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도 | 정부 | 사건이름 | 관련인 | ||
---|---|---|---|---|---|
2018년 5월 | 구창모 정부 | 앨런, 하늘미르 등 서구와 외교마찰 | 구창모, 앨런, 하늘미르 | ||
2018년 9월 | 모창민 정부 | 대한국의 군사 도발 | 모창민, 대한국 (한비자, 이원 황제) | ||
2019년 2월-3월 | 민주우 정부 | 구창모 게이트 | 구창모, 포장 | ||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 혁명공산당 (나카모토 사토시, 멘체스터 등) | ||||
2019년 9월 | 전영록 정부 | 청아그룹 퇴출 사건 | 리한, 청아, 전영록 정부 | ||
2019년 10월 | 리한 사태 | 리한그룹 (리한) | |||
2019년 11월 | 민주우 정부 | 하나국 디자인 분쟁 | 민주우, 장현 | ||
2021년 1월 | 이맹박 정부 | 월본의 가상국제연합 탈퇴 | 이맹박, 가상국제연합 | ||
2021년 1월 | 구창모 권한대행 | 월본사회주의연방 사건 | 나의재, 문대성, 전영록 | ||
2022년 1월 | Mirai 정부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건 | 전월본공산당 (한비자, 까마귀, 한유 등) | ||
2023년 2월 | 다카기 그네 정부 | 2023년 월본 헌정위기 | 육성준, 다카기 그네, 박헌희, 윤건희, 세이시로 등 | ||
2024년 6월 |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 마츠다 하루토라, 에지스, 구창모, 수보, 미라이 등 | ||
6.18 테러 | 마츠다 하루토라, 타츠바나 요쿠온 등 | ||||
2025년 1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 월본 정부와 기업 간 충돌 사태 | 대한청아, 시나노, 경제특수본, 사법부 | ||
2025년 5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비상사태 파동 | 아사모토 강치, 하로히토 |
대한국 군사 도발 | |||||||
---|---|---|---|---|---|---|---|
![]() | |||||||
기간 | 2018년 9월 22일 | ||||||
장소 | 동해 | ||||||
|
개요
대한국의 군사 도발 사건은 2018년 9월 22일 동해상에서 대한국이 대한국의 제1,2상비함대의 함대를 동원하여 무력 시위한 사건이다. 군사 도발에 앞서 '영상'이라는 지휘권자가 군사 행동을 직접 명령하였으며 월본에는 따로 통보하거나 선전포고하지 않았다. 발생 후 월본의 방위군은 초계함과 고속정을 급파해 경고 사격을 실시했고 별다른 충돌 없이 물러갔다.
대한국 측이 밝힌 원인
대한국 측에서는 이 도발을 감행한 이유가 "월본 측에서 대한국에 대한 모욕"이라는 이유를 들어 군 자원을 동원해 도발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월본과 대한국은 당시에 세계관을 공동으로 구축하지 않아 서로 만나지 않는 세계관일 뿐더러 당시 월본은 일본이 아니라 마리아나 해구 인근에 위치한 가상섬이라는 설정이었으므로 대한국의 도발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도발'의 메시지가 분명함으로 외교적 결례를 저지른 것이다.
이후
대한국 영의정 한비자는 "월본과 회담 가능성이 보인다", "모창민 총리를 양국관계 발전과 경제협력, 새로운 관계로 재 정립되면서 우방으로서의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수원 화성행궁으로 모창민 월본총리각하를 초청합니다." 라며 태세를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