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includeonly>{{정보상자 | 전체속성 = biography vcard | 전체모양 = font-size:9pt | 제목 = {{#if:{{{이름|{{{name|}}}}}}|{{{이름|{{{name|}}}}}}|{{PAGENAME}}}}{{#if:{...)
 
 
(사용자 25명의 중간 판 29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cludeonly>{{정보상자 | 전체속성 = biography vcard | 전체모양 = font-size:9pt | 제목 = {{#if:{{{이름|{{{name|}}}}}}|{{{이름|{{{name|}}}}}}|{{PAGENAME}}}}{{#if:{{{원어이름|}}}|<br /><div style="color:gray;font-size:80%">{{{원어이름|}}}</div>}} | 제목속성 = fn summary | 제목모양 = text-align:center; font-size:125%; | 그림 = {{#if:{{{그림|{{{사진|{{{image|}}}}}}}}}|[[파일:{{{그림|{{{사진|{{{image|}}}}}}}}}|{{#if:{{{크기|{{{그림크기|{{{image_size|{{{imagesize|}}}}}}}}}}}}|{{{크기|{{{그림크기|{{{image_size|{{{imagesize|}}}}}}}}}}}}|225px}}|alt={{{툴팁|{{{그림툴팁|{{{alt|}}}}}}}}}]]}} | 그림속성 = {{{그림|{{{사진|{{{image|}}}}}}}}} | 그림설명 = <div style="padding-top:2pt;">{{{설명|{{{그림설명|{{{caption|{{{image_caption|}}}}}}}}}}}}</div> | 항목1 = 본명 | 내용1 = {{{본명|{{{출생명|{{{birth_name|}}}}}}}}} | 항목2 = {{#if:{{{출생일|{{{birth_date|}}}}}}{{{출생지|{{{birth_place|}}}}}}|출생}} | 내용2 = {{#if:{{{출생일|{{{birth_date|}}}}}}|{{{출생일|{{{birth_date|}}}}}}<br />}}{{{출생지|{{{birth_place|}}}}}} | 항목3 = {{#if:{{{사망일|{{{death_date|}}}}}}{{{사망지|{{{death_place|}}}}}}|사망}} | 내용3 = {{#if:{{{사망일|{{{death_date|}}}}}}|{{{사망일|{{{death_date|}}}}}}<br />}}{{{사망지|{{{death_place|}}}}}} | 항목4 = 사인 | 내용4 = {{{사망원인|{{{death_cause|}}}}}} | 항목5 = 발견지 | 내용5 = {{{발견지|{{{body_discovered|}}}}}} | 속성6 = lable | 항목6 = 매장지 | 내용6 = {{{매장지|{{{resting_place|{{{restingplace|}}}}}}}}}{{#if:{{{매장지좌표|{{{resting_place_coordinates|}}}}}}|<br />{{{매장지좌표|{{{resting_place_coordinates|}}}}}} }} | 속성7 = lable | 항목7 = 거주지 | 내용7 = {{{거주지|{{{residence|}}}}}} | 속성8 = category | 항목8 = 국적 | 내용8 = {{{국적|{{{국가|{{{nationality|}}}}}}}}} | 속성9 = category | 항목9 = 민족 | 내용9 = {{{민족|{{{ethnicity|}}}}}} | 속성10 = category | 항목10 = 시민권 | 내용10 = {{{시민권|{{{citizenship|}}}}}} | 항목11 = 본관 | 내용11 = {{{본관|{{{family clan|}}}}}} | 속성12 = nickname | 항목12 = 별칭 | 내용12 = {{{별명|{{{별칭|{{{other_names|{{{othername|{{{alias|}}}}}}}}}}}}}}} | 항목13 = 학력 | 내용13 = {{{대학|{{{모교|{{{학력|{{{alma_mater|}}}}}}}}}}}} | 항목14 = 경력 | 내용14 = {{{경력|{{{업적|{{{유명|{{{known_for|}}}}}}}}}}}} | 속성15 = role | 항목15 = 직업 | 내용15 = {{{직업|{{{occupation|{{{profession|}}}}}}}}} | 항목16 = 활동 기간 | 내용16 = {{{활동기간|{{{years_active|{{{yearsactive|}}}}}}}}} | 항목17 = 고용주 | 내용17 = {{{고용주|{{{employer|}}}}}} | 항목18 = 소속 | 내용18 = {{{소속|{{{organization|{{{organizations|}}}}}}}}} | 항목19 = 현직 | 내용19 = {{{현직|}}} | 항목20 = 전직 | 내용20 = {{{전직|}}} | 항목21 = 봉급 | 내용21 = {{{봉급|{{{salary|}}}}}} | 항목22 = 순자산 | 내용22 = {{{순자산|{{{net_worth|{{{networth|}}}}}}}}} | 항목23 = 작위 | 내용23 = {{{작위|{{{Peerage|}}}}}} | 항목24 = 칭호 | 내용24 = {{{칭호|{{{title|}}}}}} | 항목25 = 칭호 기간 | 내용25 = {{{기간|{{{칭호기간|{{{term|}}}}}}}}} | 항목26 = 전임자 | 내용26 = {{{전임자|{{{predecessor|}}}}}} | 항목27 = 후임자 | 내용27 = {{{후임자|{{{successor|}}}}}} | 항목28 = 정당 | 내용28 = {{{정당|{{{party|}}}}}} | 항목29 = 적수 | 내용29 = {{{적수|{{{opponents|}}}}}} | 항목30 = 위원 | 내용30 = {{{위원|{{{boards|}}}}}} | 항목31 = 종교 | 내용31 = {{{종교|{{{religion|}}}}}} | 항목32 = 키 | 내용32 = {{{키|{{{신장|}}}}}} | 항목33 = 몸무게 | 내용33 = {{{몸무게|{{{체중|}}}}}} | 항목34 = 모색 | 내용34 = {{{모색|{{{머리색깔|}}}}}} | 항목35 = 눈 색깔 | 내용35 = {{{눈 색깔|{{{눈색깔|}}}}}} | 항목36 = 신체 사이즈 | 내용36 = {{{신체사이즈|{{{쓰리사이즈|}}}}}} | 항목37 = 드레스 사이즈 | 내용37 = {{{드레스사이즈|{{{드레스 사이즈|}}}}}} | 항목38 = 부모 | 내용38 = {{{부모|{{{parents|}}}}}} | 항목39 = 형제 | 내용39 = {{{형제|{{{family|}}}}}} | 항목40 = 배우자 | 내용40 = {{{배우자|{{{spouse|}}}}}} | 항목41 = 자녀 | 내용41 = {{{자녀|{{{children|}}}}}} | 항목42 = 동거인 | 내용42 = {{{동거인|{{{연인|{{{partner|}}}}}}}}} | 항목43 = 가족 | 내용43 = {{{가족|{{{family|}}}}}} | 항목44= 친척 | 내용44 = {{{친척|{{{relations|{{{relatives|}}}}}}}}} | 항목45 = 등단 | 내용45 = {{{등단|}}} | 항목46 = 병역 | 내용46 = {{{병역|{{{army|}}}}}} | 항목47 = 상훈 | 내용47 = {{{상훈|{{{수상|{{{awards|}}}}}}}}} | 항목48 = 호출부호 | 내용48 = {{{호출부호|{{{callsign|}}}}}} | 항목49 = {{{모듈|{{{module|}}}}}} | 내용49 = {{{모듈2|{{{module2|}}}}}} | 항목50 = {{#if:{{{서명|{{{signature|}}}}}}|서명}} | 내용50 = {{#if:{{{서명|{{{signature|}}}}}}|<div style="padding-top:0.3em;">[[파일:{{{서명|{{{signature|}}}}}}|128px]]</div>}} | 항목51 = 관련 활동 | 내용51 = {{{관련활동|}}} | 항목52 = 각주 | 내용52 = {{#if:{{{각주|{{{footnotes|}}}}}}|<div style="text-align:left;"><div style="border-top:1px solid;">각주</div><div style="line-height:1.2em;">{{{각주|{{{footnotes|}}}}}}</div></div>}} | 항목53 = 기타 | 내용53 = {{{기타|{{{misc|}}}}}} | 항목54 = 웹사이트 | 내용54 = {{{웹사이트|{{{사이트|{{{website|}}}}}}}}} | 항목55 = 활동 영역 | 내용55 = {{{활동영역|{{{활동 영역|}}}}}} </includeonly>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익스테딕 공화국 운영진}}
