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본/정치: 두 판 사이의 차이

< 월본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4><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9E5E5><#002776> [[파일:Wubon flag.png|25px]] {{{+1 {{{#fff '''월본의 정부 조직'''}}}}}} ||
== 개요 ==
||<width=25%><#404E73> [[파일:월본 황실기.png|25px]][br][[월본 황실|{{{#fff {{{+1 '''월본 황실'''}}}}}}]] ||<width=25%><#404E73> [[파일:월본 국장(w).png|25px]][br][[월본 정부|{{{#fff {{{+1 '''월본 정부'''}}}}}}]] ||<width=25%><#404E73> [[파일:월본 의정원.png|25px]][br][[월본 의정원|{{{#fff {{{+1 '''월본 의정원'''}}}}}}]] ||<width=25%><#404E73> [[파일:월본 사판원.png|25px]][br][[월본 사판원|{{{#fff {{{+1 '''월본 사판원'''}}}}}}]] ||
월본은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국가원수로 천황이 존재하나 실권을 행사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국정을 실제로 전담하는 것은 정부수반인 [[월본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이다. 국회의사당은 300석 규모의 단원이며, 3개월마다 총선거를 통해 의원을 국민들이 선출하고 의원 중에서 내각총리대신 및 국무위원을 선출한다. 재판소는 독립적인 판관들로 구성되어 있는 사법부이다.


||<table width=100%><width=50%> [[파일:월본 마치본궁.png|350px]] || [[파일:월본 의정원 의회당.png|350px]] ||
== 천황 ==
|| '''월본 황실''' || '''월본 의정원''' ||
{{상세 내용|월본 황실}}<br>
|| [[파일:월본 내각총리관저.png|350px]] || [[파일:월본 사판원.png|350px]] ||
[[하로히토|천황]]이 군주로 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상징국황제가 적용된 헌법상 천황은 월본국의 국가원수라는 상징일뿐 어떠한 지위를 가지지 않는다.
|| '''월본 정부''' || '''월본 사판원''' ||


월본의 정부 구성은 2부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황실과 내각행정부가 투톱체제로 정부를 구성한다. 제 2정부 시절까지만 해도 어느 국가나 다름없이 3성이 독립된 주체로서 정부를 구성했으나 성숙하지 못한 체계가 퇴화를 야기시켜 효율적인 정부 구성을 위해 정부를 셧다운하여 재구성하였다.
== 삼권 ==
=== 입법 ===
{{본문|월본 국회}}


= 황실 =
=== 행정 ===
{{본문|월본 황실}}
{{월본/국가행정조직}}


황실 회의는 월본 정부의 단계를 넘어서 카페 관리 성격으로 회의가 구성된다. 천황이 주재하고 황족인원과 내각총리, 의정원장이 참석할수있다.
=== 사법 ===
{{상세 내용|월본/사법부}}


= 의정원 =
== 정당 ==
{{본문|월본 의정부}}
{{월본/원내정당}}
{{월본 의정원}}


'''의정원 (議政院)'''은 월본의 입법기관이다. 황실회의에서 청문회를 거쳐 선발된 의원에 한하여 의정원에 소속될수있다.
== 선거 ==
의정원장은 의정본회의를 주재하는 의장인데, 본회의에서 표결하여 선출한다. 의정원장이 의정원에서 제출하여 표결한 안건들을 취합해 황실 회의로 올려보낸다. 황실 회의에서 채택된 안건들은 의정원장이 등재한다.
{{월본/선거}}
== 지방자치제 ==


