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사회주의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

개요

현실사회주의 또는 실존사회주의는 구 소련의 최고지도자였던 니키타 흐루쇼프의 언급으로부터 기원한 용어로, 그는 '트로츠키 등의 극좌 모험주의'와 '부하린의 우경화' 등과 같은 소련 초기의 '반동적 사상'을 분쇄했다는 것과 경제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는 것은 스탈린의 공로라고 하였으나, 그의 잔혹함, 대숙청,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거듭된 패전과 같은 것들은 분명히 그의 한계라고 하였다. 흐루쇼프는 소련이 이러한 과도기적 단계들을 성공적으로 돌파함으로써 낮은 국면의 공산주의 사회 또는 사회주의 사회를 안정적으로 구축하였다며, 이제는 그러한 현실에 맞추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수정해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것이 바로 현실사회주의였던 것이다.

상세

현실사회주의는 이전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비교할때, 스탈린의 여러 정책들, 특히 억압적인 측면에 비판적이었고, 이에 따라 상당히 뒤쳐졌던 경공업의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대외적으로는 서방 세력과의 평화적 공존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브레즈네프 또한 흐루쇼프보다 덜 급진적이긴 하였으나 그의 노선을 유사하게 이어나갔고, 소련이 높은 국면의 공산주의 사회가 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사회주의는 스탈린 사후의 소련과 동유럽을 중심으로 성행하였으나, 마오주의와, 스탈린주의의 원리주의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을 알바니아의 호자주의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서방과의 친선, 노멘클라투라에 의한 체제의 경직 등에 반발하여 현실사회주의에 거세게 반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