{{익스테딕운영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B5343A;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1479E, #41479E 20%, #41479E 80%, #41479E)" |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br>{{글씨 크기|14|}}<br>十 | Ten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텐.png]]</div>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입문
| [[2017년]] [[9월 1일]]<ref>텐의 가상국가 시작일 즉, 그의 첫 가상국가 마민공 건국일을 입문일로 잡았다.</ref>
|-
| [[마인민주공화국|마인민주공화국 개주시]]<ref>가상이며, 이곳은 [[마인민주공화국]]의 시작이 된 수도 지역이다.</ref>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거주지
| [[익스테딕 5공화국|북양도 태원시 자안동 북원해안로 3길 11]]<ref>이전에는 [[평천특별시]] [[중구]] 공항동 거주로 표기했었으나, 2024년부터는 태원시에 거주하며 제2의 고향으로 삼고 있다.</ref><ref>가상 또다른 말론 RP</ref>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국적 <ref>다른 국적들도 더 존재하며, 여담에 표기될 예정이다.</ref>
| [[파일:익스테딕국기.svg|23px|border]] '''[[익스테딕 5공화국]]'''<ref>현재 국적 보유중.</ref><ref>2022년 9월 11일 가국 은퇴로 인해 대한민국(크윈), 익스테딕 공화국의 국적이 파기되었다. 예외적으로, [[바이에른 대공국]] 국적은 멸망 며칠 전 쯤 [[2022년 8월 바이에른 대공국 총선 부정선거 사태]]로 촉발된 양국간 단교로 인해 파기되었다. 이로써 2022년 9월 11일 이후부터는 아무 국적이 없었으나 이후 여러 국가를 만들며 여러 국적을 거쳐 2023년 7월 30일 익스테딕 2기가 시작되며 국적을 다시 얻었다. 그리고 10월에는 영국연방의 국적을 취득하기도 하는 등 일부 타 국가에서도 활동중이다. 그리고 2023년 12월 3일 익스테딕 방폭으로 인하여 국적은 없어졌다. 그런데 슈티르너 정부가 영구 입국금지를 해버리며 사실상 강제 파기가 되었다. 다만 정통 후계국은 아니다. 그래서 익스테딕 4공화국에서의 국적 취득을 준비중.</ref>[br][[파일:익스테딕국기.svg|23px|border]]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ref>2024년 3월에 국적이 사라졌으나, 2025년 2월에 재취득했다.</ref>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현직
|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br>익스테딕 늘푸른민주당 당대표<br>익스테딕 제28대 삼주광역시•동평도•영평광역시•남천도 국회의원<br>익스테딕 제28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
! rowspan="4"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재임기간
| style="background: #F5F5F5;" | 익스테딕 공화국 운영자 <ref>2025년 3월 기준 익스테딕 5공화국 체제.</ref>
|-
| 2021년 10월 15일 ~ 현재
|-
| style="background: #F5F5F5;" | 익스테딕 공화국 제28대 국회의원
|-
| 2025년 2월 25일 ~ 현재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oonjm"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 auto; padding: 6px -1px 11px; padding-left: 7px; width: 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none;"><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yoonjm"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margin-top: -1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41479E; color: #FFF;" | 본관
| 평천 접씨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부모
| 아버지, 어머니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형제자매
| 없음<ref>외동이다.</ref>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학력
| 향서초등학교 {{글씨 크기|8.5|(졸업)}}<br>평강중학교 {{글씨 크기|8.5|(졸업)}}<br><span class="plainlinks">용원고등학교</span> {{글씨 크기|8.5|(졸업)}}<br>[[평천대학교]] {{글씨 크기|8.5|(국제정치학 / 박사)}}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종교
| [[무종교]] {{글씨 크기|8.5|([[불가지론]])}}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소속 정당
| {{늘푸른민주당}} <small>(익5공)</small> <br>{{익스테딕 휘그당}} <small>(유익스)</small>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병역
| 명목상 : 해당사항 없음.<ref>익스테딕 기준.</ref><br>
실질적 : 병역준비역 편입 <ref>현실 대한민국 기준으로, 2025년 2월 병역준비역에 편입되어 있다.</ref>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경력
| [[익스테딕 공화국]] 운영자<ref>[[익스테딕 운영자 텐 계정 분실 사태]] 이후 복귀 불가 판정을 받고, 익스테딕 제 2 공화국 출범으로 운영자직을 상실함. 그리고 이후 방폭이 일어나며 다시 전 운영자가 됨.</ref>[br]대한민국 부산광역시장<ref>가국 은퇴로 인한 사실상 중도 사퇴</ref>[br][[바이에른 대공국]] 국가의회의원<ref>제1·2대(재선), [[2022년 7월 바이에른 대공국 국가의회의원 재선거|2022년 7월 재선]] 당선</ref><br>[[그리시에 공화국]] 운영자<br>[[익스테딕 공화국]] 제19대 대통령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별명
| 텐텐<ref>해당 별명이 너무나 압도적인 상황이다. --그리고 다른 별명이 없기도 하고...--</ref>, [[텐동]]<ref>2024년까지만 해도 자주 쓰였으나, 2025년 들어 사용이 전무해졌다.</ref>, 텐하흐<ref>실제로 [[맨유 공화국]] 에서는 해당 닉네임을 사용했었다.</ref>, [[할방구]]<ref>[[레고 (가상국가 유저)|레고]]가 주로 사용한다.</ref>, [[텐시장]]<ref>텐의 정체가 텐시장이 아니냐며 우스갯소리로 연래행사 마냥 항상 나오는 말.</ref>, --텐두과자--<ref>[[은하예|내란범]]이 만든 별명이기에 제외</ref>, 핵텐두, 텐핵, 개텐<ref>해당  별명의 경우, 안 좋은 의미로도 쓰이고 장난 식으로도 사용된다. 다만 낙괴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며 안 좋은 의미쪽으로 더 기울었다.</ref>, 망텐<ref>개텐과 비슷하게 쓰인다.</ref>, 텐천지<ref>텐 + 신천지의 합성어. 텐이 운영하는 마인크래프트 서버에는 텐동교회 혹은 텐텐교회가 매번 지어지는데 텐을 목사로 세우고 텐을 중심으로 이상한 가르침을 하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하기에 이러한 별명 겸 용어가 생겼다.</ref>, 텐시, 텐버린, 글루텐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상훈
| 익스테딕 공화국 건국훈장<ref>국민의 정부([[빅파이]] 대통령) 시절 주어졌다.</ref><br>센타크 훈장<ref>2021년 4월 수여받았다.</ref><br>[[틀:글로리오사 대훈장|글로리오사 대훈장]]<ref>해당 훈장은 전현직 대통령이 받는 훈장이므로, 자동적으로 익스테딕 4공화국 19대 대통령 자격으로 수여받았다.</ref>
|-
|}</div></div>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B5343A;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style="background: #B5343A;" | <div style="margin: -5px -9px -6px;">[[파일:텐 공식 프로필.PNG]]</div>
|-
! style="background: #41479E; color: #fff;" | 공식 초상화
|-
|}
{{목차}}
 
