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7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실제 국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분류: 카카오톡 가상국가]]
[[분류: 이탈리아 공화국]]
[[분류: 어비스 세계관]]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6400;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파일:Emblem of Italy.svg.png|28px|link=이탈리아 공화국]] '''이탈리아 관련 틀'''
|-
| colspan="1" style="background:#fff;" |
<div class="mw-customtoggle-521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521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이탈리아 대통령 목록}}
|-
|
|-
|}</div></div>
|}
{{이탈리아공화국 공식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088A4B>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이탈리아공화국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tablewidth=92%><tablebordercolor=#088A4B>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이탈리아공화국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00205B><table align=right><table width=375><tablebordercolor=#BF0D3E><table align=right><:> {{{#fff {{{+2 '''이탈리아 공화국'''}}}[br]{{{+1 𝐈𝐭𝐚𝐥𝐢𝐚𝐧 𝐑𝐞𝐩𝐮𝐛𝐥𝐢𝐜 }}}}}}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06400; color:#000;"
||||<:> [[파일: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png|600px]]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500px]] ||
|- 
||||<#00205B><:> {{{#fff {{{ 국기 }}}}}} ||<#00205B><:> {{{#fff {{{ 국장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9246 70%, #009246 80%, #fff 80%, #fff 90%, #D2232C 90%, #D2232C); color: #fff;" | <div style="margin: 6px 0px 3px;">{{글씨 크기 (px)|20|이탈리아 공화국}}<br>Repubblica Italiana<br>𝐈𝐭𝐚𝐥𝐢𝐚𝐧 𝐑𝐞𝐩𝐮𝐛𝐥𝐢𝐜
||||||<#FFFFFF><:> {{{#BF0D3E ℛ𝓮𝓶𝓮𝓶𝓫𝓮𝓻 𝓽𝓱𝓮 𝓐𝓵𝓪𝓶𝓸 [br] {{{-1 '''알라모를 기억하라''' }}} }}} ||
|-
||||||<#fff><:>  {{{#00205B {{{ 역사 }}}}}} ||
! width=50% style="height:160px; background:#f5f5f5;" | [[파일:16506410861146009869343387173178.jpg|150px]]
||||||<:> 𝟏𝟖𝟑𝟔년 𝟎𝟑월 𝟎𝟐일・[[텍사스 독립 선언|𝑻𝒆𝒙𝒂𝒔 독립 선언]]
! style="background:#f5f5f5;" | [[파일:Emblem of Italy.svg.png|90px]]
𝟏𝟖𝟑𝟔년 𝟎𝟓월 𝟏𝟒일・[[벨라스코 조약|𝑽𝒆𝒍𝒂𝒔𝒄𝒐 조약]]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국기
||||||<:> [[파일:텍사스 지리.png|width=390]]||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국장
||||||<#fff><:> {{{#00205B {{{ 지리 }}}}}} ||
|-
||||<#00205B><:> {{{#white {{{ 수도 }}}}}} || [[오스틴|𝑨𝒖𝒔𝒕𝒊𝒏]]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CE2B37;" | '''{{글씨 색|#000|𝓸𝓼𝓼𝓲𝓪 𝓲𝓵 𝓿𝓮𝓻𝓭𝓮 𝓹𝓮𝓻 𝓻𝓲𝓬𝓸𝓻𝓭𝓪𝓻𝓮 𝓲 𝓷𝓸𝓼𝓽𝓻𝓲 𝓹𝓻𝓪𝓽𝓲, 𝓲𝓵 𝓫𝓲𝓪𝓷𝓬𝓸 𝓹𝓮𝓻 𝓻𝓲𝓬𝓸𝓻𝓭𝓪𝓻𝓮 𝓵𝓮 𝓷𝓮𝓿𝓲 𝓹𝓮𝓻𝓮𝓷𝓷𝓲 𝓮 𝓲𝓵 𝓻𝓸𝓼𝓼𝓸, 𝓹𝓮𝓻}}<br>''녹색은 우리 초원을 기억하고, 흰색은 다년생 눈과 붉은 색을 기억하며 전쟁에서 흘린 피를 기억합니다''
||||<#00205B><:> {{{#white {{{ 최대 도시 }}}}}} || [[샌 안토니오|𝑺𝒂𝒏 𝑨𝒏𝒕𝒐𝒏𝒊𝒐]] ||
|-
||||<#00205B><:> {{{#white {{{ 면적 }}}}}} || 𝟏,𝟎𝟎𝟕,𝟗𝟑𝟓𝐤𝐦²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CE2B37;" | '''{{글씨 색|#000|2016~2022}}
||||||<#fff><:>  {{{#00205B {{{ 인문 환경 }}}}}} ||
|-
||<#00205B><|2> {{{#white {{{ 인구 }}}}}}
| colspan="2" style="font-weight:" |
||<#00205B><:> {{{#white {{{ 전체 인구 }}}}}} || 𝟕𝟎,𝟎𝟎𝟎 𝐏𝐞𝐫𝐬𝐨𝐧 ||
{| class="wikitable" style="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left; width: calc(100% + 20px);"
||<#00205B><:> {{{#white {{{ 인구 밀도 }}}}}} ||  𝟎.𝟎𝟔 𝐏𝐞𝐫𝐬𝐨𝐧/𝐤𝐦²||
|-
||<#00205B><|2> {{{#white {{{ 언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상징
||<#00205B><:> {{{#white {{{ 공용어 }}}}}} || [[영어|𝐄𝐧𝐠𝐥𝐢𝐬𝐡]] ||
|-
||<#00205B><:> {{{#white {{{ 공용 문자 }}}}}} || [[로마자|𝐑𝐨𝐦𝐚𝐧]]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국가
||||<#00205B><:> {{{#white {{{ 국교 }}}}}} || [[https://en.m.wikipedia.org/wiki/Irreligion|𝐍𝐨 𝐑𝐞𝐥𝐢𝐠𝐢𝐨𝐧]] ||
| [[마멜리 찬가]] <br>{{글씨 크기|9.5|(Inno di Mameli)}}
||||<#00205B><:> {{{#white {{{ 군대 }}}}}} || [[텍사스 군사부|𝐓𝐞𝐱𝐚𝐬 𝐌𝐢𝐥𝐢𝐭𝐚𝐫𝐲]] ||
|-
||||||<#fff><:>  {{{#00205B {{{ 정치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국화
||||<#00205B><:> {{{#white {{{ 정치 체제 }}}}}} || [[공화제|𝕽𝖊𝖕𝖚𝖇𝖑𝖎𝖈]] ||
| 우네도 딸기나무
||<#00205B><|3> {{{#white {{{ 주요 요인 }}}}}}
|-
||<#00205B><:> {{{#white {{{ 대통령 }}}}}} || 𝑴𝒊𝒓𝒂𝒃𝒆𝒂𝒖 𝑳𝒂𝒎𝒂𝒓
|}
[[𝐃𝐞𝐮𝐭𝐬𝐜𝐡𝐞𝐬]] ⦄ ||
|-
||<#00205B><:> {{{#white {{{ 부통령 }}}}}} || 𝑫𝒂𝒗𝒊𝒅 𝑩𝒖𝒓𝒏𝒆𝒕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역사
[[라이히|𝐑𝐞𝐢𝐜𝐡]] ⦄ ||
|-
||<#00205B><:> {{{#white {{{ 대법원장 }}}}}} || 𝑻𝒉𝒐𝒎𝒂𝒔 𝑹𝒖𝒔𝒌
| colspan="2" |이탈리아 왕국 수립 1861년 3월 17일<br>이탈리아 통일 1870년 10월 2일<br>
[[𝐗]] ⦄ ||
무솔리니 정권 수립 1922년 10월 31일<br>
||||<#00205B><:> {{{#white {{{ 여당 }}}}}} || [[텍사스 민주당|𝐓𝐞𝐱𝐚𝐬 𝐃.𝐏.]] ||
연합군의 남부 점령 1945년 7월 22일<br>
||||||<#fff><:>  {{{#00205B {{{ 경제 }}}}}} ||
나치 독일의 북부 점령 1943년 9월 3일<br>
||<#00205B><:> {{{#white {{{ 화폐 }}}}}}
주권 회복 1945년 12월 31일<br>
||<#00205B><:> {{{#white {{{ 공식 화폐 }}}}}} || [[텍사스 달러|𝐓𝐞𝐱𝐚𝐬 𝐃𝐨𝐥𝐥𝐚𝐫]] ||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1946년 6월 2일
||||||<#fff><:>  {{{#00205B {{{ 단위 }}}}}} ||
|-
||||<#00205B><:> {{{#white {{{ 법정 연호 }}}}}} || [[https://en.m.wikipedia.org/wiki/Anno_Domini|𝐂𝐫𝐢𝐬𝐭𝐢𝐚𝐧 𝐄𝐫𝐚]]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카국 역사
||||||<#fff><:>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55px]] ||
|-
[Br]
| colspan="2" | 𝟐𝟎𝟏𝟗년 𝟏𝟎월 𝟏𝟏일・[[이탈리아 건국|이탈리아 건국]]<br>[[이스냉전]]
[목차]
𝟐𝟎𝟐𝟎년 𝟏𝟐월 𝟏𝟕일・[[이오전쟁|이오전쟁]]<br>
 
