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도 | 정부 | 사건이름 | 관련인 | ||
---|---|---|---|---|---|
2018년 5월 | 구창모 정부 | 앨런, 하늘미르 등 서구와 외교마찰 | 구창모, 앨런, 하늘미르 | ||
2018년 9월 | 모창민 정부 | 대한국의 군사 도발 | 모창민, 대한국 (한비자, 이원 황제) | ||
2019년 2월-3월 | 민주우 정부 | 구창모 게이트 | 구창모, 포장 | ||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 혁명공산당 (나카모토 사토시, 멘체스터 등) | ||||
2019년 9월 | 전영록 정부 | 청아그룹 퇴출 사건 | 리한, 청아, 전영록 정부 | ||
2019년 10월 | 리한 사태 | 리한그룹 (리한) | |||
2019년 11월 | 민주우 정부 | 하나국 디자인 분쟁 | 민주우, 장현 | ||
2021년 1월 | 이맹박 정부 | 월본의 가상국제연합 탈퇴 | 이맹박, 가상국제연합 | ||
2021년 1월 | 구창모 권한대행 | 월본사회주의연방 사건 | 나의재, 문대성, 전영록 | ||
2022년 1월 | Mirai 정부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건 | 전월본공산당 (한비자, 까마귀, 한유 등) | ||
2023년 2월 | 다카기 그네 정부 | 2023년 월본 헌정위기 | 육성준, 다카기 그네, 박헌희, 윤건희, 세이시로 등 | ||
2024년 6월 |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 마츠다 하루토라, 에지스, 구창모, 수보, 미라이 등 | ||
6.18 테러 | 마츠다 하루토라, 타츠바나 요쿠온 등 | ||||
2025년 1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 월본 정부와 기업 간 충돌 사태 | 대한청아, 시나노, 경제특수본, 사법부 | ||
2025년 5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비상사태 파동 | 아사모토 강치, 하로히토 |
2021년 10월 21일 경 발생한 사건으로, 산원시에 위치한 '영지(領地)'를 이용해 국가적 단계에 대적하는 시스템을 스스로 만들어 국가참칭단체의 결성 혐의를 받고 있다. 주동자는 청아그룹 사건에서의 스텔라(리한)이다. 사건 이후 여야를 막론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의 반향을 일으켜 세웠으며 당사자가 출국하면서 관련 글들을 삭제하여 훼손했다. 이 사건의 영향으로 월본의 귀족 시스템이 폐지되고 리한그룹과 관련한 백학그룹은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상황
게시글의 대다수가 삭제되어 남아있는 자료 중 가장 먼저인것은 전영록 총리의 입장문"마음대로 하라"이다. 이어 한시간여 뒤 이승배의 게시글#에서 당시 상황을 볼 수 있다.
시작은 리한그룹이 받은 '영지(領地)'에 대규모 택지를 조성하고 초국가적 군대 수준의 사설 경비를 결성하고 준국가체제로 월본정부에 허가를 요청한 것이다. 부여받은 '영지'부터가 토지개발에 있어서 일반적 주거지, 상업지역을 개발하는 것이 보통이나 특별한 계시를 받은 것인냥 홍보하는 바람에 여론의 반응은 싸늘했고, 그 후 점차 비정상적인 계획을 내놓기 시작한다. 택지조성을 시작으로 간단한 리산성이라는 성을 꾸미고, 자치권을 스스로 부여해 '○○성'[1]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고 한다.[2][3]# 또, '특별자치구'와 '청' 표현도 등장했다.# 전영록 정부는 "자치령 선포하고 영지니 준국가니 만들어서 깽판치는" 리한그룹의 리산성 개발을 즉각 중단하라며 퇴출을 명령했다. 이에 리한그룹은 정부를 규탄한다.
반응
정부
정계
경제계
- 리한그룹 내부
언론
후속
한달뒤 11월, 제14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의 방송채팅후보자 토론회에서 위 사건에 대해 여야 정치권의 재발방지 목소리가 나왔다. 결국 자유민주당이 월본유신회에 패해 정권교체를 당했다. 리한그룹과도 관계가 있었던 장미그룹에 소속한 WBC의 보도가 편파적이고 여론몰이한다며 WBC 사태까지 번졌다.
관련문서
각주
- ↑ 외무성, 국방성 등 정부기관에 사용하는 '-성'을 말한다.
- ↑ "공식적으로 땅을 구매"하여 리산성을 꾸린 것이다. 또한 치안에 경우는 아파트 경비실 제도와 다를 바 없다. 경비실에서는 아파트의 치안을 담당하는데, 그것을 조금 넓히면 리산성 치안 제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청이라는 명칭의 경우 월본 법에서 "청"은 정부기관만 쓸 수 있다 라는 조항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라고 반박했다.
- ↑ 정부기관과 혼동하는 명칭인 '○○성'을 쓰지 못하게 하는 것에 반박으로 "현실의 경우 "OO사업부" 등의 명칭은 "OO부 (ex. 국토교통부)" 등의 명칭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것인가?"라며 반박했다.
- ↑ 리한그룹의 계열사이므로 물적 관련이 깊은 관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