==개요==
'''텐'''은 [[카카오톡 가상국가]] '''[[익스테딕 공화국]]''' <ref>익스테딕 1공화국부터 4공화국까지를 의미한다.</ref> 전 운영자, [[밴드 가상국가]] '''[[익스테딕 5공화국]]'''의 현 운영자이자, 해외 정치인<ref>[[브라반트 공화국]] [[브라반트 미래민주당|미래민주당]] 대표</ref>이었던 사람이다. 2025년 3월 4일 기준으로 현재는 [[텐텐마을]]과 [[익스테딕 5공화국]], 그리고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노르웨이]]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다.<ref>익스테딕 5공화국과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이 주 활동지이다.</ref><ref>정치 활동도 하고 있다.</ref>
 
==약력==
[[익스테딕 공화국]] 이전에도 다수의 서버계 가상 국가와 [[카카오톡 가상국가]], [[밴드 가상국가]]를 운영하였다. 또 [[디스코드 가상국가]]를 운영하기도 했다. [[오믈렛 가상국가]]나 [[카페 가상국가]]에도 도전했었다. [[유튜브 가상국가]]도 도전했지만, --거의 실패했다.--
 
2017.9 ~ 2019.9 마인민주공화국 운영자<br>
2019.9 ~ 2019.12 마인사회주의공화국 운영자<br>
2019.12 ~ 2020.5 마인민주연방공화국 운영자<br>
2020.5 ~ 2020.7 중앙공화국 운영자<br>
2020.7 ~ 2020.10 시엔민주공화국 운영자<br>
2020.11 ~ 2020.11 추여공화국 운영자<br>
2020.12 ~ 2020.12 렐킷공화국 운영자<br>
2020.12 ~ 2021.2 크프민주공화국 운영자<br>
2021.2 ~ 2021.2 체코 공화국 운영자<br>
2021.2 ~ 2021.3 해피 공화국 운영자<br>
2021.3 ~ 2021.3 퍼니 공화국 운영자<br>
2021.3 ~ 2021.4 신해피 공화국 운영자<br>
2021.4 ~ 2021.6 올믹 공화국 운영자<br>
2021.6 ~ 2021.6 트라뉴퍼 공화국 운영자<br>
2021.6 ~ 2021.7 S.S.B.R 공화국 운영자<br>
2021.7 ~ 2021.10 옴렛픽 공화국 운영자<br>
2021.10 ~ 2022.9 익스테딕 1공화국 운영자<br>
2023.1 ~ 2023.5 그리시에 1공화국 운영자<br>
2023.5 ~ 2023.5 그리시에 2공화국 운영자<br>
2023.5 ~ 2023.5 신서버연합공화국 운영자<br>
2023.5 ~ 2023.5 피렌티스 제국(1기) 운영자<br>
2023.5 ~ 2023.5 그리시에국 운영자<br>
2023.5 ~ 2023.5 피렌티스 제국(2기) 운영자<br>
2023.5 ~ 2023.5 신그리시에국 운영자<br>
2023.5 ~ 2023.7 익스테딕 2공화국 운영자<br>
2023.7 ~ 2023.7 신그리시에 공화국 운영자<br>
2023.7 ~ 2023.12 익스테딕 3공화국 운영자<br>
2023.12 ~ 2025.2 익스테딕 4공화국 운영자<br>
2025.2 ~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br>
 