𝟐𝟎𝟐𝟏년 𝟏𝟏월 𝟏𝟒일 • [[이탈리아 군사정변]]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개요 ==
|-
'''텍사스 공화국'''(𝑻𝒆𝒙𝒂𝒔 𝑹𝒆𝒑𝒖𝒃𝒍𝒊𝒄)은 𝟏𝟖𝟑𝟔년 𝟑월 𝟐일에 건국된 북아메리카의 주권 국가다. 남서쪽으로는 리오 그라데, 남동쪽으로는 멕시코 만, 서쪽으로는 멕시코, 북쪽과 동쪽으로는 미합중국과 접경하고 있다.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지리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상징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국명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텍사스 공화국의 공식 국명은 '𝑹𝒆𝒑𝒖𝒃𝒍𝒊𝒄 𝒐𝒇 𝑻𝒆𝒙𝒂𝒔'이며, 편의를 목적으로 '텍사스(𝑻𝒆𝒙𝒂𝒔)'라고도 한다.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텍사스(𝑻𝒆𝒙𝒂𝒔)'의 어원은 1688년, 에스파냐의 선교사가 해안에 상륙하여 인디언에게 지명을 묻자 '''텍시아'''(친구, 아군을 뜻하는 인디언 어)라고 답하여 '텍사스(𝑻𝒆𝒙𝒂𝒔)'라는 지명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수도
 
| rowspan="2" | [[로마]] (Roma)<br>{{글씨 크기|9|북위 41°53′36″ 동경 12°28′58″}}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국기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기.png|width=350]]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최대 도시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텍사스 공화국의 국기}}}'''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대륙
텍사스 공화국의 국기는 1839년에 지정되었으며, 그 기원은 1826년의 프레도니아 공화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레도니아의 국기는 앵글로 정착민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간의 동맹을 상징하는 흰색과 빨간색 줄무늬를 사용하였다. 비록 프레도니아의 반란은 실패했지만 이것은 텍사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유럽]] {{글씨 크기|9|([[남유럽]])}}
 
|-
사실 '론스타'의 개념은 멕시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는 텍사스인들의 연대를 상징하는 깃발보다 더 오래된 상징이며, 텍사스 독립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면적
 
| 302,068km<sup>2</sup>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국장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width=350]]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접경국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텍사스 공화국의 국장}}}''' ||  
| style="border:none;"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left;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left;">
텍사스 공화국의 국장은 1839년에 지정되었으며, '텍사스인은 완벽한 백성이며, 이를테면 가랑이에 살아있는 올리브나무 가지와 참나무 가지가 둘러싸여 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left;">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역사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알라모의 몰락.jpg|width=350]] ||
| style="border:none;" | [[파일:바티칸 국기.png|25px]] [[바티칸 시국 (카카오톡)|바티칸 시국]]<br>[[파일:산마리노 국기.png|25px]] [[산마리노]]<br>[[파일:프랑스 국기.png|25px]] [[프랑스]]<br>[[파일:스위스 국기.png|25px]] [[스위스 연방|스위스]]<br>[[파일:오스트리아 국기.png|25px]] [[오스트리아]]<br>[[파일:슬로베니아 국기.png|25px]] [[슬로베니아]]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알라모의 몰락}}}''' ||
|-
{{본문|텍사스 공화국의 역사}}  
|}</div></div>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자연 환경 ==
|}</div></div>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Fall05-LongsPeakCU JPG RSZ md.jpg|width=350]]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롱스 피크}}}'''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인문환경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Enchanted rock 2006.jpg|width=350]]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인첸티드 록}}}'''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컨로우 호.jpg|width=350]]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컨로우 호}}}''' ||  
|-
 
