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
해당 문서는 스위스 연방의 공식 문서 입니다. 해당 문서 관리자 이외 인원의 편집은 자제 해 주시길 바랍니다. |
스위스 연방
Confoederatio Helvetica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Swiss Confederation | |||||||||||||||||||||||||||
---|---|---|---|---|---|---|---|---|---|---|---|---|---|---|---|---|---|---|---|---|---|---|---|---|---|---|---|
국기 | 국장 | ||||||||||||||||||||||||||
Unus pro omnibus, omnes pro uno 하나는 모두를 위해, 모두는 하나를 위해 | |||||||||||||||||||||||||||
상징 | |||||||||||||||||||||||||||
국가 | 스위스 연방 찬가 | ||||||||||||||||||||||||||
국화 | 에델바이스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ch | |||||||||||||||||||||||||||
국가 코드 | |||||||||||||||||||||||||||
756, CH, CHE | |||||||||||||||||||||||||||
국제 전화 코드 | |||||||||||||||||||||||||||
++41 | |||||||||||||||||||||||||||
위치 |
---|
![]() |
영토 |
---|
베른 |
---|
![]() |
개요
헬베티아 공화국(Confoederatio Helvetica) 혹은,스위스 연방(Swiss federation)은 26개의 주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연방제 국가이며, 전세계에서 직접 민주주의를 시행하는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고, 영세중립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카카오톡 가상국가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헌법상의 수도는 없지만, 베른이 행정도시의 역할을 하며, 최대도시는 취리히다. 언어가 매우 다양해서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지역 방언격인 레트로망스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하고있다.
면적은 41,285km²이고, 남한의 41% 크기이다. 스위스는 국토를 지형에 따라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쥐라산맥 지역, 중앙저지(스위스 고원) 지역, 알프스산맥 지역의 3지역으로 나뉜다. 남서쪽이 산맥이 많은 편이고, 북동쪽은 평야지대가 많다.
과거 대영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큰 가상국가였으나, 현재는 반 정치적 의제 현상으로 인하여 정치가 사실상 소멸된 상태에 이르렀다. 가상국가 평가원에 따르면, "스위스는 이미 임계점에 다다랐다"라고 말할 정도로 암울하다고 전해진다.
2024년 기준, 국가운영평의회에서 사법재판모의전을 주축으로 운영될 것을 밝혔다.
상징
국기
스위스 연방의 국기는 빨간색 바탕에 하얀색 십자가가 그려진 모양이며, 스위스 연방의 전신인 3국 동맹의 주도국인 슈비츠 국기에서 따 왔다. 색깔은 빨간색(#FF0000), 하얀색(#FFFFFF)을 사용한다.
스위스의 공식 국기는 1:1비율의 국기를 사용하나, 연방평의회(행정부)에서는 1:1 국기가 아닌, 2:3 국기를 사용한다.
참고로, 적십자의 설립자인 앙리 뒤낭은 스위스 국기의 영향을 받아 적십자의 국기를 스위스 국기의 색을 반전시킨 적십자기를 만들었다.
국기 |
---|
국장
스위스 연방의 국장은 국기와 똑같이 생겼으나 방패모양이며, 주로 정부기관에서 사용한다.
국장 |
---|
국가
Schweizerpsalm│스위스 찬가(독일어) |
---|
스위스 연방은 공식언어가 4개이기에 스위스 찬가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와 같이 4가지 버전이 있다. 공식적인 행사에서는 독일어 버전을 사용한다.