2017.12 ~ 2019.6 마인도로공사 사장<br>
2018.10 ~ 2019.6 마인철도공사 사장<br>
이외 다수
 
==[[/생애|생애]]==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자세한 내용은 [[텐/생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별명|별명]]==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자세한 내용은 [[텐/별명]]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선거 이력==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808080;"
!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br>0<br>1<br>7 || [[마인민주공화국 제 1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자유당'''|#0000ff|#fff}} || 8 (61.50%) || '''당선 (1위)''' || 초선
|-
| 2<br>0<br>1<br>8 || [[마인민주공화국 제 2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 {{정당박스|'''연합민주당'''|#0066cc|#fff}} || 32 (71.30%) || '''당선 (2번)''' || 초선
|-
| 2<br>0<br>1<br>8 || [[마인민주공화국 제 3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 {{정당박스|'''연합민주당'''|#0066cc|#fff}} || 21 (55.73%) || '''당선 (1번)''' || 재선
|-
| 2<br>0<br>1<br>8 || [[마인민주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 {{정당박스|'''미래자유당'''|#ff0000|#fff}} || 17 (31.18%) || '''당선 (1번)''' || 3선
|-
| 2<br>0<br>1<br>8 || [[마인민주공화국 제 5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 {{정당박스|'''우리자유당'''|#ff0000|#fff}} || 9 (29.90%) || '''당선 (1번)''' || 4선
|-
| 2<br>0<br>1<br>8 || [[마인민주공화국 제 6대 국회의원선거]](마인특별시 서구)  || {{정당박스|'''무소속'''|#808080|#fff}} || 7 (70.00%) || '''당선 (1위)''' || 5선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5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국민의연합'''|#0000ff|#fff}} || 7 (31.80%) || 낙선(2위) || <ref>8번의 선거 중 첫 낙선</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6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마인발전당'''|#33ccff|#fff}} || 2 (11.10%) || 낙선(2위) || <ref>2번 연속 낙선</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7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마인발전당'''|#33ccff|#fff}} || 30 (100.0%) <ref>단독출마로 인한 자동 무투표 당선</ref> || '''당선(1위)''' || 재선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10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마인발전당'''|#33ccff|#fff}} || 21 (52.50%) || '''당선 (1위)''' || 3선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9대 국회의원선거]](마인특별시 중마구)  || {{정당박스|'''평화국민당'''|#99cccc|#fff}} || 9 (100.00%) <ref>단독 출마로 무투표 자동 당선</ref> || '''당선 (1위)''' || 6선 <ref>이후 [[마인민주공화국 제 12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위한 의원직 사퇴</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12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마인미래당'''|#004ea1|#fff}} || 3 (30.00%) || 낙선 (2위) || <ref>3번째 낙선, 대통령 선거만 총합 3번 낙선하게 되었다.</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17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국민자유연합'''|#00ff00|#fff}} || 0 (00.00%) || 낙선 (2위) || <ref>[[주제가]]의 강제장악 및 투표장악으로 인한 부정선거에 따른 결과이다.</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18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발전신당'''|#00ff00|#fff}} || 31 (100.00%) || '''당선(1위)''' || 4선 <ref>단독 출마로 당선</ref>
|-
| 2<br>0<br>1<br>9 || [[마인민주공화국 제 21대 대통령선거]] || {{정당박스|'''무소속'''|#808080|#fff}} || 17 (100.00%) || '''당선(1위)''' || 5선 <ref>단독 출마로 당선</ref>
|-
| 2<br>0<br>2<br>3 || [[토고 공화국 제 4대 대통령선거]]  || {{틀:무소속}} || 3 (75.00%) || '''당선(1위)''' || 초선
|-
| 2<br>0<br>2<br>3 || [[토고 공화국 제 5대 대통령선거]]  || {{틀:무소속}} || 4 (50.00%) || '''당선(1위)''' <ref>[[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후보의 사퇴(대선후보 포기)에 의해 찬반투표로 당선</ref> || 재선
|-
| 2<br>0<br>2<br>3 || [[브라반트 제헌 국회의원 총선거]](안트베르펜시) || {{틀:미래민주당 (브라반트 공화국)}} || 3 (10.00%) || 낙선 (3위) || <ref>텐의 첫 브라반트 진출인데 , 이 선거에서 3명의 후보중 3위로 낙선하였다...</ref>
|-
| 2<br>0<br>2<br>3 || [[토고 공화국 제 6대 대통령선거]]  || {{틀:발전을 향하여 (토고 공화국)}} || 4 (80.00%) || '''당선(1위)''' || 3선
|-
| 2<br>0<br>2<br>4 || [[브라반트 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 브뤼셀 재보궐선거]](브뤼셀시)  || {{틀:우리미래공화당 (브라반트 공화국)}} || 68 (100.00%) || '''당선(1위)''' <ref>단독 출마로 무투표 자동 당선</ref> || 초선
|-
| 2<br>0<br>2<br>4 ||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도익스)^^ || {{친텐연대}} || 8 (47.06) || '''당선(1위)''' || 초선
|-
| 2<br>0<br>2<br>4 || [[익스테딕 4공화국 제19대 대선|익스테딕 제 19대 대선]]^^(낙익스)^^ || {{친텐연대}} || 9 (20.93) || '''당선(1위)''' || 초선
|-
| 2<br>0<br>2<br>4 || [[스칼란드 공화국 제7대 대선|스칼란드 제7대 대선]] || {{정당박스|'''새시대로'''|#0065B3|#fff}} || 4 (66.67) || '''당선(1위)''' || 초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808080;"
!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역대 선거 벽보
|-
| <div class="mw-customtogg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unha-ye_election_history"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4px 2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margin: 0px -15px -15px -3px; width: calc(100% + 6px); border-right: 2px; solid #003E98;"
| style="width: 50%"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익스테딕_제19대_대선_텐 _후보_최종_포스터.jpeg]]</div>
|-
|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글씨 색|#000|제19대 대선}}]] (도익스)
|-
|}</div></div>
|}
 
==소속 정당==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loat: center; text-align: center; font-size: 9pt; border: 2px solid #808080;"
!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소속
!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기간
!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비고
|-
| {{무소속}}
| 2017.8
| 정계 입문
|-
| {{정당박스|'''자유당'''|#0000ff|#fff}}
| 2017.9
| 입당
|-
| {{정당박스|'''연방민주당'''|#0000ff|#fff}}
| 2017.9
| 당명변경
|-
| {{정당박스|'''연합민주당'''|#0066cc|#fff}}
| 2017.10
| 당명변경
|-
| {{정당박스|'''미래자유당'''|#ff0000|#fff}}
| 2017.12
| 입당
|-
| {{정당박스|'''우리자유당'''|#ff0000|#fff}}
| 2018.2
| 당명변경
|-
| {{무소속}}
| 2018.3
| 탈당
|-
| {{정당박스|'''국민의연합'''|#0000ff|#fff}}
| 2018.12
| 창당
|-
| {{정당박스|'''마인발전당'''|#33ccff|#fff}}
| 2019.1
| 당명변경
|-
| {{정당박스|'''평화국민당'''|#99cccc|#fff}}
| 2019.5
| 당명변경
|-
| {{정당박스|'''마인미래당'''|#004ea1|#fff}}
| 2019.5
| 당명변경
|-
| {{정당박스|'''국민자유연합'''|#00ff00|#fff}}
| 2019.7
| 당명변경
|-
| {{무소속}}
| 2019.8
| 정당 해산
|-
| {{정당박스|'''발전신당'''|#00ff00|#fff}}
| 2019.9
| 창당
|-
| {{정당박스|'''신민주당'''|#004ea1|#fff}}
| 2019.9
| 입당
|-
| {{무소속}}
| 2019.10
| 탈당
|-
| {{정당박스|'''발전당'''|#004ea1|#fff}}
| 2020.1
| 창당
|-
| {{정당박스|'''마인공산당'''|#cc0000|#fff}}
| 2020.2
| 합당<ref>당시 [[보령]] 대통령의 자유 진압에 관련해 발전당과 마인공산당의 합당이 정식 체결됨.</ref>
|-
| {{정당박스|'''평화당'''|#00ff00|#fff}}
| 2020.3
| 창당
|-
| {{정당박스|'''평화민주당'''|#00ff00|#fff}}
| 2020.4
| 당명변경
|-
| {{무소속}}
| 2020.5
| 탈당<ref>마인공산당 집권 이후 [[마인민주연방공화국]]에서 추방당했다.</ref>
|-
| {{정당박스|'''통합민주발전신당'''|#339933|#fff}}
| 2020.5
| 창당
|-
| {{정당박스|'''통합민주당'''|#339933|#fff}}
| 2020.6
| 당명변경
|-
| {{정당박스|'''국민새시대'''|#00343d|#fff}}
| 2020.7
| 창당
|-
| {{정당박스|'''민주참여당'''|#33cc00|#fff}}
| 2020.8
| 창당
|-
| {{정당박스|'''민주자유연합'''|#33ccff|#fff}}
| 2020.8
| 창당
|-
| {{정당박스|'''통합자유당'''|#33ccff|#fff}}
| 2020.9
| 당명변경
|-
| {{무소속}}
| 2020.10
| 탈당<ref>[[시엔민주공화국]]이 터지며 자연스럽게 탈당되었다.</ref>
|-
| {{정당박스|'''민주연합'''|#004ea1|#fff}}
| 2020.11
| 입당
|-
| {{무소속}}
| 2020.12
| 탈당<ref>정계 은퇴.</ref>
|-
| {{정당박스|'''통합자유당'''|#33ccff|#fff}}
| 2021.1
| 입당<ref>정계 복귀.</ref>
|-
| {{정당박스|'''중도통합국민신당'''|#ff0000|#fff}}
| 2021.2
| 창당
|-
| {{정당박스|'''민생연합'''|#0043ff|#fff}}
| 2021.3
| 창당
|-
| {{정당박스|'''화합과도약의국민연대'''|#900066|#fff}}
| 2021.4
| 창당
|-
| {{정당박스|'''희망민주당'''|#004ea1|#fff}}
| 2021.4
| 창당
|-
| {{정당박스|'''열린희망당'''|#0066cc|#fff}}
| 2021.4
| 당명변경
|-
| {{정당박스|'''새민주연합'''|#004ea1|#fff}}
| 2021.5
| 합당
|-
| {{정당박스|'''새민주연합'''|#0066cc|#fff}}
| 2021.5
| 합당<ref>[[국민미래당]]과 신설합당.</ref>
|-
| {{정당박스|'''우리행복당'''|#00ff00|#fff}}
| 2021.5
| 당명 변경<ref>민주통합당과 분당.</ref>
|-
| {{무소속}}
| 2021.5
| 정당 해산<ref>올믹공화국이 해체되며 자동 정당 해산.</ref>
|-
| {{정당박스|'''선진미래당'''|#33ff99|#fff}}
| 2021.6
| 창당
|-
| {{무소속}}
| 2021.6
| 정당 해산<ref>[[트라뉴퍼 공화국]] 멸망으로 인한 정당 자동 해산.</ref>
|-
| {{정당박스|'''참여미래연합'''|#ffff00|#000}}
| 2021.8
| 창당
|-
| {{무소속}}
| 2021.10
| 정계 은퇴<ref>[[옴렛픽공화국]]까지 멸망하며 가국과 정계를 은퇴하였다.</ref>
|-
| {{무소속}}
| 2023.9
| 정계 복귀<ref>[[토고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서 정계를 복귀하였다.</ref>
|-
| {{미래민주당 (브라반트 공화국)}}
| 2023.11.13
| 창당 <ref>{{글씨 크기|8.15|([[브라반트 공화국]] 에서 창당)}}</ref>
|-
| {{발전을 향하여 (토고 공화국)}}
| 2023.11.17
| 창당 <ref>{{글씨 크기|8.15|([[토고 공화국]] 에서 창당) }}</ref>
|-
| {{미래민주당 (브라반트 공화국)}}
| 2023.12.3
| 탈당 <ref>{{글씨 크기|8.15|([[브라반트 공화국]] 에서 탈당)}}</ref>
|-
| {{발전을 향하여 (토고 공화국)}}
| 2023.12.3
| 정당 해산 <ref>{{글씨 크기|8.15|([[토고 공화국]] 에서 해산)}}</ref><ref>당시 당대표 텐의 자진 해산.</ref>
|-
| {{무소속}}
| 2023.12.3
| 정계 은퇴<ref>모든국가에서 동시에 가국과 정계를 은퇴하였다.</ref>
|-
| {{무소속}}
| 2024.1
| 정계 복귀<ref>[[브라반트 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 브뤼셀 재보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서 정계를 복귀하였다.</ref>
|-
| {{우리미래공화당 (브라반트 공화국)}}
| 2024.1.18
| 창당
|-
| {{친텐연대}}
| 2024.1.27
| 입당
|-
| {{정당박스|'''늘푸른민주당'''|#003C96|#fff}}
| 2025.2.15
| 창당
|-
|}
 