! rowspan="5"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인구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지리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총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텍사스 지리.png|width=350]] ||
| 𝟔𝟎,𝟐𝟔𝟐,𝟕𝟕𝟗 𝐩𝐞𝐫𝐬𝐨𝐧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텍사스 공화국의 지도}}}'''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밀도
||||||<table width=350><tablebordercolor=#00205B><table align=center><:><#fff><:> {{{#00205B {{{ 면적 }}}}}} ||
| 𝟐𝟎𝟎 𝐏𝐞𝐫𝐬𝐨𝐧 𝐤𝐦<sup>2</sup>
||||<#00205B><:> {{{#white {{{ 전체 면적 }}}}}} || 𝟏,𝟎𝟎𝟕,𝟗𝟑𝟓㎢ ||
|-
||||<#00205B><:> {{{#white {{{ 오스틴 }}}}}} || 704㎢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출산율
||||<#00205B><:> {{{#white {{{ 샌 안토니오 }}}}}} || 1,067.3㎢ ||
| 1.24명 <sup>(2022년)</sup>
||||<#00205B><:> {{{#white {{{ 휴스턴 }}}}}} || 1,559㎢ ||
|-
||||<#00205B><:> {{{#white {{{ 댈러스 }}}}}} || 999.3㎢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기대수명
||||<#00205B><:> {{{#white {{{ 엘패소 }}}}}} || 663.7㎢ ||
| 84세 <sup>(2020년)</sup>
||||<#00205B><:> {{{#white {{{ 러벅 }}}}}} || 320㎢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민족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기후 ===
| 이탈리아인 91.3%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기후 분포도.jpg|width=360]] ||
외국인 8.7%<sup>(2023년)</sup>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05B> '''{{{#ffffff 텍사스 공화국의 기후 분포도}}}'''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공용어
서부 텍사스에는 '''반건조 기후'''가 분포하고 있으며, 연교차는 25~29˚C 정도 된다. 비는 매우 일시적으로 오기 때문에 큰 나무가 자라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짧은 풀이 많이 자란다. 이로 인해 온대 초원이 넓게 펼쳐져 있다.
| [[이탈리아어]]
 
|-
동부 텍사스에는 '''아열대 습윤 기후'''가 분포하고 있으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교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습하지만 4계절이 매우 뚜렷하여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내리며, 겨울에는 기온이 낮고 건조하다. 주요 작물로는 밀과 옥수수가 있으며 콩 따위를 재배하기도 한다.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지역어
 
| 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베네토어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인문 환경 ==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공용 문자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문화 ===
| [[라틴 문자|로마자]]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언어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종교
텍사스 공화국의 언어는 1800년대 이래 미국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음과 동시에 다수를 구성하기에 [[영어]]가 공용어로 채택되어 있다. 그 외 지역어로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이 있다.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국교
 
| [[https://en.m.wikipedia.org/wiki/Irreligion|없음]]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인구 통계 ===
|-
||||||<table width=350><tablebordercolor=#00205B><table align=center><:><#00205B><:> {{{#white {{{ 인구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분포
||||<#BF0D3E><:> {{{#white {{{ 시기 }}}}}} ||<#BF0D3E><:> {{{#white {{{ 전체 인구 }}}}}} ||
| [[가톨릭]] 76.3%<br>[[개신교]] 4.5%<br>[[무종교]] 13.4%<br>[[이슬람]] 5%<br>기타 0.8%
||||<#white><:> {{{#black {{{ 1820년 }}}}}} || 49,274명 ||
|-
||||<#white><:> {{{#black {{{ 1830년 }}}}}} || 59,129명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군대
||||<#white><:> {{{#black {{{ 1840년 }}}}}} || 70,955명 ||  
| [[이탈리아군]]
 
|-
텍사스 공화국의 민족 구성은 1800년대부터 유입된 미합중국과 유럽 출신의 이주자들이 80%를 차지하고 있다.
|}</div></div>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정치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행정구역
{{본문|텍사스 공화국의 정치}}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3"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외교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3"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가상의 국제 관계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북아메리카 ====
|-
𝐔𝐧𝐢𝐭𝐞𝐝 𝐒𝐭𝐚𝐭𝐞𝐬 ・ 미합중국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레조네
미합중국은 1831년 당시 오스틴에 공사관을 열었다. 또한 [[텍사스 혁명]]을 지지하였으며, 텍사스 공화국의 최대 우방국이다.
| 20개
 
|-
𝐌𝐞𝐱𝐢𝐜𝐨 𝐑𝐞𝐩𝐮𝐛𝐥𝐢𝐜 ・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프로빈차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텍사스 혁명|혁명]]과 [[텍사스 독립 선언|독립]]을 인정하지 않으며, 여전히 자국에 속해있는 반항적인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현재는 텍사스 공화국이 서부 텍사스를 확고히 장악하고 있지만, 1838년까지만 해도 서부 텍사스는 사실상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지배 하에 머물러 있었다.
| 107개
 
|-
𝐑𝐮𝐬𝐬𝐢𝐚𝐧 𝐄𝐦𝐩𝐢𝐫𝐞 ・ 러시아 제국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코무네
러시아 제국은 1836년부터 텍사스 공화국의 [[텍사스 독립 선언|독립]]을 인정하고 있다.
| 7,960개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유럽 ====
|}</div></div>
𝐅𝐫𝐚𝐧𝐜𝐞 𝐊𝐢𝐧𝐠𝐝𝐨𝐦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왕국은 1839년 9월 25일부터 텍사스 공화국을 인정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려고 시도하였다.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정치
 
|-
𝐁𝐫𝐢𝐭𝐢𝐚𝐧 𝐔𝐧𝐢𝐭𝐞𝐝 𝐊𝐢𝐧𝐠𝐝𝐨𝐦 𝐎𝐟 𝐈𝐫𝐞𝐥𝐚𝐧𝐝 ・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5"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텍사스 독립 선언|독립]] 당시에만 해도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과의 외교 유지를 위해 텍사스 공화국의 독립을 부정하였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5"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정치 체제
 
| [[공화제]] , [[의원내각제]] , [[양원제]]
 영국은 멕시코 해군에 철갑함 전함을 보급하는 데까지 갔고, 동시에 런던 항구는 비밀리에 텍산 화물을 수용하고 있었다. 인정 거부 이유 중 대영제국 전역에서 불법화되었지만 텍사스에서 행해진 노예제도의 실천만큼 중요한 것은 없었다. 따라서 두 나라 사이에 윤리적 분열을 일으켜 텍사스 주권 문제에 대한 영국의 입장을 확고히 했다.
|-
대영제국과 텍사스공화국은 전자가 후자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과 무관하게 무역 상품을 수입하고 수출했다. 영국은 수출보다 더 많은 수입을 허용했고, 텍산 면화는 영국에서 직물공사에 필요했으며, 세계적으로 판매된 완제품의 일부는 영국 선박을 타고 텍사스로 돌아가는 길을 발견했다.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민주주의 지수
 