가사
1절 Trittst im Morgenrot daher, 트릿슈트 임 모르근로트 다허 아침노을에 그대가 드러날 때 Seh ich dich im Strahlenmeer, 제 이히 디히 임 슈트랄른미어 광명의 바다 속에서 그대를 바라보노라, Dich, du Hocherhabener, Herrlicher! 디히, 두 호허하베너 헤를리허 그대를, 숭고한 자여, 찬란한 자여 Wenn der Alpenfirn sich rötet, 벤 데어 알픈피른 지히 뢰텟 알프스의 만년설이 붉게 물들 때면 Betet, freie Schweizer, betet, 베텟, 프라이에 슈바이처, 베텟 기도하라, 자유로운 스위스인이여, 기도하라. Eure fromme Seele ahnt,(X2) 오여 프롬메 질레 안트(X2) 너희의 경건한 영혼은 알 것이니(X2) 후렴 Gott im hehren Vaterland! 고트 임 헤른 파터란트 하느님이 이 고귀한 조국에 계심을 Gott, den Herrn, im hehren Vaterland! 고트 덴 헤언 임 헤른 파터란트 주 하느님이 이 고귀한 조국에 계심을 2절 Kommst im Abendglühn daher 콤슈트 임 아벤트글륀 다허 저녁노을에 그대가 다가올 때 Find ich dich im Sternenheer, 핀트 이히 디히 임 슈테르넨히어 별의 군세 속에서 그대를 보노라 Dich, du Menschenfreundlicher, Liebender! 디히 두 멘셴프로인틀리허, 리븐더 그대를, 인간에게 이로운 자여, 사랑하는 자여 In des Himmels lichten Räumen 인 데스 힘멜스 리히튼 로이멘 하늘이 비추이는 공간에서 Kann ich froh und selig träumen; 칸 이히 프로 운트 즐리히 트로이멘 나는 기쁘고 편안하게 꿈꿀 수 있구나 Denn die fromme Seele ahnt(X2) 덴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경건한 영혼처럼(x2) 3절 Ziehst im Nebelflor daher 지스트 임 네블플로어 다허 안개 무리 속에 그대가 거닐 때 Such ich dich im Wolkenmeer 주흐 이히 디히 임 볼큰미어 구름의 바다 속에서 그대를 찾노라 Dich, du Unergründlicher, Ewiger! 디히 두 운너그륀틀리허 에비거 그대를, 불가해한 자여, 영원한 이여! Aus dem grauen Luftgebilde 아우스 뎀 그라원 루프트게블리데 잿빛의 하늘 경치로부터 Bricht die Sonne klar und milde 브리흐트 디 존네 클라르 운트 밀데 태양은 뚜렷하고 부드럽게 모습을 내미는도다. Und die fromme Seele ahnt(X2) 운트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그리고 경건한 영혼은 알리니(X2) 4절 Fährst im wilden Sturm daher 패어스트 임 빌덴 슈투름 다허 사나운 폭풍 속에 항해할 때면 Bist du selbst uns Hort und Wehr 비스트 두 젤프스트 운스 호어트 운트 베어 그대는 우리에게 보호자요, 제방이 되노라 Du, allmächtig Waltender, Rettender! 두 알매흐티히 발튼더, 레튼더 그대, 전능한 지배자여, 구원자여 In Gewitternacht und Grauen 인 게비터나흐트 운트 그라원 폭풍우가 휘몰아치는 밤과 새벽에 Lasst uns kindlich ihm vertrauen! 라스트 운스 킨들리히 임 페어트라원 우리 모두 어린아이처럼 그대를 신뢰하리라 Ja, die fromme Seele ahnt(X2) 야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그렇다, 경건한 영혼은 알고 있기에(X2) |
역대 방장
스위스는 202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방장이 여러번 바뀌었으나, 베른관리자 강태공에 의하여 단일 운영체제에서 연방운영체제로 변경됨에 따라 현재 방장 격은 국가운영평의회이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역대방장 문서 참조.
정치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정치 문서 참조.
국가운영체제
연방평의회
스위스 연방평의회는 스위스 연방을 운영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연방의회에서 외교안이 가결될 경우, 외교안의 내용에 따라 이행하는 것도 행정부이며, 연방의회의 의결된 내용이 행정부의 정책과는 맞지 않을 경우, 거부권을 사용하기도 한다. 연방평의회의 수장은 연방대통령이다. 스위스 연방/행정부 문서 참조.
입법부
스위스의 입법부인 연방의회는 상/하원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하원의 역할이 나뉘어 있다. 상/하원에서 의결된 모든 사안은 의회의 본 회의에서 최종심의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 긴급한 사안을 처리 할 경우, 효력을 미리 발생시키고, 후에 본회의에서 통보하는 방식인 '임시패스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의회 문서 참조.
사법부
스위스 사법부는 3개의 법원 (지방/고등/연방대법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연방법률을 해석하며, 주 법률 (또는 조례)을 해석 및 판결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사법부를 구성하는 판사의 임기는 5개월이다. 또한, 형사/민사/행정/특수 가사, 특허등과 같은 재판도 담당한다. 이 외에도 토지를 관리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사법부 문서 참조.
연방제도
스위스 연방은 다수의 가상국가가 하나의 국가를 이룬 연방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방도 본방이라 불릴 수없다. 총 26개의 가상국가방이 스위스 연방으로 불리며 가상국가방은 칸톤으로 분류된다. 포괄적인 자치권[3]을 제공한다.
칸톤을 관리하는 칸톤운영평의회는 [4] 칸톤에서 자치적으로 구성하며, 타 칸톤이 이를 간섭할 수는 없다. 26개 칸톤의 대표가 참석하는 국가운영회의는 국가적 이벤트나, 선거, 연방법률의 효력 발생 및 상실을 공지하거나, 논의한다. 또한 어느 한 칸톤을 연방에서 퇴출하는 결정도 국가운영회의에서 결정한다. 국가운영회의의 의장은 월별로 돌아가며 맡는다. 국가운영회의는 정부의 정책에 간섭할 수 없으며, 정치적으로 중립을 지킬 것을 요한다.
