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본/철도 차량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 월본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탈나무화}}
{{목차}}
== 개요 ==
== 개요 ==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하단 표 양식을 이용해 작성하십시오. 도입 순서대로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하단 표 양식을 이용해 작성하십시오. 도입 순서대로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계열명|계열명]]||운행년도||운행사||운행 노선||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월본철도공사]](WR그룹)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신쾌선 ===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신쾌선 S1계 전동차|S1계]]||운행년도||운행사||운행 노선||설정중||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계열명
| 운행년도
| 퇴역년도
| 운행사
| 운행 노선
| 비고
|}
 
== [[월본국가철도]](WORAIL) ==
=== 주간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0계
|  
|  
| [[월본국가철도]]
|  
|  
|}
 
=== 전기기관차 ===
=== 전기기관차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월본국유철도 EL1G형 전기기관차|EL1G형]]||1921 - 1936||[[WR 도기타]]||[[지모리선]]||월본 최초 전기기관차, 축전지식||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EL30
|  
|  
|  
|
|  
|-
| EL50
|  
|  
|  
|  
|  
|-
| EL70
|  
|
|
|
|
|}
 
=== 증기기관차 ===
=== 증기기관차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월본국유철도 LL1K형 증기기관차|LL1K형]]||1903 - 1950||[[WR 중부월본]]||[[나카세선]]||월본 최초 증기기관차, 동태보존 전시중||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계열명
| 운행년도
| 퇴역년도
| 운행사
| 운행 노선
| 비고
|}
=== 디젤기관차 ===
=== 디젤기관차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월본국유철도 DL01형 디젤기관차|DL01형]]||1932 - 1950||[[WR 중부월본]]||[[중공신덕화물선]] [[나카세 화물선]]||월본 최초 디젤기관차||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DE20
|  
|  
|  
|  
|  
|-
| DE30
|  
|  
|  
|  
|  
|-
| DE60
|
|
|
|
|
|-
| DE70
|
|
|  
|
|
|}
 
=== 디젤동차 ===
=== 디젤동차 ===
||<#dcdcdc>계열명||<#dcdcdc>운행년도||<#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월본국유철도 D111계 동차|D111계]]||1929 - 1935||[[WR 도기타]] [[WR 중부월본]]||[[도기타선]] [[신나카야선]] [[나카세선]]||월본 최초 디젤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월본국유철도 D1계 동차|D1계]]||1930 - 1938||[[WR 도기타]] [[WR 중부월본]]||[[도기타선]] [[지모리선]]||월본 최초 근교형 디젤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월본국유철도 D2계 동차|D2계]]||1932 - 1954||[[WR 도기타]] [[WR 중부월본]]||[[도기타선]] [[신나카야선]] [[나카세선]]||[[월본국유철도 D111계 동차|D111계]]의 후속||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월본국유철도 D3계 동차|D3계]]||1951-1994||[[WR 도기타]]||[[경우선]] [[코쿠죠센선]]||'''D2계를 개조해서 43년간 운행한 장수만세 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월본국유철도 D5계 동차|D5계]]||1954-1982||[[WR 중부월본]]||[[주단선]][[도선사보선]][[나카세선]][[정안선]][[지소 본선]][[마전중앙선]][[소가 본선]][[설양선]]]||'''전설로 남은 월본의 대표 통근형 전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월본국유철도 D6계 동차|D6계]]||1952-1980||[[WR 중부월본]][[WR 서월본]]||[[나카세선]][[정안선]][[소가 본선]][[산단선]][[마원선]]||월본 최초의 밥통형 디젤동차, '''관광열차의 시대를 연 대표 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월본국유철도 D7계 동차|D7계]]||'''1968'''||[[WR 중부월본]]? [[WR 도기타]]?||[[도기타선]]?[* 사고 당일 임시 투입]]||'''[[지모리·도기타 정비창 참사|참사]]로 인해 공개 1일만에 퇴역한 차량'''[*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던 기능들은 [[월본국유철도 D8계 동차|D8계 동차]]가 신조되면서 바톤을 이어받는다.]||
|-
| DCU 동차
|  
|  
|  
|  
|  
|-
| 백양호
|  
|  
|  
|  
|  
|-
| 청양호
|  
|  
|  
|  
|  
|-
| 화양호
|  
|  
|  
|  
|  
|}
 
