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도 | 정부 | 사건이름 | 관련인 | ||
---|---|---|---|---|---|
2018년 5월 | 구창모 정부 | 앨런, 하늘미르 등 서구와 외교마찰 | 구창모, 앨런, 하늘미르 | ||
2018년 9월 | 모창민 정부 | 대한국의 군사 도발 | 모창민, 대한국 (한비자, 이원 황제) | ||
2019년 2월-3월 | 민주우 정부 | 구창모 게이트 | 구창모, 포장 | ||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 혁명공산당 (나카모토 사토시, 멘체스터 등) | ||||
2019년 9월 | 전영록 정부 | 청아그룹 퇴출 사건 | 리한, 청아, 전영록 정부 | ||
2019년 10월 | 리한 사태 | 리한그룹 (리한) | |||
2019년 11월 | 민주우 정부 | 하나국 디자인 분쟁 | 민주우, 장현 | ||
2021년 1월 | 이맹박 정부 | 월본의 가상국제연합 탈퇴 | 이맹박, 가상국제연합 | ||
2021년 1월 | 구창모 권한대행 | 월본사회주의연방 사건 | 나의재, 문대성, 전영록 | ||
2022년 1월 | Mirai 정부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건 | 전월본공산당 (한비자, 까마귀, 한유 등) | ||
2023년 2월 | 다카기 그네 정부 | 2023년 월본 헌정위기 | 육성준, 다카기 그네, 박헌희, 윤건희, 세이시로 등 | ||
2024년 6월 |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 마츠다 하루토라, 에지스, 구창모, 수보, 미라이 등 | ||
6.18 테러 | 마츠다 하루토라, 타츠바나 요쿠온 등 | ||||
2025년 1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 월본 정부와 기업 간 충돌 사태 | 대한청아, 시나노, 경제특수본, 사법부 | ||
2025년 5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비상사태 파동 | 아사모토 강치, 하로히토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사건은 2024년 2월부터 6월까지 이어진 정치 파동을 말한다.
상세
앞서 첸(* 당시 마루하시 천황)이 2023년 정치사범 진압 논란으로 은퇴를 시사하면서 후임 주자로 '사그렛'이 위임을 받았으나 그는 국내외 운영 미숙 등을 사유로 '채희'를 황태자로 임명해 채희에게 다시 위임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었다. 그러나 절차상 하자와 가국련 재가입이 가시화 되면서 여론의 비난이 쇄도하자 사그렛이 위임도중 돌연 계정을 삭제했다. 때문에 채희로의 위임절차가 중단되었고 당시 부매니저인 총리 마츠다 하루토라가 '전자정부 경비' 체제로 매니저 권한을 넘겨 받게 된다. 한때 채희 황태자 양위금지 소송을 비롯하여 가상국가 다자 세력간 다툼으로 번지는 양상이 되면서 사건이 격화되었다. 총선거도 진행이 되었으나 천황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회 개원이나 총리 임명 등 국정을 운영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최고재판소장 임기 논란과, 사회민주연합 전당대회 부정선거 논란, 윤교익 검찰총장의 국가보안법 위반 등등 소송이 벌어지며 대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급기야 경제인들과 시민단체가 직접 목소리를 내었고 결국 마츠다 경비는 계엄을 선포하고 추밀원을 소집, 천황을 옹립하는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마츠다 하루토라의 618 테러

시민단체는 월본의 국부인 에지스가 황실을 다시 세우는 것에 힘을 실어 주었고, 에지스가 차기 매니저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입헌민정회의 타츠바나 요쿠온이 마츠다 하루토라와 접촉하여 황실과 국회를 불신했고 결국 공수부대를 이끌고 국회를 점거, 황실을 포위했다. 첸과 마츠다 하루토라, Mirai와 3자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Mirai는 끝내 첸을 불신하면서 결국 파탄에 이르렀다. 250여명의 카페 회원이 마츠다 하루토라 본인[1]를 제외하고 2024년 6월 18일 새벽 모든 인원이 재가입 불가 강제탈퇴 되었다.[2] 하지만 날이 트고 사람들이 소식을 듣게 되면서 항의와 반발 시위를 했고 첨관에 넘어가 임시정부를 구성하게 이르렀다. 결국 오후 7시가 되어서 철군하고 매니저 권한을 에지스에게 반납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로써 대혼란의 헤이와 시대는 막을 내렸고 레이카 시대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