||<table align=center><-7> '''의정원의 구조''' ||
== 사건사고 ==
||<-7><#D5D5D5> ||
* 2019년 헌정위기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3><#D5D5D5> ||<-5> 황실 회의 ||<|3><#D5D5D5> ||
*: [[육성준/월본|육성준]], [[구창모]], [[민주우]], [[나카모토 사토시]] 등의 인사가 연루되었으며 [[혁명공산당]]이 내란을 기도하였던 2019년 2~3월 당시의 월본 국정 혼란 사태이다. 이 일로 인해 구창모, 민주우 등의 정치인들이 정계를 잠정 은퇴했으며 [[월본 긴급조치 2호|긴급조치 2호]]가 발동되어 [[혁명공산당]]이 반국가단체로 지정되었다.
|| 안건 표결 상정 ↗ || ↙ 안건 채택·등재 ||<#D5D5D5><width=50px> || 의원 검증 ↘ || ↖ 총리 참여 ||
* 월본-하나국 디자인 분쟁
|| 의정활동 ||<#D5D5D5><-3> || 의원 선출 ||
*: 2019년 11월 [[월본]]과 [[하나국]]간 글양식 등 디자인을 두고 "표절" 의혹 등 분쟁을 겪어 당시 [[월본민주당]]의 두 축이던 [[민주우]]와 [[한성훈]]이 불화로 결별했고 민주우 총리가 사퇴한 사건이다.
||<-7><#D5D5D5> ||
* 2021년 1월 헌정위기
*: 2021년 1월 우렉시트 이후 일어난 월본의 정국. 정국 주도권을 두고 가야계 인물들과 월본인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 사건이다. 1월 26일 종결되었다.
* [[제11대 월본 의원 총선거]] 부정선거 논란
*: [[한성훈]] 전 총리가 부정선거 논란에 연루된 사건이다.
* 2022년 헌정위기
*: 네이션즈 계열과 반대파간의 충돌로 발생된 사건이다.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문서 참고]], 한비자 등 일당이 Mirai 정부에 맞서 반정부 국가를 수립했고 국내 IT기업들의 지식재산권을 침탈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로인해 [[WBS]]와 [[현성전자]]에서 워터마크를 도입하기도 했다.
* [[2023년 월본 헌정위기|2023년 헌정위기]]
*: 선거 과정에서 창당되었던 육성준의 대한민국에 실존했던 정당의 상징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두고 [[사용자:Chen|첸]]의 과도한 개입에 반발하였고 후술할 무효소송 논란에 결국 첸이 천황에서 사퇴하고 사그렛이 친정을 한다. 그리고 Mirai가 제기한 [[제18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 무효소송을 두고 네션계과 반대파간의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아 국정이 마비되어 대위기를 맞았다.
* [[2024년 월본 헌정위기|2024년 헌정위기 ]]
*: 2023년 위기가 연결되어 사그렛 퇴임 후 [[채희]]를 황태자로 임명하여 황위를 계승하는 것을 두고 네션계가 절차상 위반이라며 양위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또 매니저 이양이 UVN에 가입하게 될 것이라며 정국이 혼란에 빠졌다.
** [[월본 6.18 테러]]
**: 사그렛 경비가 계정을 탈퇴하게 되면서 부매니저였던 [[마츠다 하루토라]]가 새로운 경비사령관으로 올랐는데 황실과 신흥 세력간의 차기 천황 줄다리기 끝에 부계정 논란으로 번지며 마츠다 경비가 월본의 종료를 선언하고 모두 탈퇴시키는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


== 같이보기 ==
{{월본 관련문서}}


= 월본 정부 =  
==주석==
{{본문|월본 정부}}


월본의 행정부를 의미한다. 총리를 중심으로 각 정부부서가 존재한다.
[[분류:월본]]
 
||<#404E73><-8><table width=100%> {{{#fff 월본 내각조직}}} ||
|| 총무성 || 외무성 || 재무성 || 방위성 || 경제산업성 || 문부과학성 || 후생노동성 || 국토해양성 ||
 
* 총무성
총무성은 내각총리 휘하 내각정부의 행정조직, 공무원제, 선거제, 소방방재, 정보통신, 통계 등 국가 기반시설과 기본구조체를 다룬다. 국민의 경제 · 사회를 관여하는 내각의 기본 행정기능을 담당한다.
* 외무성
외무성은 월본의 대(對)국가 외교정책, 국제협약, 대외교류, 외국정부와 교섭, 재외 월본인의 보호 등 월본의 대외관계에 대한 기능을 담당한다.
* 재무성
재무성은 월본의 국가 재정관리, 예산 집행 및 편성 등 재정환경 기능을 담당한다.
* 방위성
[[월본 방위대]]의 통수권자인 내각총리의 보조부서로 방위대의 행정적 기능을 담당한다.
* 경제산업성
월본의 기업분야, 경제분야에 대한 행정 기능을 담당한다.
* 문부과학성
관광특구, 관광객유치, 정부 관광국 등 행사나 축제등 문화적 기능을 담당한다.
* 후생노동성
보건 · 복지, 전염병 관리 등 보건분야와 국민의 생활 전반, 근로 · 노동 분야
* 국토해양성
국토설정과 관리 등 행정적 기능을 담당한다.
 
 
= 사판원 =
{{본문|사판원}}
 
'''사판원 (司判院)'''은 월본의 사법기관이다. 사법성으로 독립되지 않고 황실과 내각, 의정원장이 모여 카페 내규에 따라 처분한다.
 