=== 전동차 ===
=== 전동차 ===
||<-99><#F6F6F6>통근형 전동차||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dcdcdc>계열명||<#dcdcdc>운용||<#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olspan=6 | 통근형
||--[[월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101계]]--||1960^^도입^^ 1990^^퇴역^^||[[월본국유철도]]||[[주단선]] [[중앙선(월본)|중앙선]]|| ||
|-
||--[[월본국유철도 102계 전동차|102계]]--||1965^^도입^^ 1997^^퇴역^^[* 주단선등에 투입된 초기형의 경우 101계보다도 비교적 이른 1987년에 퇴역되었는데 이는 차적 말소가 아닌 타 노선 이적이다. 따라서 오리지널 102계의 퇴역은 1997년에 이르서야 시작되었으며 102계의 개조분, 파생형까지 포함하면 2007년이 되어서야 102계열의 모든 차량이 퇴역한다.]||[[월본국유철도]]||[[주단선]] [[중앙선(월본)|중앙선]] [[도선사보선]] 등||'''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통근형 전동차'''[* 3200량 (10량 환산 약 320개 편성)규모]||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월본국유철도 105계 전동차|105계]]--||1975^^도입^^ 2001^^퇴역^^||[[월본국유철도]]||[[주단선]] [[중앙선(월본)|중앙선]]||'''최초의 쵸퍼제어 적용차량'''||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월본국유철도 204계 전동차|204계]]--||1982^^도입^^ 2010^^퇴역^^||[[월본국유철도]][br][[월본철도공사]]||거의 모든 통근형 전철 노선||'''민영화 과도기 차량. 인버터제어 장치 첫 도입'''||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월본철도공사 206계 전동차|206계]]||1994^^도입^^||[[월본철도공사]]||[[남부선]] [[무사단선]] [[중앙선(월본)|중앙선]][* 일부 퇴역 후 현재 운행중인 노선. 주단선의 트레이드마크격으로 주력차량이었지만 전장품 노후화로 일부 장거리노선과 교외지역으로 차출되고 있다.]||新 통근형 프로토타입||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월본철도공사 210계 전동차|210계]]||1995^^도입^^||[[월본철도공사]]||[[주단선]] [[남부선]] [[교외선]] 등||204계의 완성형||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월본철도공사 E230계 전동차|E230계]]||2002^^도입^^||[[월본철도공사]]||[[도선사보선]] [[도하선]] [[무사단선]] 등[* 230계는 빠른 대체를 목적이었기 때문에 교외지역으로 전출되고있다.]||'''신세대 초반기 주력차량. 206계의 완성형'''||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월본철도공사 E240계 전동차|E240계]]||2008^^도입^^||[[월본철도공사]]||[[주단선]] [[중앙선(월본)|중앙선]] [[신의선]] 등||'''현재의 주력차량'''||
|-
||[[월본철도공사 E251계 전동차|E251계]]||2013^^도입^^||[[월본철도공사]]||[[도선사보선]]||'''환경친화, 승차만족, 최첨단 기술을 접목시킨 차량'''||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근교형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도유메트로 전동차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도유메트로 100계 전동차|100계]]
| 1930
| 1950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월본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제3궤조 근대식 목조 전동차
|-
| [[도유메트로 01계 전동차|01계]]
| 1950
| 1985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
| [[도유메트로 200계 전동차|200계]]
| 1965
| 1988
| [[도유메트로 도쇼마치선|도쇼마치선]]
|
|-
| [[도유메트로 03계 전동차|03계]]
| 1977<sup>전기형</sup><br>1986<sup>후기형</sup>
|  
| [[도유메트로 치우단선|치우단선]]
| 지하철 최초 쵸퍼제어 전동차
|-
| [[도유메트로 1000계 전동차|1000계]]
| 1985
| 2010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
| [[도유메트로 2000계 전동차|2000계]]
| 1988
| 2019
| [[도유메트로 도쇼마치선|도쇼마치선]]
|  
|-
| [[도유메트로 3000계 전동차|3000계]]
| 1989
| 1992<sup>전출</sup>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도유메트로 치우단선|치우단선]]
| 최초의 광폭형 차체 전동차
|-
| [[도유메트로 5000계 전동차|5000계]]
| 1989
|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
| 최초의 VVVF 전동차
|-
| [[도유메트로 5050계 전동차|5050계]]
| 1992
|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
| 직교류 겸용 지하철 전동차
|}


||<-99><#F6F6F6>근교형 전동차||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dcdcdc>계열명||<#dcdcdc>운용||<#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olspan=6 | 도유도시철도 전동차
||[[월본철도공사 E230계 전동차#근교형|E230계]]||2002^^도입^^||[[월본철도공사]]||[[주단선]] [[신의선]] [[소가선]] 등||'''2층객차, 승무편의시설, 화장실시설등을 갖춘 근교형의 대표적인 전동차.'''||
|-
||[[월본철도공사 E240계 전동차#근교형|E240계]]||2009^^도입^^||[[월본철도공사]]||[[신의선]] [[중앙선(월본)|중앙선]] [[주단선]] 등||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도유도시철도 7000계 전동차|7000계]]
| 1995
|  
| [[도유도시철도 삼전선|삼전선]]
|  
|-
| [[도유도시철도 8000계 전동차|8000계]]
| 1998
|  
| [[도유도시철도 수호지선|수호지선]]
|  
|-
| [[도유도시철도 9000계 전동차|9000계]]
| 1999
|
| [[도유도시철도 계류선|계류선]]
|  
|}