| 7.69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br>
𝐍𝐞𝐭𝐡𝐞𝐫𝐥𝐚𝐧𝐝 𝐔𝐧𝐢𝐭𝐞𝐝 𝐊𝐢𝐧𝐠𝐝𝐨𝐦 ・ 네덜란드 연합왕국
(167개국 중 34위)
네덜란드가 벨기에를 모방하여 오스틴에 대사관을 개설하기로 결정하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
이에 텍사스는 암스테르담에 대사관을 열었다.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는 텍사스를 주권국가로 완전히 공식적으로 인정한 유일한 유럽 3개국이었다.
! rowspan="4"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정부<br>요인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대통령
소수의 네덜란드 이민자들이 텍사스에 정착하기 시작했지만, 네덜란드와 같은 네덜란드의 다수 도시들이 주 전역에 나타나기 시작한 남북전쟁 이후와 미국 복원이 끝날 때까지 네덜란드인들의 비율은 3% 미만으로 유지될 것이다.
| 𝐒𝐞𝐫𝐠𝐢𝐨 𝐌𝐚𝐭𝐭𝐚𝐫𝐞𝐥𝐥𝐚<br>
아주 적은 수의 텍사스인들이 네덜란드로 이주했다. 텍사스는 네덜란드에 면, 옥수수, 기타 원료를 수출했고, 네덜란드는 직물, 초콜릿, 맥주, 그리고 많은 다른 제품들을 텍사스에 수출했다.
⦃ [[유니온|𝐔𝐧𝐢𝐨𝐧]] ⦄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중남미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총리
 
| 𝐌𝐚𝐫𝐢𝐨 𝐃𝐫𝐚𝐠𝐡𝐢<br>
𝐘𝐮𝐜𝐚𝐭𝐚𝐧 𝐑𝐞𝐩𝐮𝐛𝐥𝐢𝐜 ・ 유카탄 공화국
⦃ [[콜차크|𝐊𝐨𝐥𝐜𝐡𝐚𝐤]] ⦄
유카탄은 텍사스 오스틴에 대사관을 두고 있었다. 두 반군 모두 멕시코에서 탈퇴하려 했고, 멕시코와의 분쟁에서 서로를 도왔다. 유카탄 반란은 성공하지 못했다.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상원의장
텍사스에는 앤트워프에 영사관이있었습니다. 벨기에 독립 후 5 년 만에 텍사스는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텍사스는 면화, 옥수수 및 기타 원자재를 벨기에로 수출했습니다. 벨기에는 철, , 맥주 및 기타 여러 제품을 텍사스로 수출했습니다. 벨기에에는 오스틴에 공사관이 있었고 텍사스에는 브뤼셀에 대사관이있었습니다.
| 𝐑𝐎𝐏𝐄𝐑𝐓𝐎 𝐏𝐈𝐂𝐎<br>
 
⦃ [[|𝐆𝐎𝐌]] ⦄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하원의장
| 𝐌𝐀𝐑𝐈𝐀 𝐄𝐋𝐒𝐀𝐋𝐁𝐎𝐃𝐎𝐑
⦃ [[스탈린|𝐒𝐓𝐀𝐋𝐈𝐍]] ⦄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집권 여당
| 𝐈𝐭𝐚𝐥𝐢𝐚 𝐃.𝐏.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경제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6"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6"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경제체제
| [[자본주의|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GDP<br>(PPP)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 $3조 5,979억 (2024년) '''세계 12위''' <sup>(2024년)</sup>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1인당
| $60,992 (2024년) 세계 29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GDP<br>(명목)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 $2조 3,765억 (2024년) '''세계 8위''' <sup>(2024년)</sup>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1인당
| $40,287 (2024년)  세계 26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수출<br>입액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수출
| $6,570억 (2022년)  세계 7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수입
| $6,892억 (2022년)  세계 10위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외환보유액
| $1,431억 8,300만 (2016년)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신용등급
| '''무디스''' Aa3<br>'''S&P''' AA-<br>'''Fitch''' AA-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화폐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공식 화폐
| [[이탈리아 리라]](€)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CE2B37;" | ISO 4217
| EUR
|-
|}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단위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7"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7"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법정연호
| [[서력 기원]]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시간대
| GMT+01:00([[이탈리아 표준시]])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운전 방향
| [[우측통행]]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단위
| [[SI 단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외교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8"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8"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009246;" | [[어비스 세계관|어비스]] 가입
| [[2020년]] <sup>(창립국)</sup>
|-
|}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ccTLD
|-
| colspan="2" align=center | '''.it'''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국제 전화 코드
|-
| colspan="2" align=center | '''+39'''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국가 코드
|-
| colspan="2" align=center | ''' 380, ITA, IT"'
|-
! colspan="2"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9246 33%, #fbfbfb 33%, #fbfbfb 67%, #CE2B37 67%); color:#000;" | 정부주소
|-
| colspan="2" align=center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23px|link=카카오톡 가상국가/국가 목록]] [[파일:옴렛 아케이드.png|23px|link=오믈렛 가상국가]]<ref>오믈렛은 서비스 종료, 카카오톡은 운영이 안되고 있다.</ref>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88A4B  0%, #088A4B 33%, #fff 33%, #fff 66%, #BF0D3E 66%, #BF0D3E 100%)" |
|-
|}


텍사스의 대표 인 William H. Daingerfield는 1845 년 2 월 오스트리아를 방문하여 비엔나 사람들이 공화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받고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비엔나에있는 동안 Daingerfield는 텍사스의 미국 합병 소식을 받았으며


반복적 인 간청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정부와의 의사 소통이 금지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텍사스 공화국을 잘 알고있었습니다. František Ladislav Rieger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헌법을 만들기 위해 텍사스 헌법의 대중 주권의 이상을 사용했으며 많은 오스트리아 인이 텍사스로 이주했습니다. 헝가리에서는 공화국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게재 한 신문 Vasárnapi Újság가 여성들이 텍사스로 이주 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많은 체코 인도 공화국으로 이주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395px; max-width:395px; border:2.6px solid #228B22; text-align:left
| colspan="3" style="font-size: 11pt; color: #228B22;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이탈리아.위치.jpg]]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위치'''
|-
|-
| colspan="3" style="font-size: 11pt; color: #228B22;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베네치아 광장.png]]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로마'''
|-
| colspan="3" style="font-size: 11pt; color: #228B22;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밀라노.jpg]]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밀라노'''
|-
| colspan="3" style="font-size: 11pt; color: #228B22;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베네치아 전경.jpg]]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베네치아'''
|-
|}


덴마크는 처음에 텍사스를 인정하기를 매우 주저했습니다. 멕시코와의 관계를 최우선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텍사스를 인정하는 것이 멕시코와 체결 한 1827 년 우정, 무역 및 항해 조약을 위반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덴마크는 외교적으로 확장되지는 않았지만 텍사스 제품을 덴마크 항구로 허용하는 데까지 이르렀지만 나중에 텍사스에서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 관세를 부과 할 것입니다. 일방 통행에 가까운 거래를 제외하면 양국 관계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br]


