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사회주의}} {{목차}} ==개요==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성직자)|사제]]들이 [[사회주의]]의 [[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성직자)|사제]]들이 [[사회주의]]의 [[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


[[분류:사회주의/분파]] [[분류:기독교]]
[[분류:사회주의/분파]] [[분류:기독교]]

2023년 10월 10일 (화) 22:49 판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불교 사회주의 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 오언주의 푸리에주의 블랑키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사회적 아나키즘 상호주의 아나키즘 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 녹색 아나키즘 사회생태주의 정강주의 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 크리스천 아나키즘 아나코 원시주의 아나코 자연주의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유럽공산주의 신좌파
국가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아프리카 사회주의 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제3의 길 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사회주의 내셔널리즘 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기독교 좌파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 좌익대중주의 인디헤니스모 성소수자 사회주의 집산주의
사회적 평등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한반도 사회주의
기타
좌익 정치 반자본주의 계급투쟁 자결권 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 탈자본주의 진보주의(일부) 해방신학 민족자결주의
밀레니엄 사회주의 프롤레타리아 정당 샴페인 사회주의자 아일랜드 공화주의 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개요

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
사도행전 4장 32절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들이 사회주의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