||<-99><#F6F6F6>지하철 전동차||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dcdcdc>계열명||<#dcdcdc>운용||<#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 colspan=6 | 메트로B 주식회사
||--'''''[[조번 지하철 0계 전동차|0계]]'''''--||1930^^도입^^ 1950^^퇴역^^||[[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진초선]]||'''월본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제3궤조 근대식 목조제 전동차'''||
|-
||--'''''[[조번 지하철 100계 전동차|100계]]'''''--||1950^^도입^^ 1985^^퇴역^^||[[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진초선]]||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조번 지하철 200계 전동차|200계]]'''''--||1965^^도입^^ 1988^^퇴역^^||[[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도쇼마치선]]||당시 최대 6량 편성||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조번 지하철 3000계 전동차|3000계]]||1977^^전기 도입^^ 1986^^후기 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신우보선]]||'''전기형과 후기형. 지하철 최초 쵸퍼제어 전동차.'''||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조번 지하철 1000계 전동차|1000계]]'''''--||1985^^도입^^ 2010^^퇴역^^||[[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진초선]]|| ||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조번 지하철 2000계 전동차|2000계]]||1988^^도입^^ 2019^^퇴역예정^^||[[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도쇼마치선]]|| ||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조번 지하철 4000-5000계 전동차|4000계]]'''''||1989^^도입^^ 1992^^전출^^||[[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주조선]]|| ||
|-
||[[조번 지하철 4000-5000계 전동차|5000계]]||1989^^도입^^,,퇴역예정,,||[[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주교선]]|| ||
| [[도유지하철 11000계 전동차|11000계]]
||[[조번 지하철 4050계 전동차|4050계]]||1992^^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주조선]]||'''지하철 최초의 VVVF제어 전동차'''||
| 2006
||[[조번 지하철 6000계 전동차|6000계]]||1995^^도입^^||[[도유도시철도]]||[[조번 지하철 삼전선]]|| ||
|  
||[[조번 지하철 7000-8000계 전동차|7000계]]||1998^^도입^^||[[도유도시철도]]||[[조번 지하철 수호지선]]|| ||
| [[도유지하철 부도심선|부도심선]]
||[[조번 지하철 8000-8000계 전동차|8000계]]||1999^^도입^^||[[도유도시철도]]||[[조번 지하철 계류선]]|| ||
|  
||[[조번 지하철 10000계 전동차|10000계]]||2003^^도입^^||[[도유도시철도]]||[[조번 지하철 시구로선]]|| ||
|}
||[[조번 지하철 9000계 전동차|9000계]]||2004^^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수도선]]|| ||
||[[조번 지하철 11000계 전동차|11000계]]||2006^^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부도심선]]|| ||
||[[조번 지하철 14000계 전동차|14000계]]||2008^^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주조선]]|| ||
||[[조번 지하철 N1000계 전동차|N1000계]]||2010^^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진초선]]|| ||
||[[조번 지하철 13000계 전동차|13000계]]||2017^^도입^^||[[조번지하철(기업)|조번지하철]]||[[조번 지하철 신우보선]]|| ||


||<-99><#F6F6F6>사철 전동차||
||<#dcdcdc>계열명||<#dcdcdc>운용||<#dcdcdc>운행사||<#dcdcdc>운행 노선||<#dcdcdc>비고||
||[[도번 5030계 전동차]]|| ||[[도번전철]]||[[도번 신수선|신수선]]|| ||
|| || || || || ||


=== 시험차량 ===
=== 시험차량 ===
||<#dcdcdc>계열명||<#dcdcdc>운용||<#dcdcdc>운행사||<#dcdcdc>목적||<#dcdcdc>비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XU 380]]||2010^^설정상^^||[[월본철도공사]]||380km/h급 고속열차 시제차량||모델링 계획중||
! colspan=6 | 시험차량
|-
! style="background:#dcdcdc;" | 차량명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XU 380]]
| 2010
|  
| 380km/h급 고속열차 시제차량
|}
 
[[분류:월본]]

2024년 12월 8일 (일) 12:07 판

개요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하단 표 양식을 이용해 작성하십시오. 도입 순서대로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계열명 운행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 노선 비고

월본국가철도(WORAIL)

주간선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0계 월본국가철도

전기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EL30
EL50
EL70

증기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계열명 운행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 노선 비고

디젤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DE20
DE30
DE60
DE70

디젤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DCU 동차
백양호
청양호
화양호

전동차

통근형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근교형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도유메트로 전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100계 1930 1950 군자선 월본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제3궤조 근대식 목조 전동차
01계 1950 1985 군자선
200계 1965 1988 도쇼마치선
03계 1977전기형
1986후기형
치우단선 지하철 최초 쵸퍼제어 전동차
1000계 1985 2010 군자선
2000계 1988 2019 도쇼마치선
3000계 1989 1992전출 주교선치우단선 최초의 광폭형 차체 전동차
5000계 1989 주교선 최초의 VVVF 전동차
5050계 1992 주교선 직교류 겸용 지하철 전동차
도유도시철도 전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7000계 1995 삼전선
8000계 1998 수호지선
9000계 1999 계류선
메트로B 주식회사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11000계 2006 부도심선


시험차량

시험차량
차량명 도입년도 퇴역년도 비고
XU 380 2010 380km/h급 고속열차 시제차량