= 같이보기 =
* 상위 문서 : [[월본]]
* 하위 문서 : [[월본 황실]], [[월본 정부]], [[월본 의정원]], [[사판원|월본 사판원]]

2024년 12월 23일 (월) 21:08 기준 최신판

개요

월본은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국가원수로 천황이 존재하나 실권을 행사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국정을 실제로 전담하는 것은 정부수반인 내각총리대신이다. 국회의사당은 300석 규모의 단원이며, 3개월마다 총선거를 통해 의원을 국민들이 선출하고 의원 중에서 내각총리대신 및 국무위원을 선출한다. 재판소는 독립적인 판관들로 구성되어 있는 사법부이다.

천황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월본 황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천황이 군주로 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상징국황제가 적용된 헌법상 천황은 월본국의 국가원수라는 상징일뿐 어떠한 지위를 가지지 않는다.

삼권

입법

행정

월본국 정부 문장 금색.png 월본의 국가행정조직
내각부 국무성 법무성 경제성
궁내청 공안위원회
금융청 공정거래위원회
소방청 경찰청
분쟁조정위 보훈청
체신청
검찰청 공안심사위원회
출입국관리청 공안조사청
국세청 통계청
특허청 중소기업청
사회성 국토성 방위성
문화청 스포츠청
근로노동청 질병관리청
의약품청
관광청 기상청
해상보안청
방위장비청 병무청

사법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월본/사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당

월본 국회의사당 화이트.png 월본 원내구성 정당
여당
월본사회당 화이트.png
124석
야당
자유민주당 3기.png
291석
월본진보당 화이트.png
65석
재적의원 480석

선거

투표.png 월본의 주요 선거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국회의원 선거 22대
2024년 11월
23대
2025년 5월
역대 국회의원 선거
단원제 (1대2대3대4대5대6대7대8대9대10대11대12대13대14대15대)
양원제 (16대17대18대19대)・20대21대22대
총리 선거 4대
2019년 2월
미실시
역대 총리 선거
1대2대3대4대
전국동시지방선거 2대
2019년 2월
4대
2025년 1월
역대 지방선거
1대2대4대

지방자치제

사건사고

  • 2019년 헌정위기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육성준, 구창모, 민주우, 나카모토 사토시 등의 인사가 연루되었으며 혁명공산당이 내란을 기도하였던 2019년 2~3월 당시의 월본 국정 혼란 사태이다. 이 일로 인해 구창모, 민주우 등의 정치인들이 정계를 잠정 은퇴했으며 긴급조치 2호가 발동되어 혁명공산당이 반국가단체로 지정되었다.
  • 월본-하나국 디자인 분쟁
    2019년 11월 월본하나국간 글양식 등 디자인을 두고 "표절" 의혹 등 분쟁을 겪어 당시 월본민주당의 두 축이던 민주우한성훈이 불화로 결별했고 민주우 총리가 사퇴한 사건이다.
  • 2021년 1월 헌정위기
    2021년 1월 우렉시트 이후 일어난 월본의 정국. 정국 주도권을 두고 가야계 인물들과 월본인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 사건이다. 1월 26일 종결되었다.
  • 제11대 월본 의원 총선거 부정선거 논란
    한성훈 전 총리가 부정선거 논란에 연루된 사건이다.
  • 2022년 헌정위기
    네이션즈 계열과 반대파간의 충돌로 발생된 사건이다. 문서 참고, 한비자 등 일당이 Mirai 정부에 맞서 반정부 국가를 수립했고 국내 IT기업들의 지식재산권을 침탈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로인해 WBS현성전자에서 워터마크를 도입하기도 했다.
  • 2023년 헌정위기
    선거 과정에서 창당되었던 육성준의 대한민국에 실존했던 정당의 상징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두고 의 과도한 개입에 반발하였고 후술할 무효소송 논란에 결국 첸이 천황에서 사퇴하고 사그렛이 친정을 한다. 그리고 Mirai가 제기한 18대 총선 무효소송을 두고 네션계과 반대파간의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아 국정이 마비되어 대위기를 맞았다.
  • 2024년 헌정위기
    2023년 위기가 연결되어 사그렛 퇴임 후 채희를 황태자로 임명하여 황위를 계승하는 것을 두고 네션계가 절차상 위반이라며 양위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또 매니저 이양이 UVN에 가입하게 될 것이라며 정국이 혼란에 빠졌다.
    • 월본 6.18 테러
      사그렛 경비가 계정을 탈퇴하게 되면서 부매니저였던 마츠다 하루토라가 새로운 경비사령관으로 올랐는데 황실과 신흥 세력간의 차기 천황 줄다리기 끝에 부계정 논란으로 번지며 마츠다 경비가 월본의 종료를 선언하고 모두 탈퇴시키는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

같이보기

월본 월본 관련문서
역사 지리 정치 외교
경제 기업 방위대 스포츠
교통 인물 문화 관광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