또한, 칸톤 별로 총 3명의 연방의원을 선출하며 국가의원[5]2명, 전주의원[6] 1명으로, 스위스 연방이 총 26개의 방을 이루게 될 시, 국가의회 52명, 전주의회 26명으로 총 78명이 의원으로 선출된다. 국가의회와 전주의회의 역할을 알고 싶으면 스위스 연방/연방의회 문서를 참조할 것.
행정구역
가상국가형 행정구역을 서술합니다.
| 연방칸톤 |
| 준연방국 | 폴란드 제2공화국
비가상국가형 행정구역을 서술합니다.
가상설정
스위스 연방은 1848년 9월 12일에 연방헌법이 제정됨으로써 연방제 공화국으로써의 지위를 가지게 된다.
1917년 경, 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중립국으로써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고, 프랑스가 스위스를 통하여서 독일로 침공하려 하자, 스위스 연방평의회는 속히 총동원령을 선포하고, 프랑스 국경에 군대를 배치하여 무력충돌을 하면서까지 중립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스위스는 역시 중립을 지키기로 하였다. 그와 동시에 독일의 침략에 대비하여 약 7개월 동안 모든 예비역 인력을 소집하고, 스위스 전 국경에 주둔시켰다. 독일 외무부가 스위스 외교부에게 하지만 연방의회에서 통과된 기밀안건에 따르면 나치와 일부 협력을 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2019년 경, 코로나의 유행이 시작되자 스위스 연방평의회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라는 정책을 발표함과 동시에 백신 수입에 총력을 다하였다.
2022년에는 헌법을 개정함으로써 기존의 연방제도에서 단일 국가체제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일부 칸톤에서는 반발이 격해졌고, 심지어는 독립운동을 시도하기까지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제2차 존더분트 전쟁 참고.
독립운동이 제압되자, 스위스 연방은 중앙집권적 국가로 바뀌게 된다. 이 때 스위스 연방평의회는 이름을 정부로 바꾸고,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중앙정부로 이관하였다. 제일 특이한 것은 연방의회를 해산함과 동시에 입법권을 중앙정부가 가지게 된 것이다. 그렇게 하여 스위스 연방은 한동안 행정부와 사법부가 서로 견제하는 이 제도는 2023년 스위스 연방이 본격적으로 쇠퇴하기 이전까지 지속되었다.
스위스 연방이 2023년 경, 국가운영부장이었던 콘라트에 의하여 유토제국의 속국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대다수의 스위스 핵심 운영위원들은 독일로 망명하거나, 유토 제국의 소속이 되어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다.
2024년, 강태공을 중심으로 스위스 부활운동이 펼쳐지게 되나, 별 성과는 거두지 못하게 된다.
2025년 3월 1일, 국가운영부장 루크를 주축으로 한 스위스 연방은 국민투표를 거쳐 연방의회를 구성하게 되며, 새로운 연방헌법을 제정하게 된다. 이 때 특이한 점은 연방제도를 부활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연방제도가 폐지된 지 3년 만의 일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헌법에서는 의원내각제로 정부를 구성한다고 되어 있었으나, 신 헌법에서는 이원집정부제를 선택하게 된다.
이벤트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이벤트문서 참조.
역사
스위스 연방의 시작은 2022년 3월로, 2024년까지 수 많은 사건들이 터졌었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 역사문서 참조.
경제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경제 문서 참조.
법률
스위스는 연방의회에서 법률을 제정하고, 각 주마다 법률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헌법과 형법, 민법과 형사소송, 민사소송, 외교에 대한 법률은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법률 문서 참조.
문화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문화 문서 참조.
영세 중립
스위스는 영세중립의 원칙을 엄격하게 지키며, 선전포고가 떨어지지 않는 한, 어떤 국가의 소속이든 신변 보장을 약속한다. 또한, 어떠한 단체나 국제기구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스위스 연방은 영세중립국의 지위로 종종 국가간 분쟁에 중재국 위치로 참여한다. 영세중립을 버려야 한다는 말이 있으나, 정작 의회에 안건으로 올라온 적은 없다.
"중립을 개나 소나 하는 줄 아나" — 강태공
국가운영평의회
공지와 나라 운영과 이벤트 같은것을 여는 국가운영위원회는 연방을 구성하는 가상국가의 방장 및 운영위원으로 구성된다. 국가운영위원회는 엄격한 룰이 있으며, 모든 연방국가방에 적용된다. 부방은 일부 권력이 제한된다. 방장도 예외는 아니며, 테러발생, 국가존립에 있어 위기상황이라고 판단되는 때에는 즉결처형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개인적인 감정에 의해서 강퇴를 하는 것은 허가되지 아니한다. 방장과 부방이 강퇴함이 정당화 되는 것은 사법부의 재판 판결에 의해서 처리할 때만 정당화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운영평의회 문서 참조.
각주
관련문서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