양국 간의 무역은 미미했지만 텍사스는 면화와 옥수수를 덴마크와 식민지에 수출했습니다. 덴마크는 밀과 완제품을 텍사스로 수출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증명할 수 없습니다. 덴마크가 텍사스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기 전까지 무역은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목차]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실상의 국제 관계 ===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개요 ==
'''이탈리아 공화국'', 약칭 이탈리아(Italiana)는 남유럽과 지중해의 반도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혈맹국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센타크 코뮌|𝑺𝒆𝒏𝒕𝒉𝒂𝒓𝒌 𝑪𝒐𝒎𝒎𝒖𝒏𝒆]] ・ 센타크 코뮌
[[파일:이탈리아 공화국의 지리.png|width=300]] ||
센타크 코뮌은 텍사스 공화국의 혈맹 정부이다. 이 관계는 2021년 02월 12일에 [[텍센 혈맹 체결|체결]]되었으며, 양 정부 정상의 합의로 이루어졌다.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88A4B><#BF0D3E> '''{{{#ffffff △ 이탈리아 지도}}}''' ||


[[이탈리아 공화국|𝑹𝒆𝒑𝒖𝒃𝒍𝒊𝒄 𝑶𝒇 𝑰𝒕𝒂𝒍𝒊𝒂]] ・ 이탈리아 공화국
반도의 모양이 장화와 비슷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중해와 아드리아해에 접해 있다. 수도는 로마. 로마 제국의 중심지였던 국가라 고대 유럽 문화의 핵심이었고 라틴 문자의 발상지다. 북서쪽에 프랑스, 북쪽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동북쪽에 슬로베니아와 육지상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고, 직접 국경을 접하고 있진 않지만 이탈리아와 가깝고 바다만 건너면 닿는 주변국들로는 서쪽에 모나코, 스페인, 서남쪽에 알제리, 튀니지, 남쪽에 몰타, 동쪽 아드리아해 건너편에 발칸 반도에 속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그리스가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사실 발칸 반도의 범위를 최대로 확장하면 '트리에스테(Trieste)'라는 슬로베니아와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도시까지도 발칸 반도에 포함된다.
이탈리아 공화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혈맹국이다. 이 관계는 2021년 02월 21일에 [[텍이탈 혈맹 체결|체결]]되었으며, 양국 정상의 합의로 이루어졌다.  


[[라리마 제국|𝑳𝒂𝒓𝒊𝒎𝒂𝒓 𝑬𝒎𝒑𝒊𝒓𝒆]] ・ 라리마 제국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상징 ==
라리마 제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혈맹국이다. 이 관계는 2021년 09월 03일에 [[텍라 혈맹 체결|체결]]되었으며, 양국 정상의 합의로 이루어졌다.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국명 ===
||<-2><width=400px><tablebordercolor=#008000><#008000><:> {{{#ffffff '''언어별 명칭'''}}} ||
||<width=100px><#dd0000> {{{#ffffff 이탈리아어}}} ||<width=200px> Repubblica Italian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그리스어}}} ||<width=200px> Ιταλική Δημοκρατία<br>Ιταλία ||
||<width=100px><#dd0000> {{{#ffffff 나폴리어}}} ||<width=200px> Repubbreca (i)talian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독일어}}} ||<width=200px> Italienische Republik<br>Italien ||
||<width=100px><#dd0000> {{{#ffffff 라딘어}}} ||<width=200px> Republica Taliana<br>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라틴어}}} ||<width=200px> Res publica Italic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러시아어}}} ||<width=200px> Италья́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br>Ита́лия ||
||<width=100px><#dd0000> {{{#ffffff 로망슈어}}} ||<width=200px> Republica Talian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롬바르드어}}} ||<width=200px> Republega Italiana<br>Ità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리구리아어}}} ||<width=200px> Repubbrica Italiann-a<br>Itàlia  ||
||<width=100px><#dd0000> {{{#ffffff 베네토어}}} ||<width=200px> Republica Itałiana<br>Itałia  ||
||<width=100px><#dd0000> {{{#ffffff 사르데냐어}}} ||<width=200px> Repùblica Italiana<br>Itàlia ||
||<width=100px><#dd0000> {{{#ffffff 시칠리아어}}} ||<width=200px> Ripùbbrica Taliana<br>Italia 또는 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에밀리아 로마냐어}}} ||<width=200px> Repóblica Italiâna<br>Itâlia 또는 Itâglia ||
||<width=100px><#dd0000> {{{#ffffff 영어}}} ||<width=200px> Italian Republic<br>Italy ||
||<width=100px><#dd0000> {{{#ffffff 코르시카어}}} ||<width=200px> Republica Talian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프랑스어}}} ||<width=200px> République italienne<br>Italie ||
||<width=100px><#dd0000> {{{#ffffff 프리울리어}}} ||<width=200px> Republiche Italie<br>Italie ||
||<width=100px><#dd0000> {{{#ffffff 피에몬테어}}} ||<width=200px> Repùblica Italian-a<br>Italia ||
||<width=100px><#dd0000> {{{#ffffff 일본어}}} ||<width=200px> イタリア共和国<br>イタリア ||
||<width=100px><#dd0000> {{{#ffffff 한국어}}} ||<width=200px> 이탈리아 공화국<br>이탈리아 ||
||<width=100px><#dd0000> {{{#ffffff 중국어}}} ||<width=200px> 意大利共和国 혹은 義大利共和国
<br>意大利 또는 義大利 ||
||<width=100px><#dd0000> {{{#ffffff 한자음차}}} ||<width=200px> 伊太利(이태리) ||
공식국호는 이탈리아 공화국(Repubblica Italiana)이다. 시라쿠사의 안티오코스(기원전 5세기)에 따르면, 원래 이탈리아라는 명칭은 이탈리 사람들이 살던 칼라브리아 지방에만 쓰였다. 과거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가 도망친 소를 찾으러 시칠리아를 지나 칼라브리아 남부까지 왔다가 이곳에 살던 사람들이 그들의 언어로 소를 비툴루스라고 부르는 것을 보고 나중에 이곳을 추억하며 비툴리아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9] 이외에도 이곳을 통합하고 다스린 이탈루스 왕자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으며, 이곳 사람들이 수소에 대한 토테미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동맹국 ====
이후 로마 제국이 이곳을 지배하게 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현 이탈리아의 북부 지방인 알파인 지역까지 포함한 반도 전체로 뜻이 확장되었고, 로마 제국이 기원전 1세기 무렵 사비네족, 삼니테족 등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부족들을 통칭하여 이탈리아인이라 표현하였다.
[[핀란드 공화국|𝑹𝒆𝒑𝒖𝒃𝒍𝒊𝒄 𝑶𝒇 𝑭𝒊𝒏𝒍𝒂𝒏𝒅]] ・ 핀란드 공화국
핀란드 공화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동맹국이다. 이 관계는 2021년 09월 02일에 [[텍핀 동맹 체결|체결]]되었으며, 양국 정상의 합의로 이루어졌다.  