==[[/다른 유저와의 관계|다른 유저와의 관계]]==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자세한 내용은 [[텐/다른 유저와의 관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어록==
 
==비판 및 논란==
자세한 내용은 [[텐/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해주십시오.
===9.11 사건===
===5.5 사건===
===12.3 사건===
2023년 12월 3일에 발생한 익스테딕 방폭 사건이다.
 
==평가==
{{인용문|떠들기에 적합한 사람|[[蝶]]}}
 
{{인용문|사람들을 최대한 포용하는 익스테딕의 운영자|[[텐]]}}
 
{{인용문|텐(李永钦, Lee Young-heum, หรือ Li Yongqin)은 NCT 및 WayV의 멤버로 활동하는 태국 출신 가수이자 댄서입니다. 그는 특히 뛰어난 춤 실력과 무대 퍼포먼스로 유명하며, 독보적인 스타일과 예술적인 감각을 갖춘 아티스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Chat GPT}}
 
{{인용문|나의 조수|[[초수]]}}
 
{{인용문|텐의 실체는 [[텐시장|사실 시장...]]|옥스포드}}
 
{{인용문|가국에 몇 없는 깨시민|[[쭈니]]}}
 
==여담==
{{여담}}
• '''텐''' 본인이 '텐이 운영했던 [[가상국가]]'를 '텐계 가상국가'라고 정의한 적이 있는데, 그 중 1년을 넘긴 곳은 딱 한 곳 뿐이다. <ref>[[마인민주공화국]](MC국). 2017년 09월부터 2019년 08월(1년 11개월), 2019년 10월 (1개월)을 총합하여 2년이다.</ref> 물론 [[마인민주공화국]] 자체가 폐쇄적인 면이어서 그런 것이지, 폐쇄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사실상 1년을 못 넘기는 것이 맞다. 여태까지 해왔던 것을 정리해보면,<br>
마인민주연방공화국 '''2년''' <ref>공산당으로 정권이 교체되어 멸망</ref>
마인사회주의공화국연방 1개월 <ref>공산당대표 라씨야의 부재로 인해 임시정부가 세워지며 해체</ref>
마인민주연방공화국 7개월
중앙공화국 2개월 <ref>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멤버 3명인 채로 폭파</ref>
시엔민주공화국 4개월 <ref>테러세력 대거유입으로 테러에 시달리다가 10월 대협박 사태로 폭파</ref>
크프민주공화국 미상
렐킷공화국 1일 <ref>테러세력에 대거유입으로 1일만에 폭파</ref>
체코공화국 2주 <ref>물들여라 테러사건으로 내분에 시달리다 폭파</ref>
해피공화국 1주 <ref>대피방 사건으로 내분 후 재출범 결정 후 폭파</ref>
퍼니공화국 1주 <ref>대피방 사건으로 결국 국가가 분열되며 멸망 선언</ref>
신해피공화국 2주 <ref>마크 서버계 국가로 재전환 하겠다는 재전환 선언으로 해체</ref>
올믹공화국 2개월 <ref>테러 협박사건으로 멸망</ref>
트라뉴퍼공화국 3주 <ref>2차 테러 협박사건으로 멸망</ref>
익스테딕공화국 '''11개월''' <ref>그의 카국 역사 중 가장 오랫동안 국가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1주년을 앞두고 [[텐 계정 삭제 사태]]로 멸망하였다</ref>
신서버연합 2개월 <ref>텐이 카국에서 못살겠다고 선언하며  디스코드 가국으로 넘어간 첫 가국이다. 다만, 2개월만에 사실상 해체선언 되고 오믈렛 가국으로 넘어가게 된다.</ref>
그리시에 공화국 '''?개월'''
익스테딕 공화국 (2기) '''4개월''' <ref>2023년 7월 30일 건국되어 2023년 12월 3일 방폭을 하였다.</ref>
부룬디 공화국(1기) '''1개월''' <ref>2023년 11월 17일 건국되어 2023년 12월 3일 방폭을 하였다.</ref>
위와 같은 상황이다.
 
