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사회주의}} {{목차}} ==개요==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 |
(→개요)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 {{인용문1|'''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 ||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성직자)|사제]]들이 [[사회주의]]의 [[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성직자)|사제]]들이 [[사회주의]]의 [[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 ||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 |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 | ||
[[분류:사회주의/분파]] [[분류:기독교]] | [[분류:사회주의/분파]] [[분류:기독교]] |
2023년 10월 10일 (화) 22:49 판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그 많은 신도들이 다 한마음 한 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Omnia sunt communia) 사용하였다 |
사도행전 4장 32절 |
기독교 사회주의(영어: Christian Socialism)는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들이 사회주의의 기독교화를 주장하면서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으로, 1850년에 붙여진 이름이다. 넓게 보자면 해방신학과 사회복음주의가 이 부류에 들어갈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기독교 좌파도 같이 보자.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덕주 교수(역사신학)에 따르면, 기독교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