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공산주의}}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2...)
 
잔글
 
67번째 줄: 67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24fa2; color: #FFFFFF;" | 최종 당적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24fa2; color: #FFFFFF;" | 최종 당적
| {{정당박스|'''조선로동당'''|#E40001|#ffe400}}{{{-2 (숙청 과정에서 제명)}}}
+
| {{정당박스|'''조선로동당'''|#E40001|#ffe400}}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24fa2; color: #FFFFFF;" | 주요 서훈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24fa2; color: #FFFFFF;" | 주요 서훈

2024년 5월 15일 (수) 10:24 기준 최신판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
金日成 | Kim Il Sung
김일성 500px.jpg
본명 김성주(金成柱)
출생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 평양부 용산면 하동 칠골

(現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

사망 1994년 7월 8일 오전 2시 (향년 82세)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묘향산 특각

(現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김씨
부모 아버지:김형직(1894 ~ 1926)

어머니:강반석(1892 ~ 1932)

형제자매 남동생:김철주(1916 ~ 1935)

남동생:김영주(1920 ~ 2021)

배우자 본처:한성희(1914 ~ ?)

이처:김정숙(1917 ~ 1949)
삼처:김성애(1924 ~ 2014?)

자녀 장남:김정일(1941 ~ 2011)

차남:김만일(1944 ~ 1947)
3남:김평일(1954년생)
4남:김영일(1955 ~ 2000)
5남:김현(1971 ~ ?)
장녀:김경희(1946년생)
차녀:김경숙(1951년생)
3녀:김경진(1952년생)
4녀:김백연(1987년생, 사생아)

학력 창덕학교[1]

화성의숙 (중퇴)
지린 위원중학교 (퇴학)

종교 개신교 → 무종교 (무신론)[2]
신체 177cm[3], 90kg, AB형
최종 당적 조선로동당
주요 서훈 공화국영웅 (3회)

국기훈장 (6회)
로력영웅
레닌훈장 (2회)
자유독립훈장 1등급 (2회)
적기훈장
조국해방전쟁승리 60돐 기념훈장[4]
조국해방전쟁승리 70돐 기념훈장[5]

군사 경력
복무 동북항일연군
1936년 ~ 1941년
소련군
1942년 ~ 1945년
조선인민군
1948년 ~ 1994년
최종 계급 소좌 (소련군)

공화국원수 (조선인민군) (1950년~1992년)
대원수 (조선인민군) (1992년 수여)

개요

김일성은 북한의 초대 최고지도자이다.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표방했지만 북한을 왕조와 다를 바 없는 3대 세습 독재국가로 만든 장본인으로서, 생전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등을 지냈다.[6]

각주

  1. 당시 평안남도 대동군 소재였으며, 현재는 평양시 만경대구역에 속해 있다.
  2. 사실상 기독교
  3. 노년에는 173cm
  4. 사후 추서
  5. 사후 추서
  6. 원류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북한을 사회주의의 초급 단계, 즉 사회주의 국가로 보는 관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