[[독일 제3제국|𝑮𝒆𝒓𝒎𝒂𝒏 𝑬𝒎𝒑𝒊𝒓𝒆]] ・ 독일 제3제국
서로마 멸망 이후 이탈리아라는 이름은 지리적으로만 쓰이다가 리소르지멘토를 계기로 민족적 함의를 지니게 되었다. 1861년에 반도의 통일을 이루면서 국호로 이탈리아 왕국(Regno d'Italia)을 채택했다. 1948년에 공화국이 되어서도 이탈리아라는 국명을 유지하고 있다.
독일 제3제국은 텍사스 공화국의 동맹국이다. 이 관계는 2021년 11월 20일에 [[텍독 동맹 체결|체결]]되었으며, 양국 정상의 합의로 이루어졌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경제 ==
한자 음차 명칭은 이태리(伊太利)이다. 그 외에 이태리아(伊太利亜), 의대리(意大利, 義大利)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땐 '이'(伊) 라고 한다.
{{본문|텍사스 공화국의 경제}}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사회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395px; max-width:395px; border:2.6px solid #228B22; text-align:left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228B22; background: #ffffff;"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Emblem of Italy.svg.png]]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dd0000); color: #fff" align=middle |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장'''
|-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군사 ==
이탈리아의 국장은 1948년 5월 5일에 제정되었다.
{{본문|텍사스 군사부}}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단위 ==
이탈리아의 국장
국장 가운데에는 톱니바퀴가 그려져 있으며 톱니바퀴 위에는 빨간색 테를 두른 하얀 별이 그려져 있다. 국장 왼쪽을 올리브 가지가 감싸고 있으며 국장 오른쪽을 참나무 가지가 감싸고 있다. 국장 아래쪽에는 빨간색 리본이 올리브 가지와 참나무 가지를 묶고 있으며 리본에는 이탈리아의 공식 명칭인 "이탈리아 공화국"("REPVBBLICA ITALIANA")이 쓰여져 있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법정 연호 ===
톱니바퀴는 노동자를 상징하며 별은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상징이다. 올리브 가지는 평화를, 참나무 가지는 이탈리아 국민의 역량과 존엄을 상징한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시간대 ===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국기 ===
||<-2><width=600px><tablebordercolor=#008000><#008000><:> {{{#ffffff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 ||
||<width=300px> [[파일:16506410861146009869343387173178.jpg]] ||<width=300px> [[파일:이탈리아 정부기.png|350px]] ||
||<width=300px><#dd0000> {{{#ffffff 국기}}} ||<width=300px><#dd0000> {{{#ffffff 정부기}}} ||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관련 문서 ==
이탈리아의 국기는 녹색, 하양, 빨강의 세 가지 색으로 된 세로 삼색기(이탈리아어: Il Tricolore 일 트리콜로레)이다.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쓰였던 삼색기의 영향을 받아 1848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현재의 국기는 1948년에 제정되었다. 초록은 희망을, 하양은 신뢰를, 빨강은 사랑을 의미한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같이 보기 ==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이탈리아 지리 ==
||<-2><width=600px><tablebordercolor=#008000><#008000><:> {{{#ffffff '''이탈리아 지리'''}}} ||
||<width=300px> [[파일:이탈리아.알프스.jpg]] ||<width=300px> [[파일:이탈리아.해안선.jpg]] ||
||<width=300px><#dd0000> {{{#ffffff '''이탈리아 알프스'''}}} ||<width=300px><#dd0000> {{{#ffffff '''이탈리아 바다'''}}} ||
영토의 대부분은 지중해로 뻗은 장화 모양의 반도와 알프스 이남 평야, 시칠리아 섬과 사르데냐 섬으로 구성된다. 주변 바다를 부르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 북동쪽 이탈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 사이에 있는 바다를 아드리아 해라고 부르며, 아드리아 해의 남쪽이자 이탈리아 반도 남부와 시칠리아, 알바니아와 그리스 사이에 있는 바다를 이오니아 해라고 한다. 이탈리아 반도 서부에 있고, 사르데냐 섬과 프랑스의 코르시카 섬 사이에 있는 바다는 티레니아 해라고 한다. 코르시카 북쪽 및 이탈리아 북서부에 있는 바다는 리구리아 해라고 한다. 섬들을 포함하여 이탈리아는 8,000km가 넘는 해안선을 자랑한다.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각주 ==
한반도를 태백산맥이 관통하는 것처럼 이탈리아 반도 역시 아펜니노 산맥이 척추처럼 관통한다. 아펜니노 산맥은 북서쪽에서 알프스 산맥과 맞닿는다. 알프스 산맥은 북서쪽과 북쪽에서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을 형성한다. 이탈리아 북부에는 충적으로 형성된 거대한 포-베네치아 평원이 있어 물은 포강과 알프스 산맥, 아펜니노 산맥, 돌로미티 산맥 등에서 흘러내리는 수많은 지류로 흘러든다. 포 강 외에 잘 알려진 강에는 테베레강, 아디제강, 아르노강 등이 있다. 또한 가르다 호, 코모 호 등 빙하호가 발달되어 있다.
<references/>


== [[파일:텍사스 공화국의 국장.png|35px]] | 외부 링크 ==
이탈리아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 중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의 경계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지진 위험 국가 중 하나이고 특히 중앙을 가로지르는 아펜니노 산맥을 중심으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큰 지진이 한 번 일어나면 그 지역은 많은 피해를 입는데 특히 이탈리아는 대부분 벽돌 건물이어서 규모에 비해서도 피해가 크다.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일본에 비해 규모는 다소 작지만 상대적으로 진원의 깊이가 더 얕아 진동이 극심한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규모만 놓고보면 대지진으로 보기 어려운 6점대 강진도 진도가 X~XI이고 사망자도 수 천~수 만을 상회한다. 아래의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역사적으로 숱한 지진과 화산 폭발로 인해 상당히 많은 규모의 희생자가 발생해 왔다. 그나마 조금 다행인 점은 이탈리아의 지진은 대개 시칠리아 섬과 아펜니노 산맥에서 발생해 로마, 피렌체, 밀라노 등 주요 대도시들은 지진 다발 지역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나폴리 정도를 제외한 이탈리아 주요 대도시들은 역사적으로 지진에 의한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거의 없다.