===밈===
{{인용문1|[[텐텐이라네!]]<ref>[[완전 비행]]이 2024년 1월 7일 저녁 10시 30분 경, 텐의 위키스 문서에 있던 프로필 사진을 텐텐 사진으로 바꾸고 외치던 말이다.</ref>}}
{{인용문1|'''이 텐텐아!!!'''}}
 
===쨜===
 
==대중매체==
===[[익스맨 유니버스]]===
[[텐(익스맨 유니버스)]] 문서 참고
 
==각주==
{{각주}}
 
[[분류:텐]]
[[분류:익스테딕 4공화국]]
[[분류 : 익스테딕/인물]]
==둘러보기==
{{텐}}
{{글로리오사 대훈장}}
{{역대 천해본 대통령}}
{{토고 역대 대통령}}
{{역대 스칼란드 대통령}}
{{카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2025년 7월 12일 (토) 12:09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운영부 축소.svg 익스테딕 4공화국
운영진
[ 펼치기 · 접기 ]
운영자
건국자
부운영자
경제운영위원장
지서
선거운영위원장
지서
문화소통위원장
지서
대통령 · 국무총리
익테국기.svg
익스테딕 4공화국 운영자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낙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낙지 낙지 낙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이스라엘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

十 | Ten
텐.png
입문 2017년 9월 1일[1]
마인민주공화국 개주시[2]
거주지 북양도 태원시 자안동 북원해안로 3길 11[3][4]
국적 [5]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5공화국[6][7]
익스테딕국기.svg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8]
현직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
익스테딕 늘푸른민주당 당대표
익스테딕 제28대 삼주광역시•동평도•영평광역시•남천도 국회의원
익스테딕 제28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재임기간 익스테딕 공화국 운영자 [9]
2021년 10월 15일 ~ 현재
익스테딕 공화국 제28대 국회의원
2025년 2월 25일 ~ 현재
[ 펼치기 · 접기 ]
본관 평천 접씨
부모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없음[10]
학력 향서초등학교 (졸업)
평강중학교 (졸업)
용원고등학교 (졸업)
평천대학교 (국제정치학 / 박사)
종교 무종교 (불가지론)
소속 정당 늘푸른민주당 (익5공)
익스테딕 휘그당 정당박스.png (유익스)
병역 명목상 : 해당사항 없음.[11]

실질적 : 병역준비역 편입 [12]

경력 익스테딕 공화국 운영자[13]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장[14]
바이에른 대공국 국가의회의원[15]
그리시에 공화국 운영자
익스테딕 공화국 제19대 대통령
별명 텐텐[16], 텐동[17], 텐하흐[18], 할방구[19], 텐시장[20], --텐두과자--[21], 핵텐두, 텐핵, 개텐[22], 망텐[23], 텐천지[24], 텐시, 텐버린, 글루텐
상훈 익스테딕 공화국 건국훈장[25]
센타크 훈장[26]
글로리오사 대훈장[27]
텐 공식 프로필.PNG
공식 초상화

개요

카카오톡 가상국가 익스테딕 공화국 [28] 전 운영자, 밴드 가상국가 익스테딕 5공화국의 현 운영자이자, 해외 정치인[29]이었던 사람이다. 2025년 3월 4일 기준으로 현재는 텐텐마을익스테딕 5공화국, 그리고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노르웨이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다.[30][31]

약력

익스테딕 공화국 이전에도 다수의 서버계 가상 국가와 카카오톡 가상국가, 밴드 가상국가를 운영하였다. 또 디스코드 가상국가를 운영하기도 했다. 오믈렛 가상국가카페 가상국가에도 도전했었다. 유튜브 가상국가도 도전했지만, 거의 실패했다.

2017.9 ~ 2019.9 마인민주공화국 운영자
2019.9 ~ 2019.12 마인사회주의공화국 운영자
2019.12 ~ 2020.5 마인민주연방공화국 운영자
2020.5 ~ 2020.7 중앙공화국 운영자
2020.7 ~ 2020.10 시엔민주공화국 운영자
2020.11 ~ 2020.11 추여공화국 운영자
2020.12 ~ 2020.12 렐킷공화국 운영자
2020.12 ~ 2021.2 크프민주공화국 운영자
2021.2 ~ 2021.2 체코 공화국 운영자
2021.2 ~ 2021.3 해피 공화국 운영자
2021.3 ~ 2021.3 퍼니 공화국 운영자
2021.3 ~ 2021.4 신해피 공화국 운영자
2021.4 ~ 2021.6 올믹 공화국 운영자
2021.6 ~ 2021.6 트라뉴퍼 공화국 운영자
2021.6 ~ 2021.7 S.S.B.R 공화국 운영자
2021.7 ~ 2021.10 옴렛픽 공화국 운영자
2021.10 ~ 2022.9 익스테딕 1공화국 운영자
2023.1 ~ 2023.5 그리시에 1공화국 운영자
2023.5 ~ 2023.5 그리시에 2공화국 운영자
2023.5 ~ 2023.5 신서버연합공화국 운영자
2023.5 ~ 2023.5 피렌티스 제국(1기) 운영자
2023.5 ~ 2023.5 그리시에국 운영자
2023.5 ~ 2023.5 피렌티스 제국(2기) 운영자
2023.5 ~ 2023.5 신그리시에국 운영자
2023.5 ~ 2023.7 익스테딕 2공화국 운영자
2023.7 ~ 2023.7 신그리시에 공화국 운영자
2023.7 ~ 2023.12 익스테딕 3공화국 운영자
2023.12 ~ 2025.2 익스테딕 4공화국 운영자
2025.2 ~ 익스테딕 5공화국 운영자

