동물 사냥감만 해도 거의 90~95종에 달할 정도이다. 한 마디로 표범처럼 식성이 까다롭지 않으며 표범만큼이나 아무거나 먹는다는 것이다.

사냥 성공률이 매우 높으며, 힘이 세고 사냥 실력이 뛰어나 이는 퓨마의 운동신경은 매우 뛰어나 시속 70km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12m의 거리를 도약할 수 있고 4m 넘게 높이 뛸 수도 있다. 사냥 성공률은 약 80%이다. 대신 폐활량이 적어 오래 달리지는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