[[분류 : 헬레네 세계관]]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인문 환경 ==
[[분류 : 텍사스 공화국]]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인구 ===
=== [[파일:Emblem of Italy.svg.png|width=40]] | 각주 ===

2025년 6월 26일 (목) 16:28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실제 국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Emblem of Italy.svg.png 이탈리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이탈리아공화국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이탈리아 공화국
Repubblica Italiana
𝐈𝐭𝐚𝐥𝐢𝐚𝐧 𝐑𝐞𝐩𝐮𝐛𝐥𝐢𝐜
16506410861146009869343387173178.jpg Emblem of Italy.svg.png
국기 국장
𝓸𝓼𝓼𝓲𝓪 𝓲𝓵 𝓿𝓮𝓻𝓭𝓮 𝓹𝓮𝓻 𝓻𝓲𝓬𝓸𝓻𝓭𝓪𝓻𝓮 𝓲 𝓷𝓸𝓼𝓽𝓻𝓲 𝓹𝓻𝓪𝓽𝓲, 𝓲𝓵 𝓫𝓲𝓪𝓷𝓬𝓸 𝓹𝓮𝓻 𝓻𝓲𝓬𝓸𝓻𝓭𝓪𝓻𝓮 𝓵𝓮 𝓷𝓮𝓿𝓲 𝓹𝓮𝓻𝓮𝓷𝓷𝓲 𝓮 𝓲𝓵 𝓻𝓸𝓼𝓼𝓸, 𝓹𝓮𝓻
녹색은 우리 초원을 기억하고, 흰색은 다년생 눈과 붉은 색을 기억하며 전쟁에서 흘린 피를 기억합니다
2016~2022
상징
국가 마멜리 찬가
(Inno di Mameli)
국화 우네도 딸기나무
역사
이탈리아 왕국 수립 1861년 3월 17일
이탈리아 통일 1870년 10월 2일

무솔리니 정권 수립 1922년 10월 31일
연합군의 남부 점령 1945년 7월 22일
나치 독일의 북부 점령 1943년 9월 3일
주권 회복 1945년 12월 31일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1946년 6월 2일

카국 역사
𝟐𝟎𝟏𝟗년 𝟏𝟎월 𝟏𝟏일・이탈리아 건국
이스냉전

𝟐𝟎𝟐𝟎년 𝟏𝟐월 𝟏𝟕일・이오전쟁
𝟐𝟎𝟐𝟏년 𝟏𝟏월 𝟏𝟒일 • 이탈리아 군사정변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로마 (Roma)
북위 41°53′36″ 동경 12°28′58″
최대 도시
대륙 유럽 (남유럽)
면적 302,068km2
접경국
[ 펼치기 · 접기 ]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𝟔𝟎,𝟐𝟔𝟐,𝟕𝟕𝟗 𝐩𝐞𝐫𝐬𝐨𝐧
밀도 𝟐𝟎𝟎 𝐏𝐞𝐫𝐬𝐨𝐧 𝐤𝐦2
출산율 1.24명 (2022년)
기대수명 84세 (2020년)
민족 이탈리아인 91.3%

외국인 8.7%(2023년)

공용어 이탈리아어
지역어 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베네토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
분포 가톨릭 76.3%
개신교 4.5%
무종교 13.4%
이슬람 5%
기타 0.8%
군대 이탈리아군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레조네 20개
프로빈차 107개
코무네 7,960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 , 의원내각제 , 양원제
민주주의 지수 7.69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34위)

정부
요인
대통령 𝐒𝐞𝐫𝐠𝐢𝐨 𝐌𝐚𝐭𝐭𝐚𝐫𝐞𝐥𝐥𝐚

⦃ 𝐔𝐧𝐢𝐨𝐧 ⦄

총리 𝐌𝐚𝐫𝐢𝐨 𝐃𝐫𝐚𝐠𝐡𝐢

⦃ 𝐊𝐨𝐥𝐜𝐡𝐚𝐤 ⦄

상원의장 𝐑𝐎𝐏𝐄𝐑𝐓𝐎 𝐏𝐈𝐂𝐎

⦃ 𝐆𝐎𝐌 ⦄

하원의장 𝐌𝐀𝐑𝐈𝐀 𝐄𝐋𝐒𝐀𝐋𝐁𝐎𝐃𝐎𝐑

⦃ 𝐒𝐓𝐀𝐋𝐈𝐍 ⦄

집권 여당 𝐈𝐭𝐚𝐥𝐢𝐚 𝐃.𝐏.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PPP)
$3조 5,979억 (2024년) 세계 12위 (2024년)
1인당 $60,992 (2024년) 세계 29위
GDP
(명목)
$2조 3,765억 (2024년) 세계 8위 (2024년)
1인당 $40,287 (2024년)  세계 26위
수출
입액
수출 $6,570억 (2022년)  세계 7위
수입 $6,892억 (2022년)  세계 10위
외환보유액 $1,431억 8,300만 (2016년)
신용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이탈리아 리라(€)
ISO 4217 EUR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 기원
시간대 GMT+01:00(이탈리아 표준시)
운전 방향 우측통행
단위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어비스 가입 2020년 (창립국)
ccTLD
.it
국제 전화 코드
+39
국가 코드
380, ITA, IT"'
정부주소
카카오톡 아이콘.svg 옴렛 아케이드.png[1]


이탈리아.위치.jpg
위치
베네치아 광장.png
로마
밀라노.jpg
밀라노
베네치아 전경.jpg
베네치아


Emblem of Italy.svg.png | 개요

'이탈리아 공화국, 약칭 이탈리아(Italiana)는 남유럽과 지중해의 반도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이탈리아 공화국의 지리.png
△ 이탈리아 지도

반도의 모양이 장화와 비슷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중해와 아드리아해에 접해 있다. 수도는 로마. 로마 제국의 중심지였던 국가라 고대 유럽 문화의 핵심이었고 라틴 문자의 발상지다. 북서쪽에 프랑스, 북쪽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동북쪽에 슬로베니아와 육지상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고, 직접 국경을 접하고 있진 않지만 이탈리아와 가깝고 바다만 건너면 닿는 주변국들로는 서쪽에 모나코, 스페인, 서남쪽에 알제리, 튀니지, 남쪽에 몰타, 동쪽 아드리아해 건너편에 발칸 반도에 속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그리스가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사실 발칸 반도의 범위를 최대로 확장하면 '트리에스테(Trieste)'라는 슬로베니아와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도시까지도 발칸 반도에 포함된다.