2017.12 ~ 2019.6 마인도로공사 사장
2018.10 ~ 2019.6 마인철도공사 사장
이외 다수

생애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텐/생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별명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텐/별명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
0
1
7
마인민주공화국 제 1대 대통령선거 자유당 8 (61.50%) 당선 (1위) 초선
2
0
1
8
마인민주공화국 제 2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연합민주당 32 (71.30%) 당선 (2번) 초선
2
0
1
8
마인민주공화국 제 3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연합민주당 21 (55.73%) 당선 (1번) 재선
2
0
1
8
마인민주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미래자유당 17 (31.18%) 당선 (1번) 3선
2
0
1
8
마인민주공화국 제 5대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우리자유당 9 (29.90%) 당선 (1번) 4선
2
0
1
8
마인민주공화국 제 6대 국회의원선거(마인특별시 서구) 무소속 7 (70.00%) 당선 (1위) 5선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5대 대통령선거 국민의연합 7 (31.80%) 낙선(2위) [32]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6대 대통령선거 마인발전당 2 (11.10%) 낙선(2위) [33]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7대 대통령선거 마인발전당 30 (100.0%) [34] 당선(1위) 재선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10대 대통령선거 마인발전당 21 (52.50%) 당선 (1위) 3선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9대 국회의원선거(마인특별시 중마구) 평화국민당 9 (100.00%) [35] 당선 (1위) 6선 [36]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12대 대통령선거 마인미래당 3 (30.00%) 낙선 (2위) [37]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17대 대통령선거 국민자유연합 0 (00.00%) 낙선 (2위) [38]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18대 대통령선거 발전신당 31 (100.00%) 당선(1위) 4선 [39]
2
0
1
9
마인민주공화국 제 21대 대통령선거 무소속 17 (100.00%) 당선(1위) 5선 [40]
2
0
2
3
토고 공화국 제 4대 대통령선거 3 (75.00%) 당선(1위) 초선
2
0
2
3
토고 공화국 제 5대 대통령선거 4 (50.00%) 당선(1위) [41] 재선
2
0
2
3
브라반트 제헌 국회의원 총선거(안트베르펜시) 미래민주당 3 (10.00%) 낙선 (3위) [42]
2
0
2
3
토고 공화국 제 6대 대통령선거 발전을 향하여 4 (80.00%) 당선(1위) 3선
2
0
2
4
브라반트 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 브뤼셀 재보궐선거(브뤼셀시) 우리미래공화당 68 (100.00%) 당선(1위) [43] 초선
2
0
2
4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도익스) 친텐연대 8 (47.06) 당선(1위) 초선
2
0
2
4
익스테딕 제 19대 대선(낙익스) 친텐연대 9 (20.93) 당선(1위) 초선
2
0
2
4
스칼란드 제7대 대선 새시대로 4 (66.67) 당선(1위) 초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익스테딕 제19대 대선 텐 후보 최종 포스터.jpeg
제19대 대선 (도익스)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2017.8 정계 입문
자유당 2017.9 입당
연방민주당 2017.9 당명변경
연합민주당 2017.10 당명변경
미래자유당 2017.12 입당
우리자유당 2018.2 당명변경
2018.3 탈당
국민의연합 2018.12 창당
마인발전당 2019.1 당명변경
평화국민당 2019.5 당명변경
마인미래당 2019.5 당명변경
국민자유연합 2019.7 당명변경
2019.8 정당 해산
발전신당 2019.9 창당
신민주당 2019.9 입당
2019.10 탈당
발전당 2020.1 창당
마인공산당 2020.2 합당[44]
평화당 2020.3 창당
평화민주당 2020.4 당명변경
2020.5 탈당[45]
통합민주발전신당 2020.5 창당
통합민주당 2020.6 당명변경
국민새시대 2020.7 창당
민주참여당 2020.8 창당
민주자유연합 2020.8 창당
통합자유당 2020.9 당명변경
2020.10 탈당[46]
민주연합 2020.11 입당
2020.12 탈당[47]
통합자유당 2021.1 입당[48]
중도통합국민신당 2021.2 창당
민생연합 2021.3 창당
화합과도약의국민연대 2021.4 창당
희망민주당 2021.4 창당
열린희망당 2021.4 당명변경
새민주연합 2021.5 합당
새민주연합 2021.5 합당[49]
우리행복당 2021.5 당명 변경[50]
2021.5 정당 해산[51]
선진미래당 2021.6 창당
2021.6 정당 해산[52]
참여미래연합 2021.8 창당
2021.10 정계 은퇴[53]
2023.9 정계 복귀[54]
미래민주당 2023.11.13 창당 [55]
발전을 향하여 2023.11.17 창당 [56]
미래민주당 2023.12.3 탈당 [57]
발전을 향하여 2023.12.3 정당 해산 [58][59]
2023.12.3 정계 은퇴[60]
2024.1 정계 복귀[61]
우리미래공화당 2024.1.18 창당
친텐연대 2024.1.27 입당
늘푸른민주당 2025.2.15 창당

다른 유저와의 관계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텐/다른 유저와의 관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어록

비판 및 논란

자세한 내용은 텐/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해주십시오.

9.11 사건

5.5 사건

12.3 사건

2023년 12월 3일에 발생한 익스테딕 방폭 사건이다.

평가

떠들기에 적합한 사람 — 
사람들을 최대한 포용하는 익스테딕의 운영자 — 
텐(李永钦, Lee Young-heum, หรือ Li Yongqin)은 NCT 및 WayV의 멤버로 활동하는 태국 출신 가수이자 댄서입니다. 그는 특히 뛰어난 춤 실력과 무대 퍼포먼스로 유명하며, 독보적인 스타일과 예술적인 감각을 갖춘 아티스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Chat GPT
나의 조수 — 초수
텐의 실체는 사실 시장... — 옥스포드
가국에 몇 없는 깨시민 — 쭈니

여담

인물의 '여담' 단락은 실제 가상국가에서의 일화와 가상의 설정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텐이 운영했던 가상국가'를 '텐계 가상국가'라고 정의한 적이 있는데, 그 중 1년을 넘긴 곳은 딱 한 곳 뿐이다. [62] 물론 마인민주공화국 자체가 폐쇄적인 면이어서 그런 것이지, 폐쇄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사실상 1년을 못 넘기는 것이 맞다. 여태까지 해왔던 것을 정리해보면,
마인민주연방공화국 2년 [63] 마인사회주의공화국연방 1개월 [64] 마인민주연방공화국 7개월 중앙공화국 2개월 [65] 시엔민주공화국 4개월 [66] 크프민주공화국 미상 렐킷공화국 1일 [67] 체코공화국 2주 [68] 해피공화국 1주 [69] 퍼니공화국 1주 [70] 신해피공화국 2주 [71] 올믹공화국 2개월 [72] 트라뉴퍼공화국 3주 [73] 익스테딕공화국 11개월 [74] 신서버연합 2개월 [75] 그리시에 공화국 ?개월 익스테딕 공화국 (2기) 4개월 [76] 부룬디 공화국(1기) 1개월 [77] 위와 같은 상황이다.

텐텐이라네![78]
이 텐텐아!!!


대중매체

익스맨 유니버스

텐(익스맨 유니버스) 문서 참고

각주

  1. 텐의 가상국가 시작일 즉, 그의 첫 가상국가 마민공 건국일을 입문일로 잡았다.
  2. 가상이며, 이곳은 마인민주공화국의 시작이 된 수도 지역이다.
  3. 이전에는 평천특별시 중구 공항동 거주로 표기했었으나, 2024년부터는 태원시에 거주하며 제2의 고향으로 삼고 있다.
  4. 가상 또다른 말론 RP
  5. 다른 국적들도 더 존재하며, 여담에 표기될 예정이다.
  6. 현재 국적 보유중.
  7. 2022년 9월 11일 가국 은퇴로 인해 대한민국(크윈), 익스테딕 공화국의 국적이 파기되었다. 예외적으로, 바이에른 대공국 국적은 멸망 며칠 전 쯤 2022년 8월 바이에른 대공국 총선 부정선거 사태로 촉발된 양국간 단교로 인해 파기되었다. 이로써 2022년 9월 11일 이후부터는 아무 국적이 없었으나 이후 여러 국가를 만들며 여러 국적을 거쳐 2023년 7월 30일 익스테딕 2기가 시작되며 국적을 다시 얻었다. 그리고 10월에는 영국연방의 국적을 취득하기도 하는 등 일부 타 국가에서도 활동중이다. 그리고 2023년 12월 3일 익스테딕 방폭으로 인하여 국적은 없어졌다. 그런데 슈티르너 정부가 영구 입국금지를 해버리며 사실상 강제 파기가 되었다. 다만 정통 후계국은 아니다. 그래서 익스테딕 4공화국에서의 국적 취득을 준비중.
  8. 2024년 3월에 국적이 사라졌으나, 2025년 2월에 재취득했다.
  9. 2025년 3월 기준 익스테딕 5공화국 체제.
  10. 외동이다.
  11. 익스테딕 기준.
  12. 현실 대한민국 기준으로, 2025년 2월 병역준비역에 편입되어 있다.
  13. 익스테딕 운영자 텐 계정 분실 사태 이후 복귀 불가 판정을 받고, 익스테딕 제 2 공화국 출범으로 운영자직을 상실함. 그리고 이후 방폭이 일어나며 다시 전 운영자가 됨.
  14. 가국 은퇴로 인한 사실상 중도 사퇴
  15. 제1·2대(재선), 2022년 7월 재선 당선
  16. 해당 별명이 너무나 압도적인 상황이다. 그리고 다른 별명이 없기도 하고...
  17. 2024년까지만 해도 자주 쓰였으나, 2025년 들어 사용이 전무해졌다.
  18. 실제로 맨유 공화국 에서는 해당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19. 레고가 주로 사용한다.
  20. 텐의 정체가 텐시장이 아니냐며 우스갯소리로 연래행사 마냥 항상 나오는 말.
  21. 내란범이 만든 별명이기에 제외
  22. 해당 별명의 경우, 안 좋은 의미로도 쓰이고 장난 식으로도 사용된다. 다만 낙괴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며 안 좋은 의미쪽으로 더 기울었다.
  23. 개텐과 비슷하게 쓰인다.
  24. 텐 + 신천지의 합성어. 텐이 운영하는 마인크래프트 서버에는 텐동교회 혹은 텐텐교회가 매번 지어지는데 텐을 목사로 세우고 텐을 중심으로 이상한 가르침을 하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하기에 이러한 별명 겸 용어가 생겼다.
  25. 국민의 정부(빅파이 대통령) 시절 주어졌다.
  26. 2021년 4월 수여받았다.
  27. 해당 훈장은 전현직 대통령이 받는 훈장이므로, 자동적으로 익스테딕 4공화국 19대 대통령 자격으로 수여받았다.
  28. 익스테딕 1공화국부터 4공화국까지를 의미한다.
  29. 브라반트 공화국 미래민주당 대표
  30. 익스테딕 5공화국과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이 주 활동지이다.
  31. 정치 활동도 하고 있다.
  32. 8번의 선거 중 첫 낙선
  33. 2번 연속 낙선
  34. 단독출마로 인한 자동 무투표 당선
  35. 단독 출마로 무투표 자동 당선
  36. 이후 마인민주공화국 제 12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위한 의원직 사퇴
  37. 3번째 낙선, 대통령 선거만 총합 3번 낙선하게 되었다.
  38. 주제가의 강제장악 및 투표장악으로 인한 부정선거에 따른 결과이다.
  39. 단독 출마로 당선
  40. 단독 출마로 당선
  41. 이스라엘 후보의 사퇴(대선후보 포기)에 의해 찬반투표로 당선
  42. 텐의 첫 브라반트 진출인데 , 이 선거에서 3명의 후보중 3위로 낙선하였다...
  43. 단독 출마로 무투표 자동 당선
  44. 당시 보령 대통령의 자유 진압에 관련해 발전당과 마인공산당의 합당이 정식 체결됨.
  45. 마인공산당 집권 이후 마인민주연방공화국에서 추방당했다.
  46. 시엔민주공화국이 터지며 자연스럽게 탈당되었다.
  47. 정계 은퇴.
  48. 정계 복귀.
  49. 국민미래당과 신설합당.
  50. 민주통합당과 분당.
  51. 올믹공화국이 해체되며 자동 정당 해산.
  52. 트라뉴퍼 공화국 멸망으로 인한 정당 자동 해산.
  53. 옴렛픽공화국까지 멸망하며 가국과 정계를 은퇴하였다.
  54. 토고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서 정계를 복귀하였다.
  55. (브라반트 공화국 에서 창당)
  56. (토고 공화국 에서 창당)
  57. (브라반트 공화국 에서 탈당)
  58. (토고 공화국 에서 해산)
  59. 당시 당대표 텐의 자진 해산.
  60. 모든국가에서 동시에 가국과 정계를 은퇴하였다.
  61. 브라반트 공화국 제 4대 국회의원 브뤼셀 재보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서 정계를 복귀하였다.
  62. 마인민주공화국(MC국). 2017년 09월부터 2019년 08월(1년 11개월), 2019년 10월 (1개월)을 총합하여 2년이다.
  63. 공산당으로 정권이 교체되어 멸망
  64. 공산당대표 라씨야의 부재로 인해 임시정부가 세워지며 해체
  65.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멤버 3명인 채로 폭파
  66. 테러세력 대거유입으로 테러에 시달리다가 10월 대협박 사태로 폭파
  67. 테러세력에 대거유입으로 1일만에 폭파
  68. 물들여라 테러사건으로 내분에 시달리다 폭파
  69. 대피방 사건으로 내분 후 재출범 결정 후 폭파
  70. 대피방 사건으로 결국 국가가 분열되며 멸망 선언
  71. 마크 서버계 국가로 재전환 하겠다는 재전환 선언으로 해체
  72. 테러 협박사건으로 멸망
  73. 2차 테러 협박사건으로 멸망
  74. 그의 카국 역사 중 가장 오랫동안 국가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1주년을 앞두고 텐 계정 삭제 사태로 멸망하였다
  75. 텐이 카국에서 못살겠다고 선언하며 디스코드 가국으로 넘어간 첫 가국이다. 다만, 2개월만에 사실상 해체선언 되고 오믈렛 가국으로 넘어가게 된다.
  76. 2023년 7월 30일 건국되어 2023년 12월 3일 방폭을 하였다.
  77. 2023년 11월 17일 건국되어 2023년 12월 3일 방폭을 하였다.
  78. 완전 비행이 2024년 1월 7일 저녁 10시 30분 경, 텐의 위키스 문서에 있던 프로필 사진을 텐텐 사진으로 바꾸고 외치던 말이다.

둘러보기

텐 투명.svg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익테국기.svg
글로리오사 대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천해본 국기.jpg
천해본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캐탈린 도트파란새 자카라 루스
제6대 제7대 제8대
완전비행 완전비행 시카고
엘리데인 대통령
토고 국기.svg

토고 공화국 역대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르니예프 최서영 파르니예프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에리히 함태희 에리히 함태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함태희 함태희 함태희 마쉬 이들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이스라엘 붉정
스칼란드 공화국 국기.jpg
스칼란드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레고 겔만 이장걸 완전비행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장걸 적 소비에트 미정
카카오톡 아이콘.png
카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등장 인물 및 세력
[ 펼치기 ·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