Emblem of Italy.svg.png | 상징

Emblem of Italy.svg.png | 국명

언어별 명칭
이탈리아어Repubblica Italiana
Italia
그리스어Ιταλική Δημοκρατία
Ιταλία
나폴리어Repubbreca (i)taliana
(I)talia
독일어Italienische Republik
Italien
라딘어Republica Taliana
Talia
라틴어Res publica Italica
Italia
러시아어Италья́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Ита́лия
로망슈어Republica Taliana
Italia
롬바르드어Republega Italiana
Itàlia
리구리아어Repubbrica Italiann-a
Itàlia
베네토어Republica Itałiana
Itałia
사르데냐어Repùblica Italiana
Itàlia
시칠리아어Ripùbbrica Taliana
Italia 또는 Talia
에밀리아 로마냐어Repóblica Italiâna
Itâlia 또는 Itâglia
영어Italian Republic
Italy
코르시카어Republica Taliana
Italia
프랑스어République italienne
Italie
프리울리어Republiche Italie
Italie
피에몬테어Repùblica Italian-a
Italia
일본어イタリア共和国
イタリア
한국어이탈리아 공화국
이탈리아
중국어意大利共和国 혹은 義大利共和国

意大利 또는 義大利
한자음차伊太利(이태리)

공식국호는 이탈리아 공화국(Repubblica Italiana)이다. 시라쿠사의 안티오코스(기원전 5세기)에 따르면, 원래 이탈리아라는 명칭은 이탈리 사람들이 살던 칼라브리아 지방에만 쓰였다. 과거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가 도망친 소를 찾으러 시칠리아를 지나 칼라브리아 남부까지 왔다가 이곳에 살던 사람들이 그들의 언어로 소를 비툴루스라고 부르는 것을 보고 나중에 이곳을 추억하며 비툴리아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9] 이외에도 이곳을 통합하고 다스린 이탈루스 왕자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으며, 이곳 사람들이 수소에 대한 토테미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후 로마 제국이 이곳을 지배하게 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현 이탈리아의 북부 지방인 알파인 지역까지 포함한 반도 전체로 뜻이 확장되었고, 로마 제국이 기원전 1세기 무렵 사비네족, 삼니테족 등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부족들을 통칭하여 이탈리아인이라 표현하였다.

서로마 멸망 이후 이탈리아라는 이름은 지리적으로만 쓰이다가 리소르지멘토를 계기로 민족적 함의를 지니게 되었다. 1861년에 반도의 통일을 이루면서 국호로 이탈리아 왕국(Regno d'Italia)을 채택했다. 1948년에 공화국이 되어서도 이탈리아라는 국명을 유지하고 있다.

한자 음차 명칭은 이태리(伊太利)이다. 그 외에 이태리아(伊太利亜), 의대리(意大利, 義大利)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땐 '이'(伊) 라고 한다.

Emblem of Italy.svg.png | 국장

Emblem of Italy.svg.png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장

이탈리아의 국장은 1948년 5월 5일에 제정되었다.

이탈리아의 국장 국장 가운데에는 톱니바퀴가 그려져 있으며 톱니바퀴 위에는 빨간색 테를 두른 하얀 별이 그려져 있다. 국장 왼쪽을 올리브 가지가 감싸고 있으며 국장 오른쪽을 참나무 가지가 감싸고 있다. 국장 아래쪽에는 빨간색 리본이 올리브 가지와 참나무 가지를 묶고 있으며 리본에는 이탈리아의 공식 명칭인 "이탈리아 공화국"("REPVBBLICA ITALIANA")이 쓰여져 있다.

톱니바퀴는 노동자를 상징하며 별은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상징이다. 올리브 가지는 평화를, 참나무 가지는 이탈리아 국민의 역량과 존엄을 상징한다.

Emblem of Italy.svg.png | 국기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
16506410861146009869343387173178.jpg이탈리아 정부기.png
국기정부기

이탈리아의 국기는 녹색, 하양, 빨강의 세 가지 색으로 된 세로 삼색기(이탈리아어: Il Tricolore 일 트리콜로레)이다.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쓰였던 삼색기의 영향을 받아 1848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현재의 국기는 1948년에 제정되었다. 초록은 희망을, 하양은 신뢰를, 빨강은 사랑을 의미한다.

Emblem of Italy.svg.png | 이탈리아 지리

이탈리아 지리
이탈리아.알프스.jpg이탈리아.해안선.jpg
이탈리아 알프스이탈리아 바다

영토의 대부분은 지중해로 뻗은 장화 모양의 반도와 알프스 이남 평야, 시칠리아 섬과 사르데냐 섬으로 구성된다. 주변 바다를 부르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 북동쪽 이탈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 사이에 있는 바다를 아드리아 해라고 부르며, 아드리아 해의 남쪽이자 이탈리아 반도 남부와 시칠리아, 알바니아와 그리스 사이에 있는 바다를 이오니아 해라고 한다. 이탈리아 반도 서부에 있고, 사르데냐 섬과 프랑스의 코르시카 섬 사이에 있는 바다는 티레니아 해라고 한다. 코르시카 북쪽 및 이탈리아 북서부에 있는 바다는 리구리아 해라고 한다. 섬들을 포함하여 이탈리아는 8,000km가 넘는 해안선을 자랑한다.

한반도를 태백산맥이 관통하는 것처럼 이탈리아 반도 역시 아펜니노 산맥이 척추처럼 관통한다. 아펜니노 산맥은 북서쪽에서 알프스 산맥과 맞닿는다. 알프스 산맥은 북서쪽과 북쪽에서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을 형성한다. 이탈리아 북부에는 충적으로 형성된 거대한 포-베네치아 평원이 있어 물은 포강과 알프스 산맥, 아펜니노 산맥, 돌로미티 산맥 등에서 흘러내리는 수많은 지류로 흘러든다. 포 강 외에 잘 알려진 강에는 테베레강, 아디제강, 아르노강 등이 있다. 또한 가르다 호, 코모 호 등 빙하호가 발달되어 있다.

이탈리아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 중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의 경계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지진 위험 국가 중 하나이고 특히 중앙을 가로지르는 아펜니노 산맥을 중심으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큰 지진이 한 번 일어나면 그 지역은 많은 피해를 입는데 특히 이탈리아는 대부분 벽돌 건물이어서 규모에 비해서도 피해가 크다.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일본에 비해 규모는 다소 작지만 상대적으로 진원의 깊이가 더 얕아 진동이 극심한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규모만 놓고보면 대지진으로 보기 어려운 6점대 강진도 진도가 X~XI이고 사망자도 수 천~수 만을 상회한다. 아래의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역사적으로 숱한 지진과 화산 폭발로 인해 상당히 많은 규모의 희생자가 발생해 왔다. 그나마 조금 다행인 점은 이탈리아의 지진은 대개 시칠리아 섬과 아펜니노 산맥에서 발생해 로마, 피렌체, 밀라노 등 주요 대도시들은 지진 다발 지역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나폴리 정도를 제외한 이탈리아 주요 대도시들은 역사적으로 지진에 의한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거의 없다.

Emblem of Italy.svg.png | 인문 환경

Emblem of Italy.svg.png | 인구

Emblem of Italy.svg.png | 각주

  1. 오믈렛은 서비스 종료, 카카오